spk의 사진놀이터.

'2014/12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History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 만장(輓章)이 휘날리고 있다.

만장은 고인과 친분이 있던 사람들이 슬퍼하며 지은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 깃발처럼 만든 것이다.







지난 11월, 영남대학교 민속촌에서는 대구시 달성군 설화리의

한국 전통 상여행렬 시연이 있었다.

이날 행사는 경산시가 '순간과 영원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1회 한국 전통 상례문화 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국제 학술 세미나'의

특별행사 프로그램으로 마련된 것이다.







                               고인이 살았던 곳을 떠나며 생전에 살던 집과 가족들에게 이별을 고하는 

                               발인제를 지내는 장면으로부터 시작한다. 

                               상여는 민속예술이자 우리 조상들의 삶이 오롯이 담긴 전통문화이다.







                               장고나 북의 장단에 맞춰 만가(輓歌)를 부르면서 상여는 고인이 안장될 장소를 향해 출발한다.

                               상여소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이어주는 소리이자 상두꾼들이 발을 맞추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여소리의 화자는 망자, 유족, 친구도 되고 상여꾼도 된다.

                               그들의 입장에서 이별의 슬픔과 회한, 그리고 살아있는 사람들에 대한 당부 등을

                               엮어가는데 그 사설과 선율이 구슬퍼서 비장함을 자아낸다.


                               설화리 상여소리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난 120년간 4대에 걸쳐

                               잡소리가 전혀 섞이지 않고 그 전통을 잘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상여는 극락정토로 가는 반야용선(般若龍船) 즉, 대웅보전이다.

                               반야용선은 부처나 왕만이 탈 수 있는데 이승의 평생 소원인 반야용선을

                               저승길로 가면서 타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복은 삼베로 만든 정승복장이다.

                               아마도 정승이 된 자식을 보고 한을 풀고 가라는 의미일 터...







                               설화리 상여소리는 지난 2014년 10월에 열린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대구광역시 대표로 출전해 장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장지를 향해 가는 도중, 상주들이 고인에게 예를 갖춘다.


설화리 상여소리는 전과정이 노전제 지내는 소리, 오르막 올라가는 소리, 

내리막 내려가는 소리, 강다리를 건너는 소리, 오솔길 가는 소리,

장지에 도착해 하관하고 묘를 밟으며 땅을 다지는 소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나무 다리를 건너는 장면을 재현하고 있다.


상여는 원래 소나 말, 또는 사람이 끄는 수레의 형태였으나

주자가례(朱者家禮)를 수용하면서 사람이 어깨에 메는 것으로 바뀌었다.

상여는 가마와 비슷하나 몸체 좌우에 멜채(장강, 長杠)가 있어서

형편에 따라 12인 또는 24인까지 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산소 봉분을 밟으며 땅을 다지는 소리로 대미를 장식한다.

이때 상주를 비롯한 백관, 친지들은 장대에 고인의 노잣돈을 걸어주며

슬픔을 달랜다.







                               혼백을 모시는 요여(腰輿). 

                               영여(靈輿)라고도 하며 상여 앞에 선다.


                               상여에 실린 육체는 장지에 매장되어 집으로 되돌아오지 않지만,

                               영여에 실린 혼은 다시 집으로 돌아와 살아있는 가족들과 관계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죽은 사람은 죽어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죽었지만 살아있는 존재라는 의미이다.




.....................................................................................................................................................................................................





                               상여 소리가 끝난 후 서울대 명예교수인 이애주 선생의

                               넋 살풀이 공연이 이어졌다.







                               춤꾼인 이애주 교수는 1987년 민주화운동 현장에서

                               시대의 아픔을 온몸으로 끌어안고 승화시킨 바람맞이춤으로 

                               한국 춤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 후 '민중춤꾼'이라는 별명으로 민중의 넋을 달래는 자리에 

                               함께 해오고 있다.







                               장구와 꽹과리의 장단에 맞춰 공간을 가로지르며

                               역동적으로 휘몰아치기도 하고, 침묵하기도 하며, 또 때로는

                               땅 위로 쓰러졌다 일어나기도 하면서 춤사위를 이어나갔다.

                               단순해 보이는 몸짓 하나만으로도 좌중을 압도하는 것 같은,

                               뭔가 강한 기운이 느껴지는 그런 자리였다.







그녀는 한국 민속무용 중 가장 예술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의 예능보유자이기도 하다.






.................................................................................................................


시간은 돌고돌아 또다시 한 해와의 작별을 앞둔 시점으로 왔습니다.

연말을 맞아 이웃님들에게 안부 인사드립니다.

혹시나 지난 시간동안 좋지 않은 일들이 있었다면 그것이 상처로 남지 않았기를,

못다 이룬 소망이 있었다면 새해에는 반드시 이루어지기를, 

그리고 무엇보다도 지금보다 더 활기차고 건강해지시기를 바랍니다.


Happy New Year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도시철도 3호선  (0) 2015.04.19
2015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 (대구 수성구)  (0) 2015.03.07
대구 83타워  (0) 2014.11.30
햇무리, 개기월식  (0) 2014.10.13
2014 대구스트리트모터페스티벌  (0) 2014.09.28
Travel




                               영남대학교 내 민속촌으로 들어가는 진입로.

                               길 오른편으로는 구계서원이, 저 멀리로는 의인정사가 눈에 들어온다. 




                               ▶ 관련 / 2014/04/09 - [History] - 영남대학교 민속촌







까치구멍집.


이 집은 영양 남씨들이 모여 살았던 경북 안동시 도목리에서

1975년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왔다.

경북 북부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모습을 한 집으로,

소 마굿간을 비롯한 모든 편의시설을 집안으로 끌어 들이고 있는 것이

이 집의 특징이다.

공간이 닫혀있음으로 해서 비롯되는 오염된 공기는 지붕 양쪽에

공기 배출구를 만들어 뽑아 내었는데, 이 공기 배출구 모양이

까치집처럼 생겼다고 하여 이 집을 까치구멍집이라고 부른다.







                               우거진 송림 속에 위치한 쌍송정.







이곳을 방문한 지난 2014년 11월, 때마침 제례를 올리는 장면을 볼 수 있었다.

영남대 민속촌 내 화산서원에서 봉행된 인동(仁同) 출신  

만회당(晩悔堂) 장경우(張慶遇, 1581~1656)선생의 석채례(釋菜禮) 의식이었다.

석채례란 새로 나는 나물과 생 채소로 스승을 기리는 제사를 올리는 의식을 말한다.







                               화산서당은 만회당 장경우 선생이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효종 2년(1651)에 세운 건물이다.







예복을 갖춰입고 제례에 임하는 참석자들.







머리에 갓과 유건(儒巾)을 쓴 어르신들의 표정이 자못 진지하다.







화산서당은 원래 칠곡군 석적면에 위치했었으나 이곳으로 이건 ·

복원을 완료하고 2009년 11월 4일 준공을 했다.









etc




                               길은 도전과 호기심을 자극한다.

                               특히 드러나지 않은 길은 더 그러하다.







길은 인간들의 접근을 전제로 해서 만들어진다.

이 역시 가지않은 길에 대한 호기심의 발로에 다름 아니다.







당연하게도 그 속에는 인간들의 목적과 의도가 담겨있을 수 밖에 없다.







어쩌면 길을 개척한다는 것은 인간들의 도전과

욕망의 또 다른 표현일런지도 모른다.







인간들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길...

하지만 지금 우리들은 주위 어느 곳, 어느 산에 가더라도

길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과잉된 시대에 살고있다.







길이란 곧 인간들에 대한 영역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길의 과잉은 상대적으로 자연에 대해서는

파괴의 의미에 다름 아닌 것이다.







길이란 여러 형태가 있겠지만, 진정한 의미로서의 길이란 

수많은 족적들이 모이고 모여서 형성된 길이 아닐까 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길은 편리함에만 중점을 둔 무감정의 길이라면,

아날로그적인 길은 인간적인 감성이 소통되고 교류되는 그런 길일 것이다.

이는 문명의 발전이 결코 반갑지만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 이 시간에도 또 어느 곳에서는 크든 작든 새로운 길이

만들어지고 있을런지도 모른다.

부디 그 길만은 일방적이 아닌 서로 오가는 쌍방 소통의 길로서의 역할을

다해나갈 수 있기를 바래본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  (0) 2015.02.10
음악 - (2)  (0) 2015.02.08
집적(集積) - 9 (인간관계)  (0) 2014.09.10
삶, 생명력  (10) 2014.07.23
시간의 흔적  (8) 2014.07.16
Animal




쇠딱다구리, 척색동물 조류강 딱다구리목 딱다구리과의 새이다.






쇠딱다구리 수컷.
정수리부터 몸 윗부분은 흑갈색, 등과 날개에는 흰색 가로무늬가 있으며
가슴 옆에서 옆구리 쪽으로 갈색 세로무늬가 있다.
수컷은 뒷머리 양쪽에 감적색의 작은 반점이 있다.







나무줄기 주위를 빙빙 돌며 꼭대기 쪽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껍질을 쪼아 그 속에 있는 벌레들을 잡아 먹는다.
5~6월 중 한 배에 5~7개의 알을 낳으며, 암수 함께 새끼를 키우지만
수컷이 2:5의 비율로 더 많이 먹이를 공급한다.



.....................................................................................................................................................................................................




마치 모자를 쓴 듯, 이마의 빨간색이 두드러진 큰오색딱다구리 수컷.
배의 윗부분이 흰색이며 아랫부분은 붉은색, 그리고 
가슴과 옆구리에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다.
이것이 오색딱다구리와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울창한 산지와 침엽수림을 서식지로 하며 겨울에는 저지대로 이동한다.
순백색의 얼룩무늬가 없는 알을 3~5개 낳는다.






큰오색딱다구리 암컷. 
수컷은 머리꼭대기 전체가 진홍색이고 암컷은 어두운색이며,
암수 모두 아래꼬리덮깃은 분홍색이다.



.....................................................................................................................................................................................................




청딱다구리 수컷.
이마가 붉은색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흔한 텃새이다.







청딱다구리 암컷.
몸의 아래와 같이 머리도 회색이다







먹이는 곤충 중에서도 특히 개미를 좋아한다.






단독으로 산지 숲에서 살며, 
부리 부분부터 눈까지 이어지는 검은 뺨선이 있다.










'Anim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 19 (참새, 진박새, 백할미새, 왜가리, 딱새, 직박구리)  (0) 2015.01.14
동물 - 15 (오리)  (0) 2015.01.09
곤충 - 25 (잠자리)  (0) 2014.12.13
곤충 - 24 (파리)  (0) 2014.10.19
바다낚시  (10) 2014.07.30
Animal




고추좀잠자리 수컷.

6월 초순에 출현해 여름은 높은지대에서 지내다가 가을이 되면

평지로 이동하여 짝짓기와 알을 낳을 준비를 하며 11월 하순까지 볼 수 있다.


보통 배가 푸른색이면 밀잠자리, 갈색이나 주황색이면 고추잠자리나

고추좀잠자리의 암컷, 빨간색이면 여름좀잠자리 암컷이고 그 중 

몸통 옆에 세 줄이 있는 것은 고추좀잠자리나 여름좀잠자리이다.







고추좀잠자리 암컷.

갓 우화된 개체는 암수 모두 황색이고 배는 주황색이다.

가을이 되면 가슴이 갈색으로 변하는데, 수컷은 배 전체가 적색,  

암컷은 배 위쪽만 적색이 된다.

비슷한 여름좀잠자리 암컷의 경우 가슴쪽 날개에 황색이 많이 스며있고

배 옆의 검은 줄이 굵고 진해 보인다.

수컷의 경우 가슴과 머리도 빨개진다.







밀잠자리 수컷.

주로 평지나 구릉지의 수초가 많은 연못, 습지, 논 등에서 살며

억새나 갈대 잎에 잘 앉는다.

몸이 처음에는 암컷처럼 황갈색을 띠나 성숙함에 따라

배의 앞쪽 절반 정도가 흰색 가루로 덮히고 뒷쪽은 검은색을 띠게 된다.

검은 부분이 4마디면 밀잠자리, 3마디면 큰밀잠자리라고 한다.







성숙하여 혼인색을 띈 고추잠자리 수컷.


어린 개체는 노란색을 띄다가 수컷은 성숙하면 몸 빛깔이 

전체적으로 빨갛게 된다.

평지의 늪지대에서 발생하고 성충은 4~10월에 못, 논, 늪, 

밭, 풀밭 등에서 볼 수 있다.







왕잠자리 수컷의 비행.


연못과 하천, 저수지 등지에서 4월 하순경부터 10월까지 볼 수 있으며,

유충은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1급수는 물론 3급수의 환경에서도 성장한다.

수컷은 서식지 주변의 가장자리를 왕복 비행하며 영역 경계활동을 한다.





.....................................................................................................................................................................................................





어리장수잠자리.

장수잠자리과가 아닌 측범잠자리과의 종이며 이 과에 속하는 잠자리 중

크기가 가장 큰 종이다.







5월 하순부터 6월 초순까지 우화하며 바위가 많은 

유수성 하천에서 볼 수 있다.







큰 몸집에 비해 머리가 작은 것과

이마위에 황색 띠무늬가 있고 겹눈 색깔이 녹색인 것이 특징이다.




.....................................................................................................................................................................................................





                               노란측범잠자리가 긴호랑거미로 보이는 녀석의

                               덫에 걸려들고 말았다.







먹고 먹히는 생존의 현장이다.


잠자리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데 약 3억 년 전인 고생대 석탄기에

이미 존재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시기의 잠자리들은 약 2억 년 전 쯤에 멸종되어 화석의

형태로만 발견되며, 오늘날의 잠자리들은 약 1억 5천만 년 전에

태어난 잠자리의 자손이라고 한다.









'Anim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 - 15 (오리)  (0) 2015.01.09
새 - 18 (딱다구리)  (0) 2014.12.16
곤충 - 24 (파리)  (0) 2014.10.19
바다낚시  (10) 2014.07.30
새 - 17 (참새의 육추)  (6) 2014.06.10
Travel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서부리에 위치한 활엽수림인 계정(桂亭).

수령 10~250여년 된 이팝나무 외 538그루가 모여 숲을 이루고 있으며 

1997년 경상북도 기념물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능묘 입구에는 자인에서 관직을 지낸 사람들의 공덕비들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한(韓)장군 묘.


이곳은 신라 혹은 고려 때 도천산에 왜구가 출몰하여 주민을 괴롭히자

한장군이 누이와 함께 화려한 꽃관을 쓰고 여원무(女圓舞)를 추어 도천산 아래 

버들못(柳堤池)으로 왜구를 유인, 칡그물로 가두어 검흔석(劍痕石)에 올려놓고

참수시켰다는 한장군의 묘이다.

1968년 8월 자인중고등학교 본관 건물 신축을 위해 공사중 석실묘가 발견되어

발굴조사를 한 결과, 두개골이 포함된 유골과 은으로 장식한 갑옷 투구,

녹슨 철제창, 그리고 많은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이 묘를 한장군의 실묘(失墓)라고 확정하고 출토된 부장품은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옮겼으며, 유해는 1969년 5월 10일 이곳에 옮겨 한장군 묘를 만들어 매년 단오절에

한장군 제를 올리고 있다.  

지금은 그 부장품이 2011년 12월 29일 대구박물관으로 이거(移去)되어 보관, 소장하고 있다.







진충묘(盡忠廟).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된 경산자인단오제 여원무의 주인공인 한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며, 일제 때 일본인에 의해 강제 철거되었으나 해방 후

북사리의 한당(韓堂)을 계정숲에 이건(移建)하여 현재의 진충묘가 되었다.

정면3칸 측면1칸 맞배지붕의 사당이다.







자인현청의 본관이었던 시중당(使衆堂).

1637년(인조15)에 자인현감 임선백(任善伯)이 건립한 자인현(慈仁縣)의 정청(政廳)으로 

일명 무금헌(撫琴軒)이라고도 하는데, 여러차례 이건하였다가 1980년에 

현재의 위치인 계정숲으로 이건하였다.


이 숲은 한장군을 모시는 성지로서 그리고 자인 단오굿의 굿판으로서 향토사적 의미가 큰 곳이다.

그 외에도 생물학적, 역사적, 민속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담고 있다.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큰 공을 세운 정기룡 장군의 사당인 경충사(景忠祠) 및 유허지.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 소재해 있으며

정기룡 장군의 유품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6호로 지정되어 있다.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에 위치한 성황사(城隍祠).

이 고장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조선 초기에 창건되었으며 고려후기 명신인 영헌공(英憲公) 김지대(金之垈) 선생을

수호신, 일명 성황신으로 모시고 공의 위업과 영력으로 고을민의 안녕과

부귀를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왔다.

김지대 선생은 젊은 시절 거란과의 전쟁시 國患臣之患, 親憂子所愚,

代親如報國, 忠孝可雙修라는 시를 지어 주목을 받고 조정에 발탁되었다.

이는 '나라의 근심은 신하의 근심, 어버이 근심은 자식의 근심이라,

어버이 대신 나라의 은혜를 갚는다면 충성과 효도를 함께 닦는 것이리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후 전라도, 경상도 안찰사를 역임하면서 청렴과 공정성으로 이름이 높았고

청도를 관적(貫籍)으로 하사받아 청도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후대에 이르러 목조신상은 망실되었고, 사당은 1960년경 풍우에 완전 소실된

것을 1997년에 복원하고, 수호신상은 2009년에 복원하였다.









Natural




가짓과의 덩굴지는 여러해살이풀인 배풍등(排風藤)의 열매.

약재로 사용되며 해열, 이뇨 등에 효능이 알려지고 있다.

한국, 일본, 타이완,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느타리과에 속하는 표고버섯.

봄부터 가을에 걸쳐 밤나무, 떡갈나무 등의 죽은 나무에 기생하거나

저절로 자란다.

식용으로 사용하며 표고버섯에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시키는

특수한 성분이 있다는 것이 밝혀져 고혈압을 예방하는 식품에 많이 쓰이고 있다.







무화과(無花果)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활엽관목이다.

열매인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는 뜻이나 실제로

꽃은 과실 내에서 피며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다.







야광나무의 열매.

야광나무와 아그배나무는 장미과 Malus 속으로 식물학적으로 아주 가까운 

사이이며 꽃이 피는 시기나 열매의 모양 등도 흡사하다.

다만 야광나무는 잎의 가장자리에 잔 거치가 있으며 잎이 갈라지지 않은 반면,

아그배나무는 잎의 거치가 보다 크며 때로 3~5개로 크게 갈라진다고 한다.







벼목 볏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화본과 식물인 수수.

거의 세계 전역에 걸쳐서 식용으로 재배한다.

식량으로서의 품질은 보리와 조에 비해 떨어지지만

메마른 땅이나 습한 땅에도 잘 된다는 잇점이 있다.







                               동북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진 벼과의 한해살이풀인 .

                               중앙 아시아, 인도, 자바, 중국 등지에서 널리 가꾸어 왔으며 

                               우리나라에는 작물로서 중국에서 들여와 오래전부터 가꾸어 왔다.

                               생육 기간이 짧고 건조에도 매우 강하므로 척박한 땅에서도 

                               잘 되며, 흉년이 들었을 때 주식으로도 할 수 있는 작물이다.

                               조의 열매를 찧어 껍질을 벗긴 알을 좁쌀이라 한다.







결실이란 과실이 형성되는 현상을 말하며 결과(結果)라고도 한다.

이는 완전한 종자(種子)를 만들어낼 때에만 그렇게 불리워질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고 결실이란 어떤 일의 완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 해의 끝이자 새로운 한 해의 시작점이기도 한 12월,

부디 알찬 결실을 맺는 한 달이 되시기를...








참고 / 위키백과




'Na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실 - 16 (호박, 감, 레몬, 귤, 파프리카, 고추)  (0) 2016.06.04
군집 (群集) - 4  (0) 2015.09.08
감나무, 감...  (0) 2014.11.19
결실 - 14 (오디, 복분자, 자두, 복숭아, 토마토, 사과)  (10) 2014.09.04
물과 자연  (0) 2014.09.02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