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구지(舊址).
늦은 밤인데다가 내부 수리중이라 외관만 볼 수 밖에 없었다.
상하이는 교통이 편리하고 쑨원이 이끄는 광동정부의 지원도 받을 수 있는 곳이었다.
또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의 조계(租界)가 있어서 일본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조건도 갖추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독립지사들은 상하이로 몰려 들었고, 가장 우호적인 프랑스 인사들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 조계에 살면서 활동한 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수립될 수 있었다.
.....................................................................................................................................................................................................
과거에 훙커우 공원(虹口公园)으로 불렸던 루쉰공원(鲁迅公园)의 입구.
우리에게는 역사적인 현장이지만, 이곳 현지인들에게는
휴식과 재충전의 장소에 다름 아니었다.
루쉰공원은 청조 1896년에 상하이 공동조계 관청이 있었고,
조계의 밖에 있던 농지를 취득하여 조성되었다.
당초에 훙커우 오락장이라 불렸고, 영국 원예가에 의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서양식 정원 양식을 가지고 있다.
1922년에 훙커우 공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37년에는 중일전쟁으로
일본군에 의해 공원 내의 건물들은 파괴되었으며, 1942년에는
일본군의 군사용지로 사용되었다.
일본이 패망하고 철수한 1945년에는 장제스에 의해 중정공원으로
개칭되었지만, 1950년 다시 옛 이름을 찾아 훙커우공원이라 불렸다.
이후 루쉰 선생의 75주년을 기념하면서 1956년 루쉰의 묘를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1988년에 루쉰공원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 루쉰(1881~1936)은 중국 저장성 출신으로 소설가였으며 인민
사상가로도 유명한데, 루쉰은 필명으로 본명은 저우수런(周樹人)이다.
대표작으로는 아큐정전(阿Q正傳)과 광인일기(狂人日記) 등이 있다.
윤봉길 의거의 현장 표식.
그러나 실제로는 이곳에서 조금 더 안쪽으로 들어간 곳이라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國務領, 총리)인 김구는 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天長節)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고,
협의 끝에 윤봉길이 도시락과 물병으로 꾸며진 폭탄을 투척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를 수행했다.
정면에 보이는 건물은 윤봉길의사의 기념관인 매정(梅亭).
윤봉길 의사의 호인 매헌(梅軒)과 정자의 정을 딴 이름으로.
약 20여 평의 정자형태 2층 목조건축물이다.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방중을 맞이하여 루쉰공원 내에 정자 매정을 건립,
2003년 12월에 매헌기념관을 개관하였으나 루쉰공원 전체 개보수 공사에 따라
2013년 9월부터 휴관, 제83주년 윤봉길의사 의거일에 맞춰
2015년 재개관을 하게 되었다.
윤봉길 의사의 전언과 출생 및 국내활동, 그리고 조국 광복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옥외 전시장.
기념관 1층.
추모 흉상을 비롯해 의거의 성과 및 영향, 조국의 광복 등에 대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2층은 영상물 상영 및 교육장소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윤의사가 의거에 사용한 물통형 폭탄(복제품).
이 사건은 장제스 총통이 '우리 중국 사람들도 하지 못한 일을 한 명의
조선 청년이 했다'고 감탄할 만큼 조선인의 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린
사건이 되었지만, 이로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의 탄압을 피해
상하이 인근으로 피신을 하게 되었으며, 1945년 조선이 해방될 때까지
중국 남부지역을 떠도는 계기가 되었다.
의거 당일 아침 한인애국단장 김구의 시계와 맞바꾼 윤의사의 시계(복제품).
윤봉길 의사가 거사를 위해 출발하기 전 김구 선생에게 "저는 앞으로
살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라며 김구 선생의 시계와 맞바꾸었다고 한다.
의거로 인해 총사령관 사라카와와 상하이 일본 거주민 대표였던
가와바타 등이 죽었고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제9사단장 우에다,
중국 주재 일본 영사 시게미쓰 마모루 등이 중상을 입었다.
윤의사가 일본 가나자와에서 순국할 때 묶였던 형틀(복제품).
공원 내에서 병에 채운 물을 먹물삼아 땅바닥에 글을 써내려가는 어르신.
방문객이 한국인임을 알아보고 쓴 글이다.
참조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