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궁궐'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가은오픈세트장은 제1, 제2, 제3촬영장 등 세 개의 촬영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3촬영장부터 역순으로 돌아보기로 한다.

                               그 입구이자 출구이기도 한 성곽의 모습으로 안내 팸플릿에는

                               요동성이라 표기된 곳이다.







제3촬영장은 요동성과 성내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성 위에 올라보니 초가집과 관아, 그리고 약초와 술을 파는 시장이 있는

성내마을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조그마한 미니마을이라 할 수 있겠다.


가은오픈세트장은 부지면적 43,999㎡에 건축면적 3,189㎡의 규모로  

실제 현존하는 고구려성의 답사와 수개월간의 자료조사를 거쳐

충분한 고증을 바탕으로 고건축 복원공법을 통해 재현한 세트장으로

2006년 6월에 완공되었다.







SBS의 '연개소문'을 시작으로 '세종대왕', '왕녀 자명고', '천추태후', '선덕여왕',

'계백', '근초고왕', '광개토대왕', '뿌리깊은 나무', '대왕의 꿈', 영화 '군도',

'정도전' 등이 이곳 가은오픈세트장에서 촬영되었다.







인접한 제2촬영장.

제2촬영장은 안시성과 성내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로 구성된 성내마을.







제2촬영장의 안시성을 나와 제1촬영장으로 향한다.

맞은 편 좌측으로 보이는 건물은 제3촬영장의 시설물들이다.







따가운 햇볕을 받으며 산길을 굽이돌아 오르니 제1촬영장의 평양성이 맞아준다.

제1촬영장은 평양성, 고구려궁, 고구려마을, 신라마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제3촬영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편이다.







주막과 대장간 등이 있는 고구려 마을.







고을의 양반들이 살았음직한 건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신라궁, 그런데 효율적이게도 다른 한 쪽은 고구려궁으로

한 건물에 두 개의 궁궐이 공존하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고구려궁 뒤쪽으로는 김유신, 김춘추, 연태조의 집을 비롯하여 민가,

대장간 등이 세워져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 오픈 세트장은 총 35여 곳이라 한다. 

대부분의 세트장이 수익을 창출하는 곳은 전무한 실정에서

이곳 문경의 문경새재오픈세트장과 가은오픈세트장은 유료관객

66만명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는 케이스라고 한다.

그나마 다행이라 하겠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동구 안심연꽃단지  (0) 2014.09.17
문경 석탄박물관  (8) 2014.08.20
구미 박정희 대통령 생가  (0) 2014.08.12
문경 쌍용계곡  (8) 2014.08.06
부산 금정산 고당봉  (6) 2014.07.15
Travel




대한문(大漢門). 덕수궁미술관을 중심으로 보면 남문이나,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을 중심으로 보면 동문이다.
대한문은 대한제국 출범직후 환구단이 건설되고 궁궐의 동측이
새로운 중심이 되면서 원활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 정문이 되었다고 한다.
창경궁도 정문이 동문이며 덕수궁의 원래 정문은 '인화문'이었다. 






덕수궁 터에는 월산대군(1454~1488)의 후손을 비롯한
왕족들과 고관들의 저택이 있었다.







함녕전(咸寧殿)은 고종이 거처하던 침전이자 승하하신 곳이기도 하다. 
1904년 이곳에서 시작된 불로 경운궁의 거의 모든 전각이 불에 타고 말았다.






덕홍전(德弘殿)은 경운궁의 편전으로 고위관료와 외교사절들을 접견하던 곳이다.
전통양식의 건축물이지만 천장에 샹들리에를 설치하여 서양풍으로 장식했다. 
현존 건물은 1911년에 건립되었다.






궁궐 후원의 언덕 위에 세워진 휴식용 건물인 정관헌(靜觀軒). 
조용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공관이라는 뜻으로 후원의 정자기능을 했다.
한국과 서양의 건축 양식이 혼합된 건축물로 1900년경 러시아 건축가
사바찐(A. I. Sabatin)이 설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인조석 기둥을 줄지어서 내부 공간을 감쌌고,
동남서 세 방향에 베란다를 마련했다.
베란다의 기둥은 목조이며 기둥 상부에 청룡, 황룡, 박쥐, 꽃병 등
한국의 전통문양을 새겼다.
고종황제가 이곳에서 커피를 마시며 외교사절들과 연회를 즐겼다고 한다.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으로 들어가는 정문인 중화문(中和門).
1904년 화재 때 소실되었다가 1906년 중화문과 함께 중건되었다.






덕수궁의 정전이자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사신들의 접견 등
중요한 국가적 의식이 치뤄지던 중화전(中和殿).

1902년에 임시 정전으로 쓰던 즉조당(卽阼堂) 남쪽에 행각을 두르고
중화전을 건축해 궁궐의 중심 영역으로 삼았다.
천장의 용 문양이나 기단부 계단 중앙의 답도에 새긴 용 문양,
그리고 황색으로 칠한 창호 등에서 대한제국의 위상을 느낄 수 있다.
원래 중층 건물이었으나 1904년의 대화재로  이 일대가 모두 불타 버린 후
1906년에 단층으로 규모를 줄여 재건하였다.
중화문과 행각도 함께 다시 세웠는데 현재 행각은 동남쪽 모퉁이 일부만 남아 있다.
경복궁의 광화문, 창덕궁의 돈화문, 경희궁의 홍화문처럼 모든 궁궐은
정문이 남쪽에, 그리고 백성을 교화한다는 의미로 '화'자를 이름에 넣었다. 






                               궁궐 정전의 어계(御階) 답도 가운데 용이 새겨진 곳은 이곳 중화전 뿐이라고 한다.
                               다른 곳은 봉황이 새겨져 있다.
                               어좌 위에는 닫집이라고 부르는 보개(寶蓋)를 달았으며, 용상 뒤에는
                               일월오악병(日月五嶽屛)을 세웠다.
                               천장 중앙에는 감입(嵌入)으로 보개천장을 만들어 황룡 두 마리를 새겨 놓았다. 
                               창덕궁의 인정전과 창경궁의 명정전이 봉황인데 비해 이곳 중화전은 용인 것이다.
                               또한 경복궁 근정전의 용은 칠조룡(七爪龍)인데 비해 중화전은 오조룡이다.






석어당(昔御堂) 한쪽에는 살구나무가... 

석어당(昔御堂)은 중화전의 동북쪽에 있는 건물로, 몽진에서 돌아온 선조가
16년간 거처하다 승하한 유서깊은 건물로 인목대비를 유폐시킨 건물이기도 하다.
광해군이 인조반정으로 쫒겨나면서 석어당 앞에 무릎을 꿇고있는 가운데 
인목대비가 광해군의 잘못을 36가지나 열거하면서 폐위시키고
인조에게 옥새를 전했다고 한다.
이 건물도 1904년 불에 탄 것을 다시 지은 것이다.
덕수궁 내에 현존하는 유일한 2층 목조 건물로 1층은 방과 대청,
2층은 마루를 깐 공간으로 되어 있다.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취두, 용두, 잡상은 없다.






준명당(浚明堂)은 경운궁의 편전 성격을 띤 내전으로 고종이 정사를 살피던 곳이다.
1904년 화재 이후 다시 지어졌으며 함녕전으로 침소를 옮기기 전까지 
고종의 침소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오른쪽은 즉조당으로 준명당과 복도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침 공사중인지 가림막이 쳐져 있어 돌아볼 수가 없었다.

즉조당 일대는 임진왜란 때 선조가 거처했던 전각들을 보존한 곳으로
광해군과 인조가 왕위에 오른 곳이기도 하다.
1623년에 대부분의 전각과 땅을 원 주인에게 돌려 주었으나, 석어당과
함께 이 두 건물만은 보존하여 경운궁의 상징으로 삼았다.
현재의 석어당, 준명단, 즉조당 건물은 1904년에 불에 탄 것을
같은 해에 다시 지은 것이다.  






원래 함녕전의 남쪽 대문이었던 광명문(光明門).

1938년에 석조전 서관을 증축하여 미술관으로 개관하면서 이곳으로 옮겨 왔다.
내부에는 자동 시보장치가 있는 물시계인 자격루(自擊漏, 국보 제229호)와
1462년에 제작된 흥천사의 동종(興天寺銅鐘, 보물 제1460호), 그리고 
화약을 이용하여 100발의 화살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위력적인 무기인
신기전기화차(神機箭機火車) 등을 전시하고 있다.  
다소 어색하고도 뜬금없는 장면이기도 하다. 






석조전(石造殿)은 고종이 침전 겸 편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운 서양식 석조건물로
영국인 건축가 하딩(G, R. Harding)이 설계하여 1910년에 완공하였다.
기단 위에 이오니아식 기둥을 줄지어 세우고 중앙에 삼각형의 박공지붕을
얹은 19세기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었다.
건물의 전면과 동서 양면에 베란다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후에 미술관으로 사용했고, 1938년에 서관(西館)을 증축하면서 
그 앞에 서양식 분수정원도 조성했다.
서관은 의석조(疑石造)로 지은 몸체 중앙에 코린트식 기둥의 현관을 덧붙인 모습이다. 






덕수궁 돌담길.
이 길을 걷다보면 서울시립미술관, 정동극장, 정동교회를 비롯하여
아관파천의 현장인 러시아공사관, 이화학당, 배재학당 등
역사와 문화의 현장과 마주하게 된다.
 
지난 2004년부터 덕수궁 원형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덕수궁 내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도 자리를 옮겼으며, 
그 자리에는 전각을 복원해 대한제국 시절 정궁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할 예정이라 한다.


- 이번 덕수궁을 끝으로 서울의 5대 궁궐을 모두 둘러보게 되었다.
  관련/ 2011/04/08 - [Travel] - 경복궁(景福宮)
            2011/04/01 - [Travel] - 창덕궁(昌德宮)
            2011/03/29 - [Travel] - 창경궁(昌慶宮) 
            2012/05/09 - [Travel] - 작지만 큰 궁궐.. 서울 경희궁(慶熙宮)




참고/ 현장 안내판 등




Travel




경희궁의 정문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된 흥화문(興化門).  
원래는 현재의 구세군빌딩 자리에서 동쪽을 바라보고 있었으나, 일제가 1932년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사당인 박문사(博文寺)의 정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옮겨갔다.
광복 이후, 박문사는 폐지되고 그 자리에는 영빈관에 이어 신라호텔이 들어서면서
그 정문으로 사용되었다.
1988년 경희궁 복원사업이 시작되면서 흥화문을 경희궁지로 옮겨오게 되었는데, 
원래의 자리에는 이미 구세군빌딩이 세워져 있어 본래의 자리에서
100m 뒤로 물러난 현재의 위치에 이전, 복원하였다.  






흥화문을 지난 왼쪽편에는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이 서 있고,
바로 그 안쪽 넓은 공간 뒤로는 숭정전으로 들어가는 정문 격인
숭정문(崇政門)과 마주하게 된다. 








숭정전(崇政殿). 경희궁의 정전(正殿)으로 1618년(광해군 10)경에 건립되었다.  

이곳 숭정전은 국왕이 신하들과 조회를 하거나 궁중연회, 사신접대 등
국가적인 공식 의례가 행해진 곳으로 경희궁의 으뜸가는 건물이다.
특히 경종, 정조, 헌종 등 세 임금이 이곳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던
유서깊은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일제가 경희궁을 훼손하면서 이곳에 있던 숭정전 건물을 
1926년 일본인 사찰인 조계사(曹溪寺)에 팔았다.
원래의 숭정전은 법당 건물로 개조되었고, 현재는 동국대학교 
정각원(正覺院)으로 사용되고 있다.  
숭정전은 경희궁지 발굴을 통하여 확인된 위치에, 
발굴된 기단석 등을 이용하여 복원되었다.  






                               숭정전의 내부.
                               천장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용으로 장식되어 있다.






숭정전 뒤쪽으로는 자정문(資政殿)이 있다.






자정전(資政殿).
이곳은 경희궁의 편전(便殿)으로서 1617~20년(광해군 9~12)에 건립되었다.
편전이란 국왕이 신하들과 정사를 의논하거나 경연을 여는 등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던 곳을 말한다.
경희궁에서는 자정전 외에 흥정당(興政堂)도 정사를 논하거나
경연을 여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자정전은 편전으로 지어졌지만 숙종이 승하하였을 때에는 빈전(殯殿)으로
사용되었으며, 선왕들의 어진(御眞, 초상화)이나 위패가 임시로 보관되기도 했다.
자정전은 일제에 의해 훼손되었지만 서울시의 경희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을 통해 확인된 위치에 현재와 같이 복원되었다. 






태령전 뒤에 위치한 서암(瑞巖).  
바위샘이라는 뜻을 가진 암천(巖泉)으로 불렸으며 바위 속에 샘이 있다. 
본래는 임금님의 바위라는 뜻의 왕암(王巖)으로 불렸는데 그 이름으로 인해
광해군이 이곳에 경희궁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숙종 때에 상서로운 바위라는 뜻의 서암으로 고치고,
숙종이 직접 사방석(四方石)에 서암이라 써서 새겨두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후원에 위치한 서암에서 바라본 경희궁.






태령전(泰寧殿).
본래는 특별한 용도가 없었던 건물인데, 영조의 어진이 그려지자 
1744년(영조 20)에 이곳을 중수하여 어진을 봉안하였고,
영조가 승하한 후에는 혼전(魂殿)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태령전에는 영조의 어진이 모셔져 있다.






                               창건 당시의 경희궁은 창덕궁과 마찬가지로 유사시의 이궁(離宮)으로
                               지어졌으나, 규모가 1,500여칸에 달할 정도로 크고 여러 임금이
                               이곳에서 정사를 보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민족항일기 이후 지금까지는 초라한 길을 걸어오고 있다.

                               그나마 흥화문과 출토된 전돌, 그리고 남아있는 서암을 제외한
                               모두는 근래에 복원된 것이다.
                               따라서 경희궁이라는 이름외에 경희궁지라고도 불릴 수 밖에
                               없는 현실이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
                               더구나 무료입장에도 불구하고 다른 여느 궁과는 달리
                               너무나 한적하기만 해, 지난 소외된 역사와 함께 적막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이다.




                               참고/ 현장안내판 등 






Travel





추가/ 2012년 4월, 광화문 광장에서 바라본 광화문.








궁궐 안쪽에서 바라다 본 광화문.

사적 제117호로 지정된 경복궁은 1395년에 창건된 조선왕조 제일의 법궁이다.
명칭은 '시경'의 '군자만년 개이경복(君子萬年 介爾景福)'이란 글귀에서 따왔다.
북으로 백악산을 기대어 자리 잡았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는 넓은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가 펼쳐져 왕도인 한양(서울)의 중심이었다.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전소되었다가 고종때인 1867년에 이르러서야 중건되었다.
경복궁 안에는 국보인 근정전, 경회루 외에도 왕과 관리들의 정무시설, 왕족들의
생활공간, 휴식을 위한 후원 등 문화유산이 즐비하다.
궁내에 준성된 전각은 총 390여 칸이었다.








경복궁의 중문이자 구중궁궐로 들어가는 두번째 문인 흥례문(興禮門).
흥례문은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세종 때에
처음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국권피탈 후 경복궁은 철저히 짓밟히기 시작하여 일제는 조선총독부를
건립하기 위해 이 일대를 전부 헐어버림으로써 궁궐로써의 면모를
완전히 잃게 만들었다.
이후 1995년 광복 50주년을 기념하여 식민지 정책의 표상이었던
조선총독부 건물이 사라지고, 2001년이 되어서야 이 자리에 본래의
전각들을 복원하면서 경복궁은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간다.








                               영제교 남쪽에서 바라본 근정문(勤政門).
                               근정문에서는 왕과 문무백관이 조참의식(소조회)을 행하였으며
                               즉위식을 거행하기도 하였는데 단종은 근정문에서 즉위를 한 첫 번째 왕이다.








                               입궐하는 신하들의 마음을 씻고 액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 금천(禁川),
                               그리고 이를 지키는 천록(天鹿). 
                               천록은 중국의 공상적인 동물의 이름으로, 노루를 닮아 꼬리가 길고
                               외뿔(一角)인 것은 천록, 두뿔(雙角)인 것을 벽사(僻邪)라고 한다.

                               흥례문 일곽의 가운데에는 백악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
                               즉 금천이 서에서 동으로 흐르도록 한 어구가 있고, 어구의 중앙에
                               영제교(永濟橋)라는 다리가 놓여있다.
                               어구와 영제교는 근정문에서 이루어지는 왕과 신하들의 조회시에
                               신하들이 도열할 위치를 구별하는 경계이기도 했다.








남쪽 행각의 가운데에 위치한 근정문(勤政門).
그 좌우에는 일화문(日華門)과 월화문(月華門)이 있고, 동쪽 행각에는
융문루(隆文樓)가, 서쪽 행각에는 융무루(隆武樓)가 있다.
정전 영역의 입구에 해당한다.








                               국보 제223호로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치르고 신하들의 하례와
                               사신을 맞이하던 장소로 쓰이던 근정전의 조정. 
                               조정이란 넓은 마당을 의미하는데 넓은 박석을 깔고 좌우로 품계석을 설치하였다.
                               이 마당에서는 노인들을 격려하는 기로연(耆老宴)이나 과거시험도 치뤄졌다.
                               정전인 근정전은 궁궐 내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건물로
                               면적도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다.








                               정전의 안쪽에는 바닥에 전돌을 깔고 북쪽 가운데에 임금님의 어좌를 설치하였다.
                               어좌 뒤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해와 달, 그리고 다섯봉우리의 산이 그려진
                               '일월오봉도'를 놓았고 천장에는 칠조룡(七爪龍)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왕과 신하들이 정사를 논하던 편전인 사정전(思政殿).








외국사신의 접대나 군신간의 연회장소로 사용하던 국보 제224호인 경회루(慶會樓).
침전인 강녕전 서쪽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는 작은
누각이었던 것을 태종 12년(1412)에 크게 연못을 파고 지금과 같은 규모로 만들었다.
현재의 경회루는 고종 4년(1867)에 중건된 것이다.

참고로, 지난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이곳 경회루를 둘러볼 수 있는 
특별관람행사를 
인터넷 예약자에 한해서 실시하고 있다.








                               경회루 연못 주변에는 담장이 둘러쌓여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동서남북의 담장이 철거되었으며
                               2004년~2005년에 각각 북쪽과 동쪽 담장이 복원되었다.








경복궁의 서북쪽에 위치한 태원전(泰元殿) 일대.
태원전은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시던 건물이다.








향원정(香遠亭).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연못을 파고 그 가운데에 
섬을 만들면서 지어놓은 2층 규모의 정자로 1867~1873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향원정으로 가는 섬에는 나무로 구름다리를 만들어 취향교(醉香橋)라 하였다.








집옥재(集玉齋).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 이 3채의 건물은 당초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진
건물이었으나, 1888년 고종이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이 전각들도 옮겨온 것이다.
고종은 이 건물들을 어진의 봉안 장소와 서재 겸 외국사신의 접견장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이 3채의 건물은 당시로서는 신식이라고 생각되던 중국풍을 받아들여 경복궁의
다른 전각들과 달리 중국식 양식으로 지어졌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경복궁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기, 저기... (2)  (0) 2011.05.14
여기, 저기... (1)  (12) 2011.05.10
국립서울현충원  (0) 2011.04.07
N서울타워  (16) 2011.04.04
창덕궁(昌德宮)  (17) 2011.04.01
Travel





보물 제383호인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태종12년)에 처음 지어졌다.
지금의 돈화문은 1609년(광해군 원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정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敦化는 '중용'의 대덕돈화(大德敦化)에서 가져온 것으로
'(큰 덕은 백성 등을) 가르치어 감화시킴을 도탑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금천교(錦川橋)와 진선문(進善門).

                               궁궐의 정문을 지나면 금천교에 이르는데 금천교는 1411년에 축조된
                               궁궐의 초입부에 놓인 돌다리로 두 개의 홍예를 내어 풍수지리상
                               길한 명당수를 흐르게 한다.
                               이 다리 아래에는 궁궐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해태상과 거북상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선문은 창덕궁의 중문으로 태종 때 신문고를 설치해 두었던 곳이다.


                               창덕궁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은 물론,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국가의 중요한 행사가 행해졌던 인정전(仁政殿).
국보 제225호로 궁궐의 대표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인정전 월대(月臺)의 중앙 답도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이 새겨져 있다.








                               조선의 궁궐 정전에는 공통적으로 정면에 임금의 용상(龍床)과 나무로 만든
                               곡병(曲屛)을 두고 뒤에는 일월오악병(日月五岳屛)을 둘렀는데
                               일월오악도에는 해와 달, 다섯개의 산봉우리, 폭포, 파도,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천장에는 봉황 한 쌍이 새겨져 있다.
                               1908년 전기시설이 가설되면서 이곳 인정전에 전등이 설치되었다.









창덕궁 인정전의 지붕에는 9개의 잡상(雜像, 어처구니)이 놓여있다.


 







왕비의 침전으로 지어졌으나 임금도 자주 거처하였다는 보물 제816호인 대조전(大造殿).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왕비의 침전인 서온돌과 임금의 침전인 동온돌로 나뉘어진다.
이 건물에는 용마루가 없는데 이는 용으로 비유되는 임금이 잠자는 곳에 
또 다른 용을 나타내는 용마루가 있으면 두 용이 충돌한다 하여 설치하지 않았다고 한다.
1917년 이 건물이 불에 타자 1920년 경복궁의 교태전(交泰殿)을 옮겨다 지었으며,
마지막 임금인 순종이 이곳에서 승하하였다.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후인 순정효황후가 사용했던 침대. 
대조전에 비치되어 있으며 길이 224cm, 폭 154cm, 높이 113.5cm의 크기이다.
1988년경 한차례 일부 수리가 있었으나 매트리스 중앙부가 함몰되고
덮개천도 부분적으로 훼손되어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수리 · 복원하였다.








경훈각(景薰閣) 뒷편에는 계단식 화단인 화계(花階)를
조성하고 괴석을 설치하였다.
좌측 구조물은 벽돌로 쌓아 만든 굴뚝으로 가운데에는 
사슴과 학을 조각해 장식하였으며, 우측 계단과 연결된 문은
북쪽 후원으로 통하는 출입문이다.

 







                               왕세자가 교육을 받거나 책을 읽던 곳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왕가의 내의원으로 쓰이기도 했던 성정각(誠正閣).
                               지금은 후원으로 가는 길에 조선시대에는 중회당이 있었으며,
                               이 일대는 왕세자의 거처인 동궁이었다.
                               또한 순조의 장남인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할 때 주로 기거하면서
                               정궁으로 쓰던 곳이기도 하다.

                               성정각의 동쪽 누각에는 동쪽을 향해 희우루(喜雨樓),
                               남쪽을 향해 보춘정(報春亭)이란 편액이 각각 걸려있다.  
                               희우루는 '가뭄끝에 단비가 내려 기뻐하다'라는 뜻으로
                               1777년(정조1년), 매우 가물었을 때 이 누각을 중건하기 시작하자마자
                               비가 내렸고, 또 얼마간 가뭄이 들었다가 누각이 완성되어 임금이
                               행차하자 또 다시 비가 내렸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보춘정은 '봄을 알린다'는 뜻으로 봄은 동쪽을 의미하며
                               태양이 뜨는 방향, 즉 왕세자를 일컫는다.









                               이 외에도 창덕궁은 비원(秘苑)이라 불리는 아름다운 후원(後苑)과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황실 가족이 마지막까지 머무르던 낙선재가 유명하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창덕궁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서울현충원  (0) 2011.04.07
N서울타워  (16) 2011.04.04
창경궁(昌慶宮)  (14) 2011.03.29
영덕 장사해수욕장에서...  (10) 2011.03.26
영일 장기읍성  (18) 2011.03.08
Travel





창경궁의 정문이자 보물 제384호인 홍화문(弘化門).

창경궁은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이 창덕궁 동쪽에 1483년에 완공한 궁궐로
정희왕후, 소혜왕후, 안순왕후를 위해 지었다.
처음 지을 당시의 건물은 명정전 · 문정전의 정전과 수령전 · 환경전 · 경춘전 ·
인양전 · 통명전 등의 침전 및 양화당 · 여휘당 · 사성각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궁궐 중에서는 유일하게 동쪽을 향해 지어졌으며 창덕궁과
경계없이 하나의 궁궐로 사용하여 둘을 합쳐 동궐(東闕)이라 칭하였다.
창건 초기에는 쓰임새가 그다지 많지 않았으나 임진왜란 때에 경복궁 · 
창덕궁과 함께 불에 탄 이후, 창덕궁과 같이 다시 지어져  정궁의 역할을 하면서
조선왕조 역사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








옥천교(玉川橋)를 사이에 두고 명정문에서 바라 본 홍화문.
옥천교는 명당수가 흐르는 어구(御溝) 위에 설치한 다리다.
조선시대의 왕궁은 모두 명당수 위의 석교를 건너서
정전(正殿)으로 들어가도록 만들어졌다. 








명정문(明政門). 이곳을 들어서면 명정전이다. 

창경궁은 순종이 즉위하면서 부터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09년 궁궐안의 건물들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설치하였으며, 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낮추기도 했다.
그러다가 1984년 궁궐 복원사업이 시작되면서
원래의 이름인 창경궁을 되찾게 되었다.








국보 제226호인 명정전(明政殿).
24개의 품계석(品階石) 사이로 명정문과 연결되는 어도가 깔려있다.
이곳에서는 임금님이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거나 국가적인 행사가
거행되었으며 1544년 인종이 이곳에서 즉위하였다.

정전인 명정전과 명정문, 홍화문은 광해군 8년(1616)에 중건된 이래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 명정전은 창덕궁의 정전과는 달리
남향이 아닌 동향으로, 조선 왕궁의 정전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명정전의 내부 바닥에는 전(塼)을 깔았고, 뒤편 중앙부에는 왕좌인 
                               용상이 있는데 그 뒤로 일월도의 병풍이 놓여져 있다.
                               그 위로는 닫집으로 된 보개(寶蓋)가 있고 천정의 중앙부에는 
                               한층을 접어올린 쌍봉문(雙鳳紋)이 있는 보개천정을 장식하였으며,
                               그 주위로는 우물반자를 하였다.









명정전의 뒷면 중앙 어칸(御間) 앞으로 설치된 복도.
빈양문과 연결되며 이곳을 통하면 바로 내전으로 들어서게 된다.
마주 보이는 건물은 명정전이다.









함인정(涵仁亭)과 그 뒤의 환경전(歡慶殿).
이곳에는 원래 성종 15년에 지은 인양전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인조 11년(1633)에 인경궁의
함인당을 이건하여 함인정이라 했다.
이곳은 특히 영조가 문무과거에서 장원급제한 사람들을
접견하는 곳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보물 제846호인 풍기대(風旗臺). 풍기대 위의 구멍에 깃대를 꽂고 그 깃대에
                               기를 달아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재던 것이다
                               영조 8년(1732)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전체 높이는 228.1cm,
                               하부대석 높이는 92.4cm, 상부 팔각주의 높이는 135.7cm이다.









통명전(通明殿). 보물 제818호이다.
창경궁의 연조 공간으로 명정전 서북쪽에 있으며,
왕과 왕비가 생활하던 침전의 중심 건물이다.
지금의 건물은 순조 34년에 중건된 것으로 지붕 위에는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문화재청 창경궁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N서울타워  (16) 2011.04.04
창덕궁(昌德宮)  (17) 2011.04.01
영덕 장사해수욕장에서...  (10) 2011.03.26
영일 장기읍성  (18) 2011.03.08
포항 구룡포 일본인가옥거리(적산가옥)  (12) 2011.03.01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