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계곡'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계곡을 굽어보고 있는 파오스 사파 레저 호텔.

사파의 첫 5성급 호텔로 사파의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900m 지점에 위치해 있다.







파오스 사파 레저 호텔 (Pao's Sapa Leisure Hotel)로 가는 길.







유려한 곡선을 자랑하는 외관.

주위에 펼쳐진 라이스 테라스의 형상을 닮아있다.







파오스 사파 레저 호텔에서 바라본 사파 시가지.







활짝 열려진 푸른 하늘은 마음을 상쾌하게 해준다.














면적 7252㎡에 레스토랑과 바, 실내수영장, 스파 등을 갖춘

213실의 객실 규모.







계단식 논을 감상할 수 있는 뷰...








Travel




타이베이에서 기차로 이동,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리석 산지인

화롄(花蓮)현 신성역에 도착한다.







타이루거(太魯閣)협곡 동서횡관공로(東西橫貫公路)를 지나면서

웅장한 산세가 위압적으로 다가온다.

타이완의 지형은 산이 많아 전체 면적의 64%가 산지이다.

타이완산맥이 섬의 동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봉우리들의 평균고도는 3000m를 넘는다.







타이루거협곡 일대는 지진이나 태풍, 잦은 비 등으로 산사태가 자주 일어난다.

이곳 역시 산사태가 일어난 지점으로 아랫쪽 도로는 산사태

이전에 사용된 도로라고 한다.

실제로 우리가 방문한 이날에도 바로 몇 시간 전에 지진이 발생했었다.







대리석과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협곡 사이로 리우강(立霧溪)이 흐른다.

병풍이 둘러쳐진 듯한 풍경... 표현 그대로다.







강을 따라 가파른 협곡이 이어진다.

태로각협곡은 대만 최초의 동서관통도로 건설의 기점이다.

현대적 장비를 투입할 수 없는 지역적 여건 때문에 정과 망치 등

수작업에 의해서 건설되었다는 도로...







민간인과 군인 등 약 1만여명이 동원되어 2천여m나 되는 산들로 둘러쌓인

이곳을 횡단하여 서부지방으로 가는 횡단도로를 건설하였다.

192km의 도로를 부상 702명에 212명의 희생자를 내며 1956년 7월 7일 착공하여 

1960년 5월 9일까지 3년 9개월에 걸쳐 완공되었다고 한다.







자모교(慈母橋)와 암반 위에 세워진 자모정(慈母亭).

자모교는 1979년 태풍으로 유실되어 1984년에 사장교로

재건되었다고 한다.







타이루거협곡의 동서횡관공로 공사중 불의의 사고로 죽은 아들의

소식을 믿지못한 어머니가 아들이 오기만을 계속 기다렸던 자리,

그 자리에 세워진 다리의 이름이 자모교(慈母橋)라 한다.

또 다른 이설로는 장총통이 어머니를 생각하며 만들었다고도 하며,

절충형으로는 아들이 공사중 사망을 하자 어머니가 따라 죽었는데

당시 공사 책임자였던 장제스 총통의 장남인 장경국이 이 다리의 이름을

자모교라고 지었다고도 한다.

아무튼...







협곡을 따라 흐르는 강물의 색깔이 희뿌옇다.

석회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렇다는데, 물론 생물도 살지 못한다고 한다.







협곡을 가로지르는 출렁다리.







여행 가이드가 계곡 맞은편 산 정상을 바라보라고 해서 쳐다보니

무슨 구조물 같은 것이 아주 까마득하게 보인다.

아래 사진 우측 상단의 사진이 바로 그 구조물인데, 아랫쪽에서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장치라고 한다.

원주민인 아미족(阿美族)이 사는 마을이 바로 그곳이라고...


타이완의 중앙산지에 거주하는 원주민을 고산족(高山族)이라고 하는데

산포(山胞)라고도 한다.

인도네시아로부터 최초로 타이완에 건너와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타이완의 원주민은 14개 소수민족만 남아 있다고 한다.







원주민들은 성인이 되면 얼굴에 문신을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사냥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된 남자는 이마와 입술 아래 턱 위에 세로로 문신을 하고, 

베틀을 짤 수 있는 나이가 된 여인은 이마와 입술 주변부터 귀까지 두툼하고 시커멓게 

그물 모양의 문신을 한다고 한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완 여행 - 6 (예류지질공원)  (0) 2016.08.23
타이완 여행 - 5 (장춘사)  (0) 2016.08.19
타이완 여행 - 3 (지우펀, 충열사)  (0) 2016.08.09
타이완 여행 - 2 (단수이, 스펀)  (0) 2016.08.04
타이완 여행 - 1  (0) 2016.08.02
Travel




그 옛날 청룡과 황룡이 살았던 곳이라 해서 쌍용계곡이라고 했다던가...

그 중에서도 사우정(四友亭)이라는 정자가 떡 버티고 서 있는 곳에서

잠시 더위를 피했다.


사우정은 정자의 네 기둥에 적혀있는대로 고산(高山), 유수(流水), 

명월(明月), 청풍(淸風) 이 네가지를 벗하며 살아가자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고 한다.  







                               마침 때가 때인지라 이곳도 여지없이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고,







바로 옆, 계곡을 끼고 휘돌아 가는 산의 녹음은

물만큼이나 시원하게 다가온다.







                               바위에 뿌리를 박고있는 소나무 또한 

                               그 자체로도 완벽하게 조화롭고...







물이 있는 이상, 이곳에는 더위가 발붙일 틈이 없다.







오후 늦은 시간이 되자 이곳 계곡은 평정을 되찾았다.

수 많은 사람들로 시달림을 받았을, 그러나 지금 그들은 떠나가고 없다.

오롯히 휴식만 있을 뿐, 한적하기 그지없는 풍경이다.







저 앞, 산의 품속으로 뛰어든 건물 또한

말 그대로 운치있는 풍경을 만들어 놓고 있었다.

몇 년전 잠시 머물기도 했던 STX리조트가 바로 저기였던 것이다.



관련 / 2010/03/01 - [Travel] - 문경 STX 리조트







바로 이곳에서 건져올린 다슬기...

경상도에서는 고디, 전라도에서는 대사리, 충청도에서는 올갱이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는 바로 그 놈이다.




...............................................................................................................................................................................





되돌아 오는 길, 문경시 창동쪽 영강을 따라가다

잠시 강물에 발을 담궈보기도 했다.

쌍용계곡 역시 영강의 일부분이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가은오픈세트장  (8) 2014.08.19
구미 박정희 대통령 생가  (0) 2014.08.12
부산 금정산 고당봉  (6) 2014.07.15
부산 범어사 금강암  (8) 2014.07.09
부산 범어사  (8) 2014.07.08
Travel




                               가을빛이 가득한 내장사를 나와 하산길로 접어든다.

                               하산길 역시 단풍의 연속이다.







버릴줄 아는 것도 행복해지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터...

계곡을 흐르는 물 속에도 가을이 들어와 앉았다.







내장산 단풍은 잎이 얇고 작아서 단풍이 잘 들며 빛깔이 곱고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게다가 설악산에는 6종류, 오대산에는 4종류의 단풍나무가 있는 반면

이곳 내장산에는 무려 11종류가 있다니 단풍절경으로 이름난 것도 무리는 아닐성 싶다.







내려가는 내내 자동차 도로와 오솔길, 

그리고 정감있어 보이는 하천이 경쟁하듯 쭉 이어진다.







                               도로를 따라 내장사에서 매표소까지 이어지는 단풍터널.

                               내장산 단풍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곳이라 하나 당시에는 

                               시기적으로 그다지 큰 화려함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았다.







정자(亭子)에 날개가 돋쳐 승천하였다는 우화정(羽化亭).

물안개와 단풍으로 잘 어울리는 곳이라 한다.







길 위로는 낙엽으로 쌓이고,

이곳 우화정 연못가에는 탐방객들이 던져놓은 동전으로 쌓여간다.







마치 물감을 풀어 놓은 듯...

상투적인 표현이라 할지라도 사실이 그런 것을 어찌하겠는가.

이렇듯 아기자기하고 화려한 단풍길은 계속된다.







똑 같은 단풍나무라 할지라도 지금은 다 다른 얼굴이다.

미묘한 색의 변화, 자연의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의 차이가 

이렇게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지금 이 시간, 자연이 주는 선물에 그저 감사하고 행복할 뿐이다.







보이는 풍경만으로도 피로를 풀기에는 모자람이 없다.







적어도 이곳에서 만큼은 주인공은 사람이 아니다.

비록 인공적으로 심어놓은 나무이기는 하지만 시선을 끌어 당기는 힘은 대단하다.

불길속으로 빠져든 가을...

하지만 머지않아 그 불은 꺼지고 겨울이라는 이름의 회색빛 재로 남게 되겠지.







순환버스와 함께 매표소에서 내장사 일주문 앞 

케이블카 승강장까지 운행중인 단풍열차.


속세(俗世)로 나가는 사람들, 그리고 이곳 선경(仙境)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서로 마주쳐 지나간다.

누구라 할 것 없이 모두 다 행복한 표정이다.

그러나 이제 곧 단풍 색깔만큼이나 현란하고 어지러운 세상과 

또다시 만나야 할 시간이다.







■ 주요 탐방코스

▶ 산책코스 / 탐방안내소 - 원적암 - 벽련암 - 탐방안내소 (3.8km, 2시간)

▶ 서래봉코스 / 탐방안내소 - 벽련암 - 서래봉 - 불출봉 - 원적암 - 탐방안내소 (5.9km, 3시간)

▶ 신선봉코스 / 탐방안내소 - 금선계곡 - 신선봉 - 까치봉 - 탐방안내소 (7.8km, 4시간)

▶ 능선일주코스 / 탐방안내소 - 서래봉 - 불출봉 - 망해봉 - 연지봉 - 까치봉 - 신선봉 - 연자봉 - 장군봉 - 동구리 (12.8km, 7시간)


내장산에서 가장 많은 탐방객이 이용하는 코스는 탐방안내소-서래봉-불출봉-탐방안내소로

소요시간은 4시간이며 거리는 5.65km이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리(Bali) - 포시즌스 짐바란 (2)  (8) 2012.11.28
발리(Bali) - 포시즌스 짐바란 (1)  (6) 2012.11.27
내장산 (2) - 내장사  (8) 2012.11.14
내장산 (1) - 서래봉, 불출봉  (10) 2012.11.13
포항 호미곶 해맞이광장  (6) 2012.11.07
Travel




정면으로 보이는 무변루(無邊樓)와 양쪽의 동·서재.

옥산서원(玉山書院)의 가장 핵심적인 공간인 구인당(求仁堂)에서 

내려다 본 모습이다. 


조선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였던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을 

배향(配享)하고 있는 옥산서원은 경주시 안강읍에 위치하고 있다.







옥산서원 현판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글씨이며 바로 그 뒤에는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가 쓴 또 다른 현판도 걸려 있다.

그리고 안쪽의 구인당(求仁堂) 현판과 무변루의 현판은 한호(韓濩), 

즉 한석봉(韓石峯)의 글씨라고 한다.



▶ 관련/ 옥산서원




...............................................................................................................................................................................





독락당(獨樂堂)의 대표적 공간인 계정(溪亭). 

계곡을 따라 지어진 정자가 시원하다.

옥산서원 인근에 위치한 독락당은 회재 이언적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지은 집이다.



▶ 관련/ 독락당




...............................................................................................................................................................................





보물 제442호인 관가정(觀稼亭).

'농사짓는 모습을 내려다보는 정자'라는 뜻으로, 실제로 

이곳에서는 양동마을 입구 반대편의 넓은 평야가 한 눈에 조망된다.

관가정은 조선 전기의 관리로서 중종 때 청백리로 널리 알려진 

우재(愚齋) 손중돈(孫仲暾)이 분가하여 지은 집이다.


경주시 강동면에 위치한 양동마을은 경주 손씨와 여주 이씨를 

중심으로 형성된 씨족마을이자 성리학의 정립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던 회재 이언적 선생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이전에 다녀올 때와는 달리 이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어서인지 주차장도 넓게 만들어져 있고 문화관도 

반듯하게 지어져 있었다.







여강 이씨의 대종가인 무첨당(無忝堂).

조선 중기에 세워졌으며 보물 제411호이다.

무첨당이란 '조상에게 욕됨이 없게 한다'라는 뜻이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 상류층의 건물로 종가집 본채의 

사랑채와는 별개로 손님을 접대하거나 독서 등을 

할 수 있는 정자와 비슷한 성격의 사랑채이다.







무첨당 편액 오른편에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집권 전 이곳에 

들러 죽필(竹筆)로 썼다는 좌해금서(左海琴書)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영남(左海)의 풍류(琴)와 학문(書)'이라는 뜻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23호인 서백당(書百堂).


조선 전기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경주 손씨의 큰 종가로 

회재 이언적(1491~1553) 선생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서백당은 '참을 인(忍) 자를 1백번 쓰며 인내를 기른다'는 뜻이다.







사랑채 안마당에는 500여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향나무가 서 있고, 그 뒤로는 사당이 자리하고 있다.







위쪽의 기왓집은 보물 제412호로 지정된 향단(香壇)이다.

회재 이언적 선생이 모친 병환을 위하여 돌아왔을 때 중종이 지어준 

건물로 원래는 99칸이었는데 지금은 56칸이 보존되고 있다고 한다.



▶ 관련/ 양동마을



독락당은 물론, 양동마을 대부분의 집들은 실제로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이라 접근이 쉽지 않았다.

아예 문을 걸어 잠그고 접근을 원천 봉쇄한 집도 적지 않았다.

수 많은 관광객들에 의해 사생활이 침해를 받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풀이해 본다.








Travel




석문(石門).
바위와 절벽 사이로 자연적인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석문이라 붙여졌다.
이곳을 통과하면 이 골짜기의 또 다른 세계, 곧 선경(仙境)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석문이라는 글씨가 바위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또 다른 바위에 남아있는 글씨, 이로 미루어보아 옛날 이곳에는
산수정(山水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아닌게 아니라 그 사실을 입증하기라도 하듯, 최근 그 곁에는
                               조그마한 정자가 하나 들어섰다. 
                               그러나 원래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산수정은 1893년 각남면 진사인 소강(小岡) 최익주(崔翼周, 1851~?)가
                               창건한 정자로, 고을의 인사들이 산수계(山水契)를 만들어
                               사계절 이곳에서 시를 짓고 읊었다고 한다.
                               이곳을 시정(詩亭)골이라 부르는 것은 여기서 유래한다.

                               1962년, 남산계곡에 있던 퇴락한 산수정의 목재와 기와를 
                               화강지 언덕으로 옮겨와 화악루(華岳樓)를 지었다.   







                               유하담(流霞潭).
                               '유하(流霞)'는 '신선이 마시는 좋은 술'이라는 의미도 있고,
                               글자 그대로 '흐르는 노을'을 뜻하기도 한다.
                               이곳의 경치에 취해 술을 마시면 그 술이 바로 유하주일 것이요,
                               햇살에 금빛 노을처럼 일렁이는 물결을 품었으니 그 또한 유하담인 것이다.






                               계곡과 정자가 어울려 한 폭의 그림이 되었다.
                               아마도 녹음이 짙어지면 또 다른 풍경이 되어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누각.
                               조그맣게 조성된 광장에는 이제껏 거쳐왔거나 앞으로 마주치게 될
                               명소들을 알리는 표지석이 놓여있다.






                               남산계곡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는 소(沼).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이곳의 지형은 대체로 완만하다. 
                               따라서 웅장하다기 보다는 오히려 아기자기하다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릴 것 같다.






                               '기러기가 내려앉은 형상의 봉우리'라는 뜻을 가진 낙안봉(落雁峯).
                               낙안봉 일대는 큰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가운데
                               기러기 형상의 바위에 글을 새겨 놓았다.
                               이는 중국 화산의 남쪽 봉우리가 낙안봉이라 부른 것에서 유래한다.






                               금사계(金沙界).
                               '더 이상 세속(世俗)의 유람객은 올라오지 말라'는 뜻을 품고 있다. 
                               금사계는 불교 용어로 '금모래가 펼쳐진 세계'를 의미하며
                               관세음보살의 주거처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 계곡 위쪽에는 신둔사가 위치해 있다.

                               금사계 맞은편 높은 바위에는 주자가 지은 '무이구곡가' 중
                               제8곡의 마지막 시구에서 빌려온 '막언차지무가경
                               자시유인불상래(莫言此地無佳景 自是遊人不上來,
                               이곳에 아름다운 경치가 없어 유람객이 올라오지 않을 것이라
                               말하지 마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취한 것으로 여기서 끝이 아니라 계속해서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져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 금사계를 끝으로 위쪽으로는 신둔사로 향하는
                               포장도로와 연결된다.






                               이 외에도 연주단(聯珠湍), 일감당(一鑑塘), 옥정암(玉井巖),
                               용항 등의 볼거리와 글씨가 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외형상 이곳 남산계곡은 다른 여느 계곡과
                               크게 다를 바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속에서 지난날 우리 옛 조상들의 풍류와 정취를
                               발견하고 그 숨결을 느낄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다소 의외였다.

                               이 밖에도 이곳 인근에서는 보조국사가 손수 심었다는 수령
                               800여 년의 은행나무가 있는 적천사를 비롯, 죽림사 등
                               신라 고찰과도 만날 수 있다.
                               특히 남산계곡 초입에 있는 석빙고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청도읍성, 향교, 도주관 등
                               선조의 얼이 담긴 문화유적들을 함께 탐방할 수 있다.



                               ▶ 관련 / 2011/07/12 - [Travel] - 청도 - 청도읍성, 선정비군, 석빙고, 도주관, 척화비
                                              2011/10/26 - [Travel] - 청도 남산 (南山), 그리고 신둔사(薪芚寺)









Travel



                               너무나도 평범해 보이는 계곡의 초입,
                               그러나 이 속에는 옛 선인들의 풍류가 숨어 있다.





남산계곡은 청도 화양읍 남쪽에 솟아 있는 남산(해발 870m)에서
발원해 화양읍내로 흘러드는 1.5km에 이르는 계곡이다.
군데군데 아담한 소(沼)들이 자리잡고 있는데다가 울창한 숲이 더해져
예로부터 이 고장 선비들이 즐겨 찾아왔으며, 자연을 벗삼아 
한시를 읊으며 마음을 달래던 흔적들이 도처에 흩어져 있다. 
남산 13곡이라 하여 13곳의 볼만한 곳이 있었다고 전해지기도 하는데 
지금은 정확하지 않다. 






                               작은 폭포인 '청수대'를 지나자 계곡의 암반 위에 올려진
                               음용지(飮龍池)라고 쓰여진 커다란 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물을 마시는 용의 모습을 닮은 웅덩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때 극심한 가뭄시 군수가 직접 기우제를
                               지냈던 곳이라 하며 일명 기우단(祈雨壇)이라고도 하는데
                               주민들은 이곳을 용지골이라 부르고 있다.






계곡을 끼고 오르는 길은 대체로 완만한 편이어서 큰 어려움은 없다.

큰 바위에서 떨어져 나와 비스듬히 넘어져 있는, 
백석뢰(白石瀨)라고 쓰여진 바위이다.
'흰 돌이 아름답게 펼쳐진 여울'이라는 의미이나
주위에 흰 돌이 남아있지 않아 예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봉화취암(奉和醉巖).
                               위쪽에 취암(醉巖)이라고 새겨진 바위가 또 하나 있다.
                               아들 도우엽(都宇燁)이 아버지 도필락[都必洛, 아호는 일취(一醉)]의 
                               시에 운을 받들어 시를 읊었다고 해서 봉화취암이라 한다.
                               우엽은 자(子)이며 이름은 석만(錫晩)이다. 






                               '취암아래 흐르는 천백 구비 물결 숲의 새소리 빗소리와 어우러졌네
                               온종일 더디게 앉아 있노라니 높은 바위에 사무치는 그리움이여'

                               이 바위에는 도우엽을 비롯하여 하두은(河斗銀)과 김극철(金克喆),
                               손종진(孫鐘震)의 시가 함께 새겨져 있다.






또 다른 바위에 새겨진 시 한 수.






길게 펼쳐진 반석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구름이 흐르듯 
비단을 깔아 놓은 듯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운금천(雲錦川). 






운금천은 너럭바위 위에 흐르는 물과 큰 바위들로 이루어진 
구역으로 선인들이 시를 읊으며 놀던 흔적들이 남아있다.
김학연(金學鍊)의 시 1수와 사람들의 이름이 보인다. 






청도의 문사(文士)들이 시회(詩會)를 열고 풍류를 즐기던 취암(醉巖). 
이곳을 중심으로 위 아래 4개의 바위에 우엽의 봉화취암 시 1수와
그 외 3수, 김윤하(金允河)의 시 1수, 운금천 바위에 김학연의 시 1수 등
총 11수의 한시가 새겨져 있다. 
내용은 인생사의 부침(浮沈)을 노래하였으며, 모두 오언절구(五言絶句)에 
성(聲)과 정(情)을 운자(韻字)로 해서 지은 시들이다.  

또한 취암에는 도광(道光)18년 무술(戊戌)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1838년(조선 헌종4년)에 해당된다.
송나라의 대문호인 취옹(醉翁) 구양수(歐陽脩)의 풍모를 본받는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질양석(叱羊石). 
                               길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데다가 잡풀에 가려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  
                               '양을 부르는 바위'라는 뜻으로 질석성양(叱石成羊)이라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중국 위진시대 목동 황초평(黃初平)이 도사를 만나 금화산(金華山)의 
                               석실로 들어가 버렸다.
                               그의 형이 수년 동안 찾아다니다 겨우 만나 양은 어떻게 되었는지를
                               묻자, 산의 동쪽에 있다고 했다.
                               가서 보니 모두 흰 돌 뿐이었는데, 초평이 그 돌을 꾸짖으며 
                               '일어나라'고 외치자 수 만마리의 양으로 변했다고 한다.
                               흰 돌이 많은 것을 두고 이렇게 부른 것이다.






만옥대(萬玉臺).
글씨가 쓰인 바위에 흘러내리는 물줄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 아니라,
맞은 편 벼랑 아래 층층의 폭포에서 시원스럽게 쏟아져 내리는
포말이 수만 개의 구슬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 것이다.


옛 선인들은 이곳에서 풍류를 즐겼고, 오늘날 우리들은
이 계곡을 따라 오르며 하나하나 그 흔적을 찾아가기에 바쁘다.



참고/ 현장 안내판 등




Travel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9호인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線刻如來坐像).
                               삼릉계석불좌상을 지나 조금만 올라가면 만날 수 있다. 
                               






                               상선암 바로 위쪽에 위치한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이다.
 






능선 안부에서 왼쪽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신들이
바둑을 두었다는 바둑바위가 나온다.
그곳은 전망이 좋아 경주시내가 한눈에 조망된다.
포석정, 첨성대, 황룡사지, 천마총, 대릉원, 분황사 등...






갔던 길을 되돌아와 안부의 오른쪽으로 발걸음을 계속한다.
산행의 출발점인 삼릉과 주차장이 보이고...






                               이미 지나온 조그마한 암자인 상선암도 내려다 보인다.






물론, 마애석가여래좌상도 예외는 아니다.
아랫쪽에서 바라본 것과는 달리 주위의 풍경과
어울리니 더 장엄한 느낌이다.






남산에는 고위봉(高位峰, 494m)과 금오봉(金鰲峰, 468m)의
두 봉우리가 솟아 있는데, 이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40여 계곡과
산, 밭들을 모두 합쳐서 남산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곳 금오산 정상은 주위가 나무로 가려져 있어 특별한 조망은 없다. 


▶ 남산(南山)과 또 다른 산 망산(望山, 망성산)의 유래







                               금오산 정상을 내려서니 제법 넓은 신작로길이 나타난다.
                               그 길을 따라 잠시 내려오다가 용장사지 방향인 오른쪽으로 접어들고,
                               얼마못가 보물 제186호인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과 마주치게 된다.
                               경사면 위에 세워져 있어 조망이 시원하다.







                               용장사곡 삼층석탑 아랫쪽에 위치한 보물 제913호인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바로 그 왼편으로는 보물 제187호이자 삼륜대좌불(三輪臺座佛)로도 불리는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이 위치하고 있다.
                               


                               용장사(茸長寺)터는 신라 유가종(瑜伽宗)의 대덕 태현(太賢, 대현)이 주지로
                               거주하신 곳이며, 조선 세조 때의 대학자이자 승려인 
                               설잠(雪岑)스님[매월당(梅月堂) 김시습]이 은거하며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집필한 곳이기도 하다. 
                               현재 몇 군데의 석축(石築)이 남아 있어 절터였음을 짐작하게 해 줄 뿐이다.
 

                               ▶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과의 대면을 마지막으로 용장골을 내려온다.
                               잔잔한 계곡의 물 소리를 음악삼아 내려오는 길은 경관이 수려하다.

                               용장계곡(茸長谷)은 금오봉과 고위봉 사이의 골짜기로 남산에서 가장 큰 계곡이며, 
                               용장사지 등 18개소의 절터와 7기의 석탑, 그리고 삼륜대좌불 등 
                               5구의 불상이 남아 있다.





                               용장골에서  <매월당 김시습>


                               용장골 골 깊으니                                         茸長山洞窈 (용장산동요)
                               오는 사람 볼 수 없네                                    不見有人來 (불견유인래)

                               가는 비에 신우대(조릿대)는 여기저기 피어나고   細雨移溪竹 (세우이계죽)
                               비낀 바람은 들매화를 곱게 흔드네               斜風護野梅 (사풍호야매)

                               작은 창가엔 사슴 함께 잠들었어라               小窓眠共鹿 (소창면공록)
                               낡은 의자엔 먼지만 재처럼 쌓였는데            枯椅坐同灰 (고의좌동회)

                               깰줄을 모르는구나 억새처마 밑에서             不覺茅簷畔 (불각모첨반)
                               들에는 꽃들이 지고 또 피는데...                   庭花落又開 (정화락우개)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염불암(念佛庵)  (10) 2012.01.26
팔공산 부인사(符仁寺)  (9) 2012.01.12
경주 남산 - (1)  (10) 2011.12.16
베트남 - 공항에서  (10) 2011.11.30
베트남 - 자연  (8) 2011.11.27
Travel




                               사창골에서 주방천(周房川)길로 내려서면서
                               가을의 흔적을 눈에 담는다.
                               제3폭포는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면 되지만
                               시간의 여유가 많지 않아 그대로 지나친다. 






대체적으로 한산한 분위기다.
단풍은 곳곳에서 밝은 표정으로 반겨주고,
발걸음도 덩달아 가벼워진다.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이 깃든 주방천계곡의 제2폭포(용폭포).

                               이곳 계곡 곳곳에는 물과 바위가 만나서 형성된 폭포,
                               또는 소(沼)가 산재해 있어 눈을 즐겁게 해준다.






주왕산의 매력은 산 입구에서부터 제3폭포에 이르는 약 4km의 계곡길이다.
특히 상의매표소 - 대전사 - 주왕암 - 급수대 - 제1폭포 - 제2폭포 - 제3폭포 -
내원동 회귀코스는 아주 완만한 길이어서 누구나 쉽게 다녀올 수 있다.
그래서인지 계곡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많은 인파로 번잡해진다.






                               또 다시 개울을 따라 내려가니 바위를 두 개로 쪼갠듯한 
                               거대한 단애가 나타난다.
                               하늘을 찌를듯이 우뚝 선 그 두 개의 바위 틈 사이로는 길이 나 있다. 
                               과연 자연이 만들어 놓은 비경이라 아니할 수 없다.

                               주왕산의 절경을 이루는 암석들은 화산의 분화구에서 폭발한
                               뜨거운 화산재가 지면을 따라 흐르다가 쌓여 굳어진
                               회류 응회암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회류 응회암들은 침식에 약하기 때문에 풍화의 차이에 따라
                               수직절벽이나 계단모양의 지형, 폭포 등을 만들어 내게 된다.
                               주왕산을 형성한 화산 활동은 지금으로부터 약 7천만년전으로
                               추정되는데, 이 때는 지질학적으로 중생대 백악기 후기로
                               공룡들이 떼지어 살던 시기에 해당된다.






선녀폭포라고도 불리우는 주왕산 제1폭포.
생각보다는 낙차가 그리 크지 않다.
그러나 주위로 버티고 선 높은 암벽 때문인지 
왜소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태백산맥의 끝단에 위치한 주왕산은 기암절벽이 너무도 유명하여
                               한 때는 석병산(石屛山)으로도 불리웠다.
                               곳곳에 주왕의 전설이 있는 특이한 바위와 굴이 있으며
                               유난히 색이 짙은 철쭉과 아름다운 단풍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올해의 단풍은 생각보다 그리 곱지가 않다.






                               생김새가 떡을 찌는 시루와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 시루봉.
                               측면에서 바라보면 마치 사람의 옆모습처럼 보이기도 한다.
                               시루봉에는 옛날 어느 겨울, 한 도사가 이 바위에서 도를 닦고 있을 때
                               신선이 와서 불을 지펴 주었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으며 바위 밑에서
                               불을 피우면 그 연기가 바위 전체를 감싸면서 봉우리 위로 치솟는다고 한다.

                               이 계곡을 따라 내려가면서 아들바위, 학소대, 급수대,
                               망월대 등의 기암들과 만나게 된다.






주왕산 입구쪽인 대전사(大典寺)로 들어섰다.
사찰 뒤 왼쪽으로는 장군봉, 오른쪽으로는 기암(旗岩)이 버티고 서 있다.
특히 기암은 주왕산의 상징과도 같으며 주왕이 대장기를 세웠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한가운데에는 두 조각으로 갈라 놓은 듯 금이 가 있는데 고려시대 장군
마일성이 쏜 화살에 맞아서 생긴 것이라 전해진다.






갈색으로 물들어가는 숲 위로는 장군봉이 높이 솟아 있다.

주왕산 상의매표소를 통과하면 바로 만나게 되는 대전사는
신라 문무왕 때 창건되었으며 최치원, 나옹화상, 도선국사, 보조국사,
무학대사, 서거정, 김종직 등이 수도했고, 임진왜란 때에는
사명대사 유정(惟政)이 승군(僧軍)을 훈련시키기도 했다고 한다.






진입로 옆 먹거리 상가에는 사과와 대추를 넣은 
동동주가 익어가고 있다.
여기에 더덕, 인삼, 당귀 등 한약재를 넣어 만들기도 한다.

길가에 늘어놓은 각종 약재와 과일 등에서 풍성한 가을을 
확인하며 하루의 산행을 마감한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 하롱베이 (2)  (8) 2011.11.16
베트남 - 하롱베이 (1)  (11) 2011.11.11
청송 주왕산 절골, 가메봉  (6) 2011.11.04
청송 주산지 (注山池)  (10) 2011.11.02
베트남 - 하롱베이 스케치  (10) 2011.10.28
Travel




오랜만에 가을을 느껴보기 위해 나선 산행이다.
간단하게 주산지를 둘러보고 곧장 절골로 향했다.
절골로 향하는 길에는 탐스러운 사과들로 풍성하다.
여느 시골 풍경과 다름없는 한적한 길을 산책하듯 걸어가니 
절골탐방지원센터가 나온다.






                    절골탐방지원센터를 시작으로 대문다리를 통과하여
                    가메봉에 오른 뒤 사창골로 하산하여 후리메기삼거리와
                    제2, 1폭포를 지나 대전사를 거쳐오는 코스이다.






절골탐방지원센터를 지나자마자 길이 좁아지면서
바로 계곡이 시작된다.






특별한 인공미가 없는 순수한 자연 그대로의 퐁경이다.
등산로는 물길을 따라 골 안쪽으로 쭈욱 이어진다.

절골은 주왕산 남쪽 이전리에서 주왕산국립공원 중에서
제일 높은 왕거암을 향하여 패여 들어간 계곡이다.






대체로 평탄한 길이 계속된다.
요리조리 물길을 피해다니며 야트막한 산길을 걷다가
또 다시 개울을 건너기를 반복한다. 
길조차도 전혀 가공되지 않아 자연스러움이 넘쳐난다.






                               건너기가 어려운 지점에는 데크 다리를 놓아 두었다.
                               이 다리는 절골에 설치된 유일한 인공물이다.






                               잠시 숨을 돌리며 뒤를 돌아본다.
                               가을 단풍이 절정기일텐데도
                               생각보다는 그리 현란하지는 않다.
                               오히려 은은한 단풍색이 경박하지 않고 품위까지 묻어나 보인다.






                               길이 이어지다가 끊어졌다 싶은 곳에는
                               어김없이 돌로 만들어진 징검다리가 기다리고 있다. 
                               돌다리를 골라 밟는 것조차도 큰 즐거움이다.

                               주위 풍경에 취해 걷다보니 도무지 지겨울 틈이 없다.
                               어느정도 갔을까, 갈전골과 갈라지는 합수점인 대문다리가 나오고
                               조금 더 걸어가다보니 가메봉 1.5km 이정표가 나온다.
                               완만하고도 아기자기한 계곡길은 이곳에서 끝이 나고
                               가메봉까지는 가파른 언덕길이 계속된다.






                               가메봉(882m)에 올라 바라본 주왕산의 실질적인
                               정상인 왕거암 (907.4m). 
                               왕거암은 사진에서 왼쪽 봉우리로 바로 지척으로 다가온다.
                               가메봉은 왕거암에 이어 주왕산에서 두번째로 높은 봉우리다.






지나온 절골과 남쪽방향으로의 조망.

주왕산은 주방천 계곡외에도 제3폭포 위쪽의 큰골계곡과
주왕산 북쪽으로 가메봉, 왕거암, 느지미재, 명동재, 먹구등,
금은광이,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긴 능선과
그 외곽으로 형성된 넓은 공원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낙동정맥길이 길게 이어진 북쪽 방향으로... 

이곳 가메봉 정상에서 주위를 조망하며 휴식을 취한 후
사창골을 통해 하산을 시작한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 하롱베이 (1)  (11) 2011.11.11
청송 주왕산 주방천길  (8) 2011.11.09
청송 주산지 (注山池)  (10) 2011.11.02
베트남 - 하롱베이 스케치  (10) 2011.10.28
청도 남산 (南山), 그리고 신둔사(薪芚寺)  (10) 2011.10.26
Travel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에 위치한 천령산(天嶺山)의 우척봉(牛脊峯, 775m),
그곳에 올랐다. 초입부터 하늘을 뒤덮은 숲길이 정상까지 그대로 이어지면서 
그 시원한 공기를 맘껏 들이키다보니 어느새 몸 속은 청정함으로 가득 들어찬 느낌이다.

그러나 정상에 도착해 보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주위가 탁 트여진 그런 곳이 아니다.
그저 등반로의 쉼터 같은 곳에 표지석이 서 있어 그곳이 정상임을 알게 해줄 뿐이다.
잠시 앉아 쉬면서 조금은 답답해지는 마음에 왼쪽길로 조금 내려가 보니
그제서야 쫙 펼쳐진 산의 능선이 드러난다.
저쪽 중앙부 산꼭대기에 어렴풋이 돌출되어 보이는 곳은 경상북도 수목원의 전망대로
이 길을 계속해서 가면 그곳에 도달하게 된다. 








좀 더 왼쪽으로 눈을 돌리니 저 멀리 청하면과 흥해읍은 물론,
포항의 북부지역 까지도 한 눈에 들어온다.








                               내려올 때는 청하골이라고도 불리우는 보경사 계곡 쪽을 택했다.
                               보경사가 있는 내연산(710m)은 포항이기는 하지만 포항에서 
                               가장 북쪽이라 청송군의 주왕산과 접해 있다.
                               주 능선은 밋밋하지만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져 계곡미가 빼어난데다 
                               무려 12개의 폭포가 이어져 절경을 뽐낸다.








                               보이지는 않지만 깎아지른 듯한 절벽 저 아래로는 12폭포 중 가장 높은 
                               연산폭포(20m)가 세찬 물줄기를 땅바닥으로 떨어뜨리고 있는 중이다.
                               위에서 내려다 보니 다리가 후들거린다.








                               연산폭포 바로 아래에 위치한 관음폭포.
                               왼쪽의 그늘진 절벽은 '비하대', 그리고 그 오른쪽으로 햇볕을 받고 있는 곳은 '학소대'이며, 
                               저 구름다리는 연산폭포와 연결된다. 

그늘에 가려져 잘 보이지는 않지만 폭포 주변으로는
관음굴이라 불리우는 작은 굴들이 여러개 뚫려 있는데,
깎아지른 듯한 절벽과 어우러져 가히 절경이라
불리울만한 멋진 풍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이미 이 계곡은 그 옛날, 진경산수라는 
그림 양식이 완성된 곳으로서 진경산수의 고향으로 
불려지고 있는데 그 창시자가 바로 겸재 정선이다.

왼쪽 그림은 겸재가 청하현감을 지낼 때에 그린
'내연삼용추도(內延三龍湫圖)라는 작품으로, 
맨 윗부분의 폭포는 연산폭포이며 그 아래
두 가닥으로 갈라진 물줄기는 관음폭포, 그리고
맨아래 폭포는 잠룡폭포를 나타낸다.

다만 연산폭포가 비하대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데도 시원하게 드러나 보이는 것 말고는 
실제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림이 아닌, 사진인데도 그 웅장한 풍경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것이 그저 안타까울 뿐이다.
                               아니, 사진으로 담기에는 그 분위기는 너무나 압도적일 뿐더러 
                               오히려 그림이 더 실감나게 다가오는 것 같다.








                               초록의 산을 뚫고 불쑥 솟아오른 바윗덩어리... 
                               '선일대'이다.








보경사(寶鏡寺)의 전경. 경북 포항시 송라면 내연산에 위치한다.
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신라 지명법사가 진평왕에게 '동해의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자신이 진나라의 도인에게 받은 팔면보경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고 이웃나라의 침입도 받지 않으며 삼국을 통일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진평왕은 지명법사와 함께 동해안 북쪽 해안을 거슬러 올라 가다가
해아현 내연산 아래에 있는 큰 못 속에 팔면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을 건립하면서
보경사라 불렀다고 전한다.

경내에는 중요문화재로 보물 제252호인 보경사 원진국사비와 보물 제430호인
보경사 부도가 있으며, 조선 숙종의 친필 각판(刻板) 및 5층 석탑 등이 있다.








                               고려 중기의 승려 원진국사의 탑비인 원진국사비.
                               13세에 승려가 된 원진국사(1171~1221)는 명산을 두루 다니며 
                               수도를 하기도 하였는데, 왕의 부름으로 보경사의 주지가 되었다.
                               이후, 51세로 입적하자 고종은 그를 국사로 예우하고 '원진'이라는 시호를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모습으로, 비의 몸체 윗부분의 양 끝을 
                               접듯이 잘라 놓았는데 이러한 모습은 당시에 유행하던 양식이다.
                               이 비가 완성된 것은 고종 11년(1224)으로 원진이 입적한 지 3년 후의 일이며,
                               비문에는 원진국사의 생애와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송림이 우거진 보경사의 진입로.


                               참고/ 보경사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산 남산제일봉 -(2)  (15) 2010.06.24
매화산 남산제일봉 -(1)  (15) 2010.06.21
우도 -2  (16) 2010.04.28
우도 -1  (16) 2010.04.26
제주도 -테디베어뮤지엄  (16) 2010.04.23
Travel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회재 이언적의 제사를 받드는 옥산서원의
뒤편에 위치해 있는 독락당의 솟을대문.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獨樂堂)은 회재 이언적(1491~1553)이
1532년 벼슬에서 물러난 후 만든 서재로, 이곳에서 6년간 학문에 전념했다.
조선 중종27년에 세워졌으며, 일명 옥산정사(玉山精舍)라고도 불리운다.
경내에는 사묘(祠廟), 어서각(御書閣), 양진암(養眞菴) 등이 있으며
계정(溪亭)은 그가 기거하던 사저(私邸)이다.

독락당은 낮은 기단 위에 세워진 정면 4칸, 측면 2칸의 건물로,
옆면에서 볼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八作)지붕으로 되어 있다. 
집을 향해 오른쪽 3칸은 넓은 마루인데 앞을 모두 터 놓았으며,
왼쪽 1칸만 칸을 막아 온돌방으로 만들어 놓았다.
기둥은 둥근기둥을 세우고, 대청 천장은 뼈대가 모두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행랑채인 경청재(敬淸齋).
이 고택은 1601년 (선조34년) 3월 12일, 회재 이언적 선생의 손자 휘(諱), 

준(浚)과 순(淳) 두 형제가 옥산별업(玉山別業)을 봉수(奉守)하기 위해 

화의문(和議文)을 작성하면서 세운 집이다.
선생은 1538년(중종33년) 3월에 청백리(淸白吏)에 가자(加資)되었다.
청백은 공경지심(恭敬之心)에서 나온다 하여, 후손들이 본 집을 

경청재(敬淸齋)라 이름하였다.







                              화의문약설(和議文略說)
                              계정과 독락당은 우리 선조고(先祖考) 문원공(文元公) 회재선생의 별서이고,
                              이 외 유택(遺澤)에는 우리 부모(휘:전인, 호:잠계)의 혈성이 가득하다.
                              당우와 담장을 수호하기 위해 우리 형제가 약간의 토지(土地)를 출헌하였다.
                              후손들 가운데 혹 궁벽하여 토지에 대해 다투는 일이 있으면 불효로써 논단할 것이다.







                              독락당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길, 계류로 연결되어 있다.
                              사방이 높은 담으로 가로막혀 있어 안쪽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인데,
                              외부와 담을 쌓았다는 표현 그대로, 폐쇄적이고 은둔적인 느낌이다.







독락당 옆쪽 담장에는 좁은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창이 보인다. 
이는 아주 특별한 공간구성으로,
이 곳을 통해 대청에서도 앞 계곡의 냇물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정작 담장 안쪽으로는 그의 후손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이어서인지
이 곳의 핵심인 독락당은 개방이 되어있지 않았다..
좌측 담장안으로 보이는 집이 바로 그 독락당으로,
그저 밖에서 바라보는 것 만으로 만족해야 했다.







별당으로 지어진 계정(溪亭), 대문외에 유일하게 밖으로 난 공간이다.
세상에게는 폐쇄적이지만, 자연과는 융화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의도가 그대로 드러나는 모습이다.







                              이언적 선생은 이곳 계곡 몇 군데에도 이름을 붙였는데, 
                              계정을 받치고 있는 반석인 관어대(觀魚臺)를 비롯하여, 
                              탁영대(濯纓臺, 갓끈을 풀고 땀을 식힌다는 의미), 
                              영귀대(詠歸臺, 목욕하고 노래를 부른다는 의미), 
                              징심대(澄心臺, 마음을 평정한다는 의미), 
                              세심대(洗心臺, 잡념을 버린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계류, 서원쪽으로 석축을 다시 쌓기 이전인 지난 어느날,
겨울의 끝자락에서 이제 막 오기 시작한 봄과의 갈림길에 서 있는 계정의 모습이다.

이언적의 생가는 양동이지만, 현재 그의 종가는 처가가 있던 옥산의 독락당에 있다.
그의 부친은 양동의 월성손씨에게 장가들면서 고향인 영일을 떠나 양동으로 거주지를 옮기고,
그의 아들 이언적이 장가를 들며 양동에서 다시 옥산으로 옮겨 온 것이다.

이 서재는 회재 선생의 나이 42세 때, 당시의 권세가인 '김안로'의 재등용을 반대하여
그 여파로 파직을 당하고 난 후 지어졌다는 것과, 독락당이라는 당호,
그리고 폐쇄적인 건축구조 등은 당시의 그의 심정이 드러나 보이는 단초가 되는 듯 하다.


■ 회재의 시 '독락(獨樂)'

이군수여공음단(離群誰與共吟壇)
암조계어관아안(巖鳥溪魚慣我顔)
욕식개중기절처(欲識箇中奇絶處)
자규성리월규산(子規聲裏月窺山)

무리를 떠나 누구와 더불어 여기서 노래할까
바위에 앉은 새 물 속의 고기들 내 얼굴을 보는 일이 익숙해졌네
세상에서 가장 빼어난 곳이 어디인지 알고 싶은지
두견새 소리 들릴 때 달이 산을 빼꼼히 들여다 보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양동마을  (14) 2009.11.01
옥산서원(玉山書院)  (16) 2009.10.26
소매물도 -3  (17) 2009.08.24
소매물도 -2  (14) 2009.08.21
Travel





해인사로 향하면서 마주친 가야산의 위용.
높이가 해발 1430m, 넓이는 4328 정보에 이른다.
경치가 썩 빼어나서 예로부터 해동의 십승지로 일컬어졌던 곳이다.








비록 직접 산을 오르진 않았지만, 멀리서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히 가야산의 가치를 짐작케 한다.
그 암봉사이로 번져가는 가을의 흔적. 








                               가야산 국립공원내로 진입했다.
                               계곡을 끼고 난 도로를 달리며 앞으로 나아갈수록 
                               자신도 모르게 속도를 서서히 줄이고 있다는 걸 깨닫는다.








                               가야산 국립공원에서 해인사 입구까지 이르는 4km의 계곡으로 
                               가을 단풍이 너무 붉어서 흐르는 물에 붉게 투영되어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  이 곳을 홍류동계곡이라 한다.
                               그러나 그 진가를 경험하기엔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

                               이 홍류동 계곡은 
                               우리나라 팔승 가운데 으뜸이라는 그 명성이 무색하지 않게 
                               여느 산에서는 볼 수 없는 멋들어진 계곡 풍경을 
                               계절따라 운치있게 펼쳐낸다.









송림사이로 흐르는 물이 기암괴석에 부딪히는 소리는
고운 최치원 선생의 귀를 먹게 했다 하며,
선생이 갓과 신발만 남겨두고, 신선이 되어 사라졌다는 전설을 말해주듯
농산정과 시구를 새겨놓은 큰 바위가 있다.

홍류동에는 주요문화재 자료인 농산정과 낙화담, 분옥폭포등
19명소가 있으며, 특히 농산정 맞은편에는
암각된 최치원 선생의 친필을 볼 수 있어 더욱 유명하다.
합천 8경중 제 3경이다.








                               경내로 진입하자 역대 고승들의 비와 탑이 
                               도열하여 맞아준다.








소중한 가르침, 무소유의 청빈한 삶,
장좌불와의 올곧은 수행정신으로 유명한
성철 큰스님의 부도탑이 널찍하게 조성되어 있다.
그 모양이 무척이나 현대적인 느낌으로
범인(凡人)은 알지못할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을 것이다.








                               해인사 사적비를 비롯한 20여기의 공덕비들이 
                               일주문에 다다르기 전 길 옆에 안치되어 있다.
                               유장한 세월의 흔적이 여기저기에 남아있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야산 해인사 - 2  (4) 2008.11.16
가야산 해인사 - 1  (2) 2008.11.15
경상북도수목원  (4) 2008.11.06
청도 대적사  (6) 2008.11.01
포항 오어사  (2) 2008.10.10
Travel




경북 포항시 오천읍() 운제산(雲梯) 동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인 오어사(吾魚寺).

신라 진평왕(王)때 창건하였고 혜공() ·원효() ·자장() ·
의상() 등의 승려가 기거했던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사찰로서는 그리 큰 규모는 아니지만 바로 옆에 오어지라는
호수를 끼고 있어서 인지다른 곳과는 달리 독특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또한 뒤쪽으로는 운제산이 버티고 서 있어 풍광이 수려하다.







경내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대웅전.







                               본래의 이름은 항사사(寺)인 이 절이 오어사로 바뀌어진 데는
                               혜공과 원효스님에 대한 설화로 전해진다.









                               계곡사이를 빠져나온 시냇물은 
                               오어사를 살짝 감싸고 돌아 오어지와 만난다. 
                               오른쪽 건너편, 숲에 쌓인 곳이 오어사이다.







                               오어사 뒤에는 부속암자로 해발 300여 미터 산 위의 
                               기암절벽위에 세워져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하는 자장암이 있으며,
                               맞은편으로는 원효암이 위치해 있다.







자장암의 벽면에 그려진 불화.






                               자장암에서 바라 본 오어지.
                               왼쪽으로 오어사의 지붕이 조금 보인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수목원  (4) 2008.11.06
청도 대적사  (6) 2008.11.01
순천만의 갈대밭 -3  (0) 2008.09.17
순천만의 갈대밭 -2  (0) 2008.09.12
순천만의 갈대밭 -1  (2) 2008.09.10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