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안내판'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모에라키의 바위(Moeraki Boulders)를 보기 위해 주차장에서 출발한다.

 

 

 

 

 

 

 

 

 

 

 

 

 

 

 

 

 

 

 

모에라키의 코에코헤 해변(Koekohe Beach)을 따라 커다란 공 모양의 원형 암석이 깔려 있다.

원형 암석은 각각 무게가 수 톤에 이르고, 지름이 50cm에서 2.2m까지 다양하다.

약 6,500만 년 전에 형성된 방해석 결정체로 추정. 

 

 

 

 

 

 

 

 

 

마치 공룡의 알을 연상하게 하는...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은 이런 바위들이 아주 많을 것으로 추측.

 

 

 

 

 

 

 

 

 

 

 

 

 

 

 

 

 

 

 

동글동글한 바위가 파도에 몸을 씻고 있다.

무엇보다 인공이 아닌 자연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이 이채롭다.

 

 

 

 

 

 

 

 

 

 

 

 

 

 

 

 

 

 

 

아직까지 빠져 나오지 못하고 갇혀 있는 바위.

 

 

 

 

 

 

Travel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구지(舊址).

                               늦은 밤인데다가 내부 수리중이라 외관만 볼 수 밖에 없었다.







                               상하이는 교통이 편리하고 쑨원이 이끄는 광동정부의 지원도 받을 수 있는 곳이었다.

                               또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의 조계(租界)가 있어서 일본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조건도 갖추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독립지사들은 상하이로 몰려 들었고, 가장 우호적인 프랑스 인사들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 조계에 살면서 활동한 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수립될 수 있었다.




.....................................................................................................................................................................................................





과거에 훙커우 공원(虹口公园)으로 불렸던 루쉰공원(鲁迅公园)의 입구. 







우리에게는 역사적인 현장이지만, 이곳 현지인들에게는  

휴식과 재충전의 장소에 다름 아니었다.


루쉰공원은 청조 1896년에 상하이 공동조계 관청이 있었고,  

조계의 밖에 있던 농지를 취득하여 조성되었다.

당초에 훙커우 오락장이라 불렸고, 영국 원예가에 의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서양식 정원 양식을 가지고 있다.

1922년에 훙커우 공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37년에는 중일전쟁으로 

일본군에 의해 공원 내의 건물들은 파괴되었으며, 1942년에는

일본군의 군사용지로 사용되었다.

일본이 패망하고 철수한 1945년에는 장제스에 의해 중정공원으로

개칭되었지만, 1950년 다시 옛 이름을 찾아 훙커우공원이라 불렸다.

이후 루쉰 선생의 75주년을 기념하면서 1956년 루쉰의 묘를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1988년에 루쉰공원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 루쉰(1881~1936)은 중국 저장성 출신으로 소설가였으며 인민

사상가로도 유명한데, 루쉰은 필명으로 본명은 저우수런(周樹人)이다.

대표작으로는 아큐정전(阿Q正傳)과 광인일기(狂人日記) 등이 있다.







윤봉길 의거의 현장 표식.

그러나 실제로는 이곳에서 조금 더 안쪽으로 들어간 곳이라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國務領, 총리)인 김구는 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天長節)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고,

협의 끝에 윤봉길이 도시락과 물병으로 꾸며진 폭탄을 투척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를 수행했다.







정면에 보이는 건물은 윤봉길의사의 기념관인 매정(梅亭).

윤봉길 의사의 호인 매헌(梅軒)과 정자의 정을 딴 이름으로.

약 20여 평의 정자형태 2층 목조건축물이다.


1994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방중을 맞이하여 루쉰공원 내에 정자 매정을 건립,

2003년 12월에 매헌기념관을 개관하였으나 루쉰공원 전체 개보수 공사에 따라

2013년 9월부터 휴관, 제83주년 윤봉길의사 의거일에 맞춰 

2015년 재개관을 하게 되었다.







윤봉길 의사의 전언과 출생 및 국내활동, 그리고 조국 광복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옥외 전시장.







기념관 1층.

추모 흉상을 비롯해 의거의 성과 및 영향, 조국의 광복 등에 대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

2층은 영상물 상영 및 교육장소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윤의사가 의거에 사용한 물통형 폭탄(복제품).


이 사건은 장제스 총통이 '우리 중국 사람들도 하지 못한 일을 한 명의

조선 청년이 했다'고 감탄할 만큼 조선인의 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린

사건이 되었지만, 이로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의 탄압을 피해

상하이 인근으로 피신을 하게 되었으며, 1945년 조선이 해방될 때까지

중국 남부지역을 떠도는 계기가 되었다.







의거 당일 아침 한인애국단장 김구의 시계와 맞바꾼 윤의사의 시계(복제품).

윤봉길 의사가 거사를 위해 출발하기 전 김구 선생에게 "저는 앞으로 

살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라며 김구 선생의 시계와 맞바꾸었다고 한다.


의거로 인해 총사령관 사라카와와 상하이 일본 거주민 대표였던 

가와바타 등이 죽었고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제9사단장 우에다,

중국 주재 일본 영사 시게미쓰 마모루 등이 중상을 입었다.







                               윤의사가 일본 가나자와에서 순국할 때 묶였던 형틀(복제품).







                               공원 내에서 병에 채운 물을 먹물삼아 땅바닥에 글을 써내려가는 어르신.

                               방문객이 한국인임을 알아보고 쓴 글이다.







                               참조 / 위키백과.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달성공원  (0) 2015.10.26
상하이 - 타이캉루  (0) 2015.09.05
상하이 - 신천지  (0) 2015.08.28
상하이 - 난징루  (0) 2015.08.26
상하이 - 동방명주 타워  (0) 2015.08.24
Travel




석문(石門).
바위와 절벽 사이로 자연적인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석문이라 붙여졌다.
이곳을 통과하면 이 골짜기의 또 다른 세계, 곧 선경(仙境)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석문이라는 글씨가 바위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또 다른 바위에 남아있는 글씨, 이로 미루어보아 옛날 이곳에는
산수정(山水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아닌게 아니라 그 사실을 입증하기라도 하듯, 최근 그 곁에는
                               조그마한 정자가 하나 들어섰다. 
                               그러나 원래의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산수정은 1893년 각남면 진사인 소강(小岡) 최익주(崔翼周, 1851~?)가
                               창건한 정자로, 고을의 인사들이 산수계(山水契)를 만들어
                               사계절 이곳에서 시를 짓고 읊었다고 한다.
                               이곳을 시정(詩亭)골이라 부르는 것은 여기서 유래한다.

                               1962년, 남산계곡에 있던 퇴락한 산수정의 목재와 기와를 
                               화강지 언덕으로 옮겨와 화악루(華岳樓)를 지었다.   







                               유하담(流霞潭).
                               '유하(流霞)'는 '신선이 마시는 좋은 술'이라는 의미도 있고,
                               글자 그대로 '흐르는 노을'을 뜻하기도 한다.
                               이곳의 경치에 취해 술을 마시면 그 술이 바로 유하주일 것이요,
                               햇살에 금빛 노을처럼 일렁이는 물결을 품었으니 그 또한 유하담인 것이다.






                               계곡과 정자가 어울려 한 폭의 그림이 되었다.
                               아마도 녹음이 짙어지면 또 다른 풍경이 되어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누각.
                               조그맣게 조성된 광장에는 이제껏 거쳐왔거나 앞으로 마주치게 될
                               명소들을 알리는 표지석이 놓여있다.






                               남산계곡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는 소(沼).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이곳의 지형은 대체로 완만하다. 
                               따라서 웅장하다기 보다는 오히려 아기자기하다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릴 것 같다.






                               '기러기가 내려앉은 형상의 봉우리'라는 뜻을 가진 낙안봉(落雁峯).
                               낙안봉 일대는 큰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가운데
                               기러기 형상의 바위에 글을 새겨 놓았다.
                               이는 중국 화산의 남쪽 봉우리가 낙안봉이라 부른 것에서 유래한다.






                               금사계(金沙界).
                               '더 이상 세속(世俗)의 유람객은 올라오지 말라'는 뜻을 품고 있다. 
                               금사계는 불교 용어로 '금모래가 펼쳐진 세계'를 의미하며
                               관세음보살의 주거처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 계곡 위쪽에는 신둔사가 위치해 있다.

                               금사계 맞은편 높은 바위에는 주자가 지은 '무이구곡가' 중
                               제8곡의 마지막 시구에서 빌려온 '막언차지무가경
                               자시유인불상래(莫言此地無佳景 自是遊人不上來,
                               이곳에 아름다운 경치가 없어 유람객이 올라오지 않을 것이라
                               말하지 마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취한 것으로 여기서 끝이 아니라 계속해서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져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 금사계를 끝으로 위쪽으로는 신둔사로 향하는
                               포장도로와 연결된다.






                               이 외에도 연주단(聯珠湍), 일감당(一鑑塘), 옥정암(玉井巖),
                               용항 등의 볼거리와 글씨가 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외형상 이곳 남산계곡은 다른 여느 계곡과
                               크게 다를 바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속에서 지난날 우리 옛 조상들의 풍류와 정취를
                               발견하고 그 숨결을 느낄 수 있었다는 점에서는 다소 의외였다.

                               이 밖에도 이곳 인근에서는 보조국사가 손수 심었다는 수령
                               800여 년의 은행나무가 있는 적천사를 비롯, 죽림사 등
                               신라 고찰과도 만날 수 있다.
                               특히 남산계곡 초입에 있는 석빙고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청도읍성, 향교, 도주관 등
                               선조의 얼이 담긴 문화유적들을 함께 탐방할 수 있다.



                               ▶ 관련 / 2011/07/12 - [Travel] - 청도 - 청도읍성, 선정비군, 석빙고, 도주관, 척화비
                                              2011/10/26 - [Travel] - 청도 남산 (南山), 그리고 신둔사(薪芚寺)









Travel




남산을 오르기 위해 서울, 경주가 아닌 청도로 나섰다.
청도 남산(南山)은 부드러운 흙으로 이루어진 870m 높이의 육산이다.

정상까지 1.85km를 가리키는 안내판을 지나면서 산행을 시작한다.
기도원에서 출발하여 헬기장 - 정상 - 삼면봉을 거쳐 한재고개에서
신둔사로 하산하는 비교적 가벼운 코스를 선택했다.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청도군 화양읍 일대.

이 일대에서 가장 높은 산은 청도읍의 남서쪽으로 솟은 화악산(937.5m)으로  
남산은 화악산의 북쪽 같은 능선에서 솟은 태백산맥 지맥 중 한 봉우리이다.
청도읍, 화양읍, 각남면에 걸쳐 있는 이 산의 북쪽에는 신둔사가 있고 
동쪽에는 적천사, 그리고 정상 북쪽으로는 비구니 사찰인 죽림사가 위치해 있다.






                               청도 남산의 정상석.

                               보통 남산이라고 하면 서울, 경주, 그리고 개성의 남산을
                               떠올리게 되는데, 우연인지는 몰라도 이 세 곳 모두
                               각각 조선, 신라, 고려의 수도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곳 청도도 예외는 아니어서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도
                               기록되어 있듯 이서국(伊西國)의 옛 수도였다.






산 너머로 내려다 보이는 청도IC.

이곳 남산은 시원한 낙대폭포(약수폭포)의 폭포수와 함께
맑은 물을 자랑하는 남산골 계곡으로 인해 특히 여름에는 
많은 사람들로 분주하다.






찾아온 가을을 증명이라도 하듯 
정상부 능선에는 이미 단풍으로 물들기 시작했다.






                                번잡한 도시를 떠나 산 속 깊은 곳으로 도피한 듯한 신둔사(薪芚寺).
                                세상을 등지고 숨은 듯, 그대로 자연이 되었다.






산 너머 오른쪽으로는 한재 미나리로 유명한 상리지역이다.
미나리는 겨울의 끝자락인 2월에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채소로,
12월에 비닐하우스에서 키우기 시작하여 2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상춘객의 입맛을 사로잡게 된다.






산길을 내려서면서 포장도로가 시작되는 곳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인 신둔사가 자리잡고 있다.
앞쪽으로 보이는 청풍루(淸風樓)는 큰 법회시 강당으로 사용되며 
1988년에 신축되었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맞배지붕으로
조선시대에 중건되었다.

남산 중턱에 자리잡은 신둔사는 1173년(고려 명종3년)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하여 봉림사(鳳林寺)라 하였는데, 1667년(조선 현종8년) 상견대사가 중창하고
1878년(조선 고종15년)에 다시 중수하여 신둔사라 개칭하였다.
이곳 범종소리는 절에서 대중을 모으기 위해서나 때를 알리고, 욕계(欲界)의
6천(天)과 색계(色界)의 18천, 그리고 무색계의 4천을 합하여 28천의 모든
하늘나라 대중이 들으라는 뜻으로 울리며, 이서고국(伊西古國)때 왕과 왕족들이
신라군을 피해 은둔하였다는 은왕봉(隱王峰)의 정령을 위로하기도 한다.






주요 전각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과 청풍루, 종각이 있다.
왼쪽 삼성각과 범종각 사이의 오층석탑은 1924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영산보탑이라고도 한다.
전체적으로는 아주 아담한 규모의 절이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 주산지 (注山池)  (10) 2011.11.02
베트남 - 하롱베이 스케치  (10) 2011.10.28
베트남 - 하롱베이로 가는 길  (10) 2011.10.21
베트남 - 문묘(文廟)  (10) 2011.10.19
베트남 - 수상인형극  (10) 2011.10.14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