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대구 도심에서 동남쪽으로 약 25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간마을인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그 곳에는 사성(賜姓) 김해김씨 일가를 비롯한 250여 가구가 상주하고 있다.
임금이 성(姓)을 내렸다 하여 '사성(賜姓)'이라 하는데 그 중 50여호가 이 가문이다.

우록리는 원래 우미산(牛尾山)아래에 위치한 소(牛)굴레 모양의 마을이란 뜻으로
우륵동(牛勒洞)으로 표기해 왔으나 임진란 때 귀화한 김충선 장군이
1600년에 '사슴과 벗하는 마을'이란 뜻으로 우록동으로 고친 후 정착하면서
지금까지 4백여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에 자리한 녹동서원의 관문인 향양문(向陽門)으로, 
                              사야가의 고향(해가 뜨는 곳)을 그리워한다는 뜻을 가졌다.
                              이 곳은 이름난 선현을 모신 다른 여느 서원과는 달리, 
                              전쟁에 참여했다가 적국에 귀순한 특이한 이력을 가진 
                              김충선이라는 장군을 모시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해 보인다.

                              모하(慕夏) 김충선(金忠善) 선생(호號:모하당慕夏堂 자字:선지善之)은 
                              사성(賜姓)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始祖)이시다.
                              본래 일본인으로 본 성명은 사야가(沙也可)이다. 
                              그는 1592년(선조25)임진란(壬辰亂) 때 21세의 나이로 가등청정(加藤淸正)의 
                              우선봉(右先鋒) 장(將)이 되어 우리나라 침공시 4월 13일 부산 동래에 상륙했다.

 








녹동서원.
조선조 임진, 정유, 병자년의 난에 큰 공을 세운 모하당 김충선 장군을 모신 서원으로
특히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녹동서원 경내에 위치한 유적비(遺蹟碑).
                              모하당 김충선의 공적을 추모하여 1965년에 후손들이 건립하였다.
                              중국문명을 그리워한다는 뜻을 가진 모하당이라는 호를 지을 정도로 
                              그는 유교 문물과 예의를 따른 철저한 조선인이었다.









녹동사(鹿洞祠).








이곳에서는 모하당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춘추로 제향하고 있다.








                              모하당의 영정.








모하당 묘소.
녹동서원 뒷산, 약500m 지점에 위치해 있다.









                              신도비(神道碑).
                              녹동서원 경내에 있으며 임진란 400주년을 기념하여 1992년 5월에 세웠다.
                              '그는 문과 예를 공경했고, 그것과 여생을 같이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그는 불의 앞에서는 
                              그토록 경멸하던 칼을 들고 맞서 싸웠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우록마을이 일본에 본격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지난 92년 임진왜란 4백주년을 맞아
                              일본 오사카와 나고야에서 '왜 지금 사야가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심포지움이었다고 한다.
                              이후 '출병에 대의없다-히데요시(豊臣秀吉)에게 등 돌린 사나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비롯 
                              각 언론도 앞다투어 사야가를 재조명하고, 평화주의자로서 그의 학술적 관심이 널리 퍼지면서 
                              다양한 계층의 일본인들이 이 우록마을을 찾고 있다고 한다.
                              어찌됐든 한일우호의 가교로서 이 녹동서원은 톡톡히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 현장 안내문 등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성산일출봉  (23) 2010.03.18
제주도의 봄  (30) 2010.03.03
문경 STX 리조트  (0) 2010.03.01
안동 분강서원, 농암종택 그리고 도산서원  (20) 2010.01.29
안동 병산서원  (14) 201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