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자연은 자연 그대로 두었으면 제일 좋겠지만
지금 당장은 이런 철계단이 고맙게만 느껴진다.
병풍처럼 난간을 형성한 돌기둥, 그 너머로 우뚝 서 있는 봉우리 하나,
저곳이 바로 매화산의 최고봉인 남산제일봉이다.
그러나 앞쪽으로는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
덕분에 고즈넉한 산행길이 되고 있다.
잠시 멈추어 서서 뒤를 돌아본다.
저 멀리 능선 너머 아랫마을은 이곳을 향해 거쳐왔던 합천군 가야면이다.
봉우리가 가파를수록 오르는 계단 또한 그러하다.
그러나 이미 정상은 바로 눈앞이다.
이제 정상이다.
마치 되새김질을 하듯 지나온 길들을 또 다시 되짚어 본다.
이제껏 저 암봉들을 따라 헤치듯 올라왔다.
그러나 사실 따지고 보면 그리 힘겨운 길은 아니다.
정상에서 조망해 본 주위의 풍경이다.
해인사 뒤쪽으로 가야산의 상왕봉이 시원스럽게 펼쳐져 있다.
그러나 가야산의 최고봉으로 알려진 이 상왕봉(1,430m)은 최근
국립지리원의 정밀실측결과 이곳과 직선거리로 250m에 위치한
성주쪽의 칠불봉이 3m가 더 높은 1,433m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는 칠불봉이 가야산의 최고봉으로 군림하게 될 것이다.
위 사진에서 칠불봉은 상왕봉에서 오른쪽으로 나란히 높은 산이다.
홍제암과 해인사가 가야산의 품속으로 나란히 들어가 있다.
-- 해인사 대적광전의 정남향에 위치한 남산제일봉, 화강암으로 형성된
그 봉우리의 산세에서 나오는 상서로운 기운이 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
대적광전의 기운과 맞부딪히기 때문에 해인사에 화재가 발생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 봉우리 정상에 소금을 담은 다섯 개의 옹기단지를 다섯 방향으로 묻었는데,
그 후로는 해인사에 큰 화재가 한 차례도 없었다고 한다.
지금도 해마다 단오가 되면 해인사에서는 남산제일봉이 품고 있는
불기운을 누르기 위해 소금을 묻는다고 한다.
남산제일봉에서 바라본 가야산.
-- 40년 가까이 폐쇄됐던 가야산의 만물상 탐방로가 지난 6월 12일부터 개방되었다.
이는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일원의 백운동 야영장에서 만물상을 거쳐
서성재에 이르는 약 3km의 구간이다.
때로는 장엄하게, 또 때로는 위태하게...
그렇게 쌓이고 쌓여 또 하나의 봉우리를, 그리고 산을 이루고 있었다.
올라온 반대방향으로 내려가는 길.
이 길을 계속해서 가면 해인사관광호텔 쪽으로 하산하게 된다.
참고/ 현장안내판 등.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괌(Guam) 여행 (1) - 괌, 그리고 차모로족 (0) | 2010.08.06 |
---|---|
칠곡 가산산성 (16) | 2010.07.12 |
매화산 남산제일봉 -(2) (15) | 2010.06.24 |
매화산 남산제일봉 -(1) (15) | 2010.06.21 |
보경사 계곡 (18) | 2010.06.07 |
우도 -2 (16) | 2010.04.28 |
2010.06.24 18:50
비밀댓글입니다
저는 많은 산을 올라보지는 못했지만, 이 정도 되는 산이면
한번정도 꼭 올라가 볼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꼭 그러시길 빕니다.ㅎㅎ
와우~ 녹색으로 물든 산을 보니 눈이 시원해 집니다~ 게다가 이렇게 포인트까지 설명해 주시니
보기에도 편합니다~! ^^ 깎아지는 듯한 계단 각도와 절벽을 보니 오르기 만만치 않아 보이지만
그 만큼 보이는 풍경은 그 대가를 돌려주는 것 같습니다!!
ㅎㅎ 제가 봐도 시원한 느낌이...ㅋㅋ
급하게 오르면 힘이들지 않는 산이 어디 있겠습니까만,
쉬엄쉬엄 오르다 보니 그다지 힘든줄 몰랐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주위가 확 트여져 있어 더 시원한 느낌이었습니다.^^
높이가 해발 천미터가 넘은 산들이군요. 거기에 바위산. 땡기는데요.^^
땡기신다면? ㅎㅎ 그냥 한 번 올라 보시는 겁니다.^^
혹, 이곳이 마음에 드시지 않으시면
건너편 가야산에다 눈길을 줘 보셔도 좋을 것 같구요.ㅎㅎ
어제 갔던 천안의 광덕산 낮지만 가파르고 나무계단이 참 길기도 하더군요.
해인사도 가고 싶고.. 새롭게 열린 가야산 등산로도 가고 싶고..
여기저기 가야 할 곳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다만 시간이 없네요... ㅋㅋ
돈 있을 대는 시간이 없고.. 시간 있을때는 돈이 없고... ^^
푸르른 실록 사이를 걷는 매화산 산행길이 더없이 즐겁습니다.. ㅎㅎ
그러시면 지금은 돈이 좀 되신다는...ㅋㅋ
그럼 그 돈으로 사람을 사서(응? ^^;;; ) 대신 업무를 보게 하시고
후딱 한번 다녀오시죠.
대한민국에서 안되는게 어딨습니까.
월드컵 16강 관문도 뚫었는데 말이죠.ㅋㅋ
소금을 묻는 거.. 처음 들어봤네요.
저런 산에 가면 철계단이 가끔 보일 때.. 그 생각부터 들어요.
이 구조물 만드느라 정말 고생이 많았겠다..^^;
저도 금시초문이었습니다.ㅎㅎ
그냥 생각하기에는 미신인 것 같지만 지금까지도 그런 행사가 계속되고 있다네요.
하긴... 오랫동안 지내오다 보니 이제는 거의 전통이 되다시피 했을테니까.
믿거나 말거나 그대로 쭉 이어가는 것이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와 정말 멋진 암릉들이 계속 되는군요^^
40년만의 개방이라.....찾아갈 채비부터 해야겠습니다. ㅎㅎㅎ 막이래요^^
밤길 산행도 마다 않으시는 세담님 다우십니다.
준비... 끝나셨나요? ㅋㅋ
등산... 참 해보고 싶은데.... 자전거 타고 산에 오르는걸 즐겨서...... ^^ 자전거 타고 산에 오르는 거랑 걸어서 올라가는 거랑은 또 다른 맛이 있으니...
저는 케이블카를 타고 산에 오르는 것을...^^;;;
얼마전 가산에 다녀왔는데 그냥 걷기에는 좀 지루한 길인 것 같고,
오히려 자전거 타는 사람이 부러워 보이더군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