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재현되고 있는 왕궁 수문장 교대의식.
조선시대 왕궁에는 궁궐의 경비를 관장하고 대전(大殿)을
호위하는 군대인 금군(禁軍)아래 수문군(守門軍)이라는 군대가 있어
궁궐문을 개폐 · 경비 · 순찰하는 업무 등을 수행하였다.
교대의식은 정해진 절차와 신호에 따라 이뤄지며
부대간 교대시 상호 예의를 갖추어 군례(軍禮)를 행한다.
궁성문을 경비하는 부대와 궁성의 외곽을 경비하는 부대간 교대로,
외곽을 경비하는 부대가 도착하면서 교대식이 시작된다.
교대식의 신호는 구령 · 깃발 · 악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며
크게 세부분으로 나눠지는 단계는 북으로 신호한다.
▶ 군호응대(軍號應對) : 교대군이 도착하면 수문군의 참하(參下)와
교대군의 참하가 암호를 통한 신분확인 절차를 거친다.
▶ 초엄(初嚴) : 첫 번째 북신호로 북이 여섯 번 울리면 수문군의
참하가 교대군의 참하에게 열쇠함을 인계한다.
이때 승정원(承政院)의 주서(主書)와 액정서(掖庭署)의 사약(司鑰)은
열쇠함 인계를 감독한다.
▶ 중엄(中嚴) : 두 번째 북신호로 북이 세 번 울리면 수문군의 수문장과
교대군의 수문장이 교대 명령의 진위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 다음
순장패(巡將牌)를 인수 · 인계한다.
▶ 삼엄(三嚴) : 세 번째 북신호로 북이 두 번 울리면 수문군과 교대군이
마주선 상태로 정렬하며 군례를 행하고 서로의 임무를 교대한다.
▶ 행순(行巡) : 교대한 부대는 궁궐의 외곽경비 임무를 수행하는 행렬을 실시한다.
경복궁에서 열린 수문장 교대의식.
종사관(從事官)이란 조선시대 각 군영과
...............................................................................................................................................................................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함은 물론, 마을의 경계를 나타내며
수호신의 역할도 겸하는 솟대.
나무나 돌 등으로 새의 모양을 만들어 나무 장대나 돌기둥 위에 얹힌
기원의 대상물로서 마을 입구 등에 세운다.
솟대 위의 새들은 천상계의 신들과 마을의 주민을 연결해 주는 일종의
전령조(傳令鳥)로 긴 나무와 돌은 그 둘 사이를 연결한다는 의미이다.
솟대의 끝에는 오리나 기러기 등이 올려지는데
한 마리의 꿩은 장원급제 혹은 출세를, 학은 문과급제를 의미하며
두 마리의 기러기는 좋은 소식을 알려주는 길조의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세 마리의 오리는 풍요와 다산을 의미하며
일부에서는 화재예방의 의미도 포함한다.
그 외 까마귀나 까치는 나쁜 기운의 예방차원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물 - (1) (8) | 2013.03.20 |
---|---|
팔공산 승시(僧市) (8) | 2012.10.23 |
2012 대구국제바디페인팅페스티벌 - (2) (8) | 2012.09.12 |
2012 대구국제바디페인팅페스티벌 - (1) (0) | 2012.09.11 |
Before & After - 대구 두류공원 (8) | 201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