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는 머리와 치설(齒舌)은 없고 부족(斧足)이라고 하는 도끼모양의
발이 있는데 이것으로 땅을 파고 들어가거나 기어다닌다.
그리고 판 모양의 아가미가 있어 호흡을 하고 먹이를 거르는 역할을 한다.
암수 한 몸인 것도 있고 나이에 따라 성이 바뀌는 것도 있다.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수심 20~30m정도에서 자라는 뿔소라.
소라는 말린조개 모양의 연체동물로 살고둥 또는 뿔소라라고도 한다.
껍데기는 먹이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데 미역, 대황 등 갈조류만 먹으면
황색이 되지만, 석회조류나 홍조류도 함께 먹으면 녹갈색이 된다.
낮 동안에는 바위 그늘에 숨어 있고 해가 진 후부터 먹이를 찾아 움직인다.
그대로 방치되거나, 혹은 소용되기를 기다리는...
...............................................................................................................................................................................
이제 나이테는 여기서 멈추고 말았다.
더 이상은 그려지지 않을...
노력한 만큼 얻어지는 삶의 질...
단언컨데 이 세상에 수월한 삶이란 없다.
설사 같은 환경에서 자라왔다고는 해도
모양이 다른만큼 이들의 삶도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았으리라.
...............................................................................................................................................................................
비록 인공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모이고 모여
인간들의 삶에, 생존에 큰 보탬이 되는 자연의 그 모든 것들...
이 또한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자연과 동화되지 못하는 모든 인공물은
자연에 있어 죄악에 다름 아니다.
참고/ 위키백과.
'Im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 그리고 시간 (8) | 2012.08.30 |
---|---|
이미지 - 6 (8) | 2012.07.17 |
집적(集積) - 4 (8) | 2012.05.08 |
가을소경 - (3) (8) | 2011.12.11 |
가을, 비, 낙엽... (23) | 2010.11.04 |
이미지 - 5 (시간) (18) | 2010.07.15 |
-
-
-
spk 2012.05.10 20:09 신고
엄청난 열정을 가지고서 수 많은 컨텐츠를 쏟아내시는 분들을 보면 슬며시 겁이나더라구요.^^;;;
물론 ***님도 경이적인 물량을 생산을 해내고 계시지만..ㅎㅎ 그런 분들을 뵙게되면
정말 대단하시다는 말씀밖에 드릴 수가 없겠더군요.
그런 분들에 비하면 저는 완전 폐업수준이라는...;;;
그러나 한달 간격인 분들도 계시다는 말씀에는 큰 위안을 받게 됩니다.ㅎㅎ
사실 무엇이든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것이 바로 예측 가능한 블로그라는 말씀으로 받아들이겠습니다.^^
힘을 불어넣어 주시는 말씀... 감사드립니다.^^
-
-
복돌이^^ 2012.05.10 12:34
말리고 있는 나무들의 나이테를 자세히 본적이 그러고 보니 없는듯 하네요~~
마지막 사진은 왠지 씁쓸한 느낌마저 드네요..에효... -
제가 좋아하는 집적 사진이군요... ㅎㅎ
조개와 뿔소라는 제가 좋아해서 .. 입맛을 다셨는데..
맨 아래 널려있는 깡통들의 모습은
사람의 이기적인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네요...
이 세상에 수월한 삶이란 없다..
이 말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아침입니다.. ^^
전세계에 약 900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약 30종이 서식한다.
밤에 활동하며 갈조류를 잘 먹는다.
아래쪽 나층(나사조개류에서 나사모양으로 말려있는 부분의 켜)에서는 뿔처럼 생긴
관모양의 돌기가 어깨 및 밑부분에 생기는데, 주로 파도가 심한곳에 사는 개체들은
이 돌기가 있으나, 파도가 약한곳에 사는 개체들은 돌기가 없다.
껍데기는 조개세공이나 단추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개불목 개불과의 의충동물로, 만조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간조때는 드러나는 조간대의 모래흙탕, 또는 모래와 자갈이 섞인
연안의 사니질 속에 U자 모양의 깊은 구멍을 파고 산다.
우렁쉥이라고도 하며, 얕은 바다에 암석, 해초, 조개 등에 붙어서 살지만
2,000m보다 더 깊은 곳에 사는 것도 있다.
다른 물체에 붙어, 입수공으로 빨아들이는 물에 있는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이름처럼 거북의 손처럼 생겼으며, 만조가 되면 석회판 사이에서 다리를 펴서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다.
연근해의 청정해역에 서식하며, 조간대(만조때와 간조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에 바위틈에 군생한다.
이렇듯 바다는 인간의 심적 풍요뿐 아니라 물질적 혜택까지 제공해 준다.
참으로 고마운 존재다.
인간의 식탐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수족관에 갇히게 된, 억세게 재수없는...
육상에 서식하는 종류보다 숫자가 더 많다고 한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
해양생물 사진까지^^
개불은 설마했는데 정말 그런 연유로 이름이 붙여진거였군요
마지막 사진의 중간에 보이는 물고기 이름 혹시 방어인가요?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한다는 열대림 파괴 소식.. 그나마 인식개선으로 조금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던데.. -
-
거북손은 처음 보는데요....
거북손은 모르니 빼고.. 나머지는 제가 정말 좋아 하는 것들입니다...
소주를 마구마구 부르는 녀석들입니다...ㅎㅎ
특히나 개불의 의미를 제대로 안 것이 큰 수확이네요..
그저께도 개불 먹었다는...^^ -
-
mark 2009.08.28 00:02
싱싱한 거 다 좋은데 .. 이건 완전히 그림의 생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