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는 머리와 치설(齒舌)은 없고 부족(斧足)이라고 하는 도끼모양의
발이 있는데 이것으로 땅을 파고 들어가거나 기어다닌다.
그리고 판 모양의 아가미가 있어 호흡을 하고 먹이를 거르는 역할을 한다.
암수 한 몸인 것도 있고 나이에 따라 성이 바뀌는 것도 있다.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의 수심 20~30m정도에서 자라는 뿔소라.
소라는 말린조개 모양의 연체동물로 살고둥 또는 뿔소라라고도 한다.
껍데기는 먹이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데 미역, 대황 등 갈조류만 먹으면
황색이 되지만, 석회조류나 홍조류도 함께 먹으면 녹갈색이 된다.
낮 동안에는 바위 그늘에 숨어 있고 해가 진 후부터 먹이를 찾아 움직인다.
날로 먹거나 젓갈로 담궈서 먹는 극피동물 만두성게과의 성게류.
전세계에 약 900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약 30종이 서식한다.
원시복족목 소라과의 연체동물, 소라.
밤에 활동하며 갈조류를 잘 먹는다.
아래쪽 나층(나사조개류에서 나사모양으로 말려있는 부분의 켜)에서는 뿔처럼 생긴
관모양의 돌기가 어깨 및 밑부분에 생기는데, 주로 파도가 심한곳에 사는 개체들은
이 돌기가 있으나, 파도가 약한곳에 사는 개체들은 돌기가 없다.
껍데기는 조개세공이나 단추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생긴 모양이 개의 불알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 개불.
개불목 개불과의 의충동물로, 만조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간조때는 드러나는 조간대의 모래흙탕, 또는 모래와 자갈이 섞인
연안의 사니질 속에 U자 모양의 깊은 구멍을 파고 산다.
멍게, 측성해초목 멍게과에 속한다.
우렁쉥이라고도 하며, 얕은 바다에 암석, 해초, 조개 등에 붙어서 살지만
2,000m보다 더 깊은 곳에 사는 것도 있다.
다른 물체에 붙어, 입수공으로 빨아들이는 물에 있는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절지동물 완흉목 거북손과의 갑각류, 거북손.
이름처럼 거북의 손처럼 생겼으며, 만조가 되면 석회판 사이에서 다리를 펴서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다.
연근해의 청정해역에 서식하며, 조간대(만조때와 간조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에 바위틈에 군생한다.
갓 잡아올려 싱싱한...
이렇듯 바다는 인간의 심적 풍요뿐 아니라 물질적 혜택까지 제공해 준다.
참으로 고마운 존재다.
인간의 식탐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수족관에 갇히게 된, 억세게 재수없는...
현재, 바다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은 식물이 약 1만7000종, 동물은 약 15만 2000종으로,
육상에 서식하는 종류보다 숫자가 더 많다고 한다.
참고로...
육상의 생물종은 지구 표면적의 1.4%에 지나지 않은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고 한다
특히 열대우림은 지구 육지 면적의 7%를 점하는데 지나지 않으나,
거기에는 생물전체의 반수이상의 종이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일례로 페루의 어떤 보호구에서는 한 개의 나무에서 26속 43종의 개미가 발견되었는데,
그 수는 영국 전체의 개미의 종수에 해당하며,
보르네오에서는 10ha의 조사기구에서 700종류의 수목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은 북미의 총 수목종수와 거의 같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을 보이고 있는 열대림은 현재 맹렬한 속도로 파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