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석빙고'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History



남평문씨 본리(인흥) 세거지(世居地).


고려말의 충신이며 원나라로 부터 목화씨를 가져와 우리나라 의복문화의 혁신을 가져온

충선공 문익점의 18세손인 인산재 문경호(文敬鎬)가 1840년을 전후하여 터를 잡은 곳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소재.










낙동서원.


1708년(숙종 34)에 단양우씨의 현조인 우현보(禹玄寶)와 임진왜란 때 의병장 우배선(禹拜善)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으로, 처음에는 덕동서원(德洞書院)이라 하였으며,

대원군 때에 철폐되었다가 1965년에 다시 건립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위치.










까치구멍집.


경북 북부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집이다.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의 양쪽에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구멍을 낸 모양이

까치 둥지와 비슷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영양 남씨들이 모여 살았던 안동시 월곡면 도목동에서 1975년 영남대 민속촌으로 옮겨 왔다.










청도 석빙고.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1713년 (숙종39)에 축조된 얼음 저장 창고로,

남한지역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석빙고이다.

보물 제323호.










영천지구 전적비


1950년 9월 4일 파죽지세로 남침한 북괴군 제2군단은 일거에 부산을 석권할 기도아래 

전력의 요충인 이곳 영천을 점령하고자 최후의 공세를 폈다. 

만약 영천이 떨어지면 유엔군은 울산-밀양을 잇는 이른바 데이비드손 방어선으로 

철수할 계획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때 한국군 제2군단 장병들은 국가의 운명이 이 싸움에 승패에 달려 있음을 알자 분연히 일어섰다. 

그러나 병력과 장비의 열세로 인해 어찌할 바 없이 한때는 고읍 영천을 내어놓기도 하였었다. 

분노한 우리 군민들은 너도나도 총을 잡고 전장에 나섰다. 

이윽고 전열이 정비되자 유재흥 군단장은 이달 9일 총 반격을 감행하여 금호강변에서 

적을 포위 섬멸하고 백척간두에 섰던 조국을 위기에서 구하였다. 

그리고 북진의 기틀을 만들었다. 

1980년 10월 7일 준공.










영천지구 전승비


1950년 9월5일부터 12일간 치열하게 벌어졌던 국군 8사단과 

북한군 15사단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1958년 육군 제1205건설공병단이 건립했다.










울기등대 (구) 등탑.


울산광역시 소재 대왕암 공원에 위치한 등대로, 등록문화재 106호로 지정되어 있다.







Travel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된 
청도읍성(淸道邑城)이 자리하고 있다. 
읍성은 왜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동래에서 서울로 향하는 주요 도로변에 축성한
성 중, 지방관아가 소재한 고을의 방어를 목적으로 축성된 성곽을 말한다.
청도읍성의 정확한 축성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부터 있었다고 전해진다.
당시에는 석축(石築)과 토축을 혼합한 형태였으나, 청도군수 이은휘(李殷輝)가
선조 23년(1590년)부터 2년에 걸쳐 완공하면서 지금과 같은 석성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 북문(공북루) 및 옹성. 



청도읍성은 둘레가 1,570보(약 1.88km), 높이는 5자 5촌(약 1.65m)의 규모로
동문 · 서문 · 북문이 있었다.
임진왜란과 여러 번의 화재로 소실되기도 하였지만 수 차례 개축하여 읍성을
유지하여 왔고, 고종 7년(1870년)에 남문을 건립하여 4문을 갖추게 되었다.




                                                            ▲ '해동지도'에 나타난 청도읍성.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도시화와 도로 개설로 문루는 철거되고
                                                          성벽 일부는 훼손되었으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 경상북도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청도읍성은 성의 기저부가 전역에 남아 있고, 각종 지리지와 고지도에
                                                          자세한 기록이 있어 발굴조사와 고문헌 고증을 거쳐 북문(공북루)을
                                                          중심으로 성벽과 옹성 등 성곽을 복원해 나가고 있다.








현재 청도읍성은 일부만 복원이 된 상태로, 북쪽의 성벽을 따라
자그마한 연못과 정자 등이 조성되어 있다.



...............................................................................................................................................................................





청도읍성의 동쪽 성벽 아래에는 그동안 선정을 베푼 벼슬아치(官吏)들을
표창하고 기리기 위해 세운 청도의 선정비군(善政碑群)이 늘어서 있다.
1675년부터 1904년까지 조선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모두 30기(관찰사 2기,
군수 25기, 찰방 3기)이다.








이 선정비들은 읍성 외곽 서상리, 동천리, 남성현 등 주요 도로변에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비석이 있던 주변 도로가 확장되면서
발견된 비석들을 도주관(객사)으로 옮겨 보관해 오다 2008년
청도읍성 동문지 주변으로 이건한 것이다.



...............................................................................................................................................................................





읍성 바로 동쪽에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석빙고가 자리하고 있다.
석빙고의 입구 왼쪽에는 석비(石碑)가 서 있는데, 앞면에는 공사에 동원된
인원수 · 쓰인 재료 · 비용 등을 기록해 놓았고, 뒷면에는 비를 세운 날짜와 함께
관계된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 놓았다.
그 중에 '계사(癸巳)년'이라는 기록이 있어 조선 숙종 39년(171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석빙고는 화강석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높이가 4.4m,
길이 14.75m, 폭이 5m의 장방형 구조로, 다듬은 돌로 윗부분을
반원형인 홍예(虹霓)로 들어 올리고 잡석으로 벽을 쌓았다.  
현재는 양쪽 벽을 이어주던 반원아치 형태의 홍예가 4군데
남아 있을 뿐 천장은 완전히 무너져 불완전한 상태이다.








                               내부는 계단을 통하여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가 져 있고
                               중앙에는 배수구가 있어 경사를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천정에는 환기구멍이 있었으리라 짐작이 되지만 무너져내려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


지금까지 전하는 6기(
청도, 경주, 영산, 창녕, 현풍, 안동)의 석빙고 중 청도 석빙고는
경주 석빙고 다음으로 큰 규모이고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황해도 해주까지 합하면 총 7개의 석빙고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셈이다.



...............................................................................................................................................................................





도주관(道州館).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석빙고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도주(道州)는 청도의 옛 이름으로 이 건물은 조선시대 청도군의 객사(客舍)로 쓰이던 곳이다.
객사는 중앙에 정청(政廳)을 두고 좌우에 동헌, 서헌을 둔 구조로 정청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어 지방 수령이 초하루와 보름에 배례를 하였다.
동 · 서헌은 접객시설로 외국 사신들이나 중앙관리들의 이동시 접대 및 유숙하던 곳이었다.








도주관은 조선 초기부터 있었으나 노후하여 중종 38년(1543년) 관찰사 임백령이
중창하였고, 주세붕이 쓴 '도주관 중수기문'에 중창기록이 남겨져 있다.
이후 정청과 우객사만이 남아 있었으나 2006년 좌객사를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건물의 정청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익공(翼工)집이며, 동 · 서헌은 정면 6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정청의 외관은 기둥을 건물 폭에 비하여 높게 세워 좌우 건물보다 높고 험준한 느낌을 준다.



...............................................................................................................................................................................





                               도주관 입구에는 고종 8년(1871년) 병인 · 신미양요를 치른 뒤
                               쇄국의 결의를 다지고 국민들에게 외세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해 
                               대원군이 세운 척화비(斥和碑)가 옮겨져 있다. 




                               참고/ 현장 안내문.




Travel





경주에 있는 석빙고는 얼음을 넣어두던 창고로 보물 제66호이다.
조선 영조 14년(1738)에 축조하였고, 4년후 반월성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석빙고는 이곳 뿐만 아니라 현풍, 청도, 창녕, 안동 등지에서도 볼 수가 있다.









                               국보 제31호인 첨성대.
                               현존하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있으나,
                               선덕여왕을 기리는 상징탑, 혹은 제단이라는 일부의 주장도 있다. 
                               그러나 최근 첨성대가 천문대로 활용되었음을 증명하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기록에 의하면 첨성대 축조 이후 관측기록이 8배 이상이나 증가했으며,
                               당시 유성 관측 기록이 첨성대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위치한 신라 29대 태종무열왕의 능(무열왕릉).
사적 제20호로 지정되어 있다.
능의 외형은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밑지름 36.3m, 높이 8.7m이다.
밑둘레를 따라 비교적 큰 자연석을 사용하여 무덤의 보호석으로 드문드문
놓았으며, 능 앞에는 혼유석(魂遊石)이 있다.









국보 제25호인 신라 태종무열왕릉비(太宗武烈王陵碑).
무열왕릉 경내의 비각으로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에는 '太宗武烈大王之碑'라는 글이 전서로 양각되어 있는데,
이는 김인문(金仁問)의 글씨라 전한다.








서악리 고분군(西岳里 古墳群). 사적 제142호로 무열왕릉 바로 뒷편에
위치한 4개의 대형 무덤을 가리킨다.
무덤의 주인은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무열왕릉 뒷편에 있는 것으로 보아
무열왕과 가까운 왕이나 왕족의 무덤일 것으로 추정된다.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팔공산 기슭의 삼성암지 마애약사여래입상.
                               유형문화재 제21호로 현재 바위가 세로로 갈라져서 여래상이 새겨진
                               바위가 많이 기울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바위가 기울어졌다고는 하지만 부처님을 바로 세워서 봐도
                               서 있는 모습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조성연대는 통일신라의 양식을 이어받은 고려초기로 짐작된다.




...............................................................................................................................................................................





경북 포항시 남구 장기면사무소 내에 위치한 근민당(近民堂).
관아(官衙), 즉 옛 장기현의 현감이 공사(公事)를 처리하던
동헌(東軒)건물로서, 영일 장기읍성 내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내부구조는 약간 변형되었다.









                               역시 같은 장소에 위치한 장기척화비(長鬐斥和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24호로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를 겪은 후
                               서양사람들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경고하기 위해 고종 8년(1871) 4월에
                               대원군의 명에 의해 전국에 세운 것 중의 하나이다.

                               원래의 위치는 장기읍성 내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분실되었다가 1951년 4월초,
                               장기면 지서 입구에서 찾아 장기면사무소 정문 좌측 도로변에 세워 두었다가
                               1990년 정원으로 옮겨 보호책을 설치하였다.
                               이 척화비는 사암으로 되어 있으며, 폭은 45cm, 높이 120cm, 두께 21cm이다.





                               참고/ 현장 안내판, 위키백과.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세부(Cebu) - 임페리얼펠리스 리조트  (0) 2011.05.28
필리핀 세부(Cebu)  (0) 2011.05.21
여기, 저기... (1)  (12) 2011.05.10
경복궁(景福宮)  (12) 2011.04.08
국립서울현충원  (0) 2011.04.07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