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창덕궁'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보물 제383호인 돈화문(敦化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태종12년)에 처음 지어졌다.
지금의 돈화문은 1609년(광해군 원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정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敦化는 '중용'의 대덕돈화(大德敦化)에서 가져온 것으로
'(큰 덕은 백성 등을) 가르치어 감화시킴을 도탑게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금천교(錦川橋)와 진선문(進善門).

                               궁궐의 정문을 지나면 금천교에 이르는데 금천교는 1411년에 축조된
                               궁궐의 초입부에 놓인 돌다리로 두 개의 홍예를 내어 풍수지리상
                               길한 명당수를 흐르게 한다.
                               이 다리 아래에는 궁궐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해태상과 거북상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진선문은 창덕궁의 중문으로 태종 때 신문고를 설치해 두었던 곳이다.


                               창덕궁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은 물론,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국가의 중요한 행사가 행해졌던 인정전(仁政殿).
국보 제225호로 궁궐의 대표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인정전 월대(月臺)의 중앙 답도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이 새겨져 있다.








                               조선의 궁궐 정전에는 공통적으로 정면에 임금의 용상(龍床)과 나무로 만든
                               곡병(曲屛)을 두고 뒤에는 일월오악병(日月五岳屛)을 둘렀는데
                               일월오악도에는 해와 달, 다섯개의 산봉우리, 폭포, 파도,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천장에는 봉황 한 쌍이 새겨져 있다.
                               1908년 전기시설이 가설되면서 이곳 인정전에 전등이 설치되었다.









창덕궁 인정전의 지붕에는 9개의 잡상(雜像, 어처구니)이 놓여있다.


 







왕비의 침전으로 지어졌으나 임금도 자주 거처하였다는 보물 제816호인 대조전(大造殿).
대청마루를 가운데 두고 왕비의 침전인 서온돌과 임금의 침전인 동온돌로 나뉘어진다.
이 건물에는 용마루가 없는데 이는 용으로 비유되는 임금이 잠자는 곳에 
또 다른 용을 나타내는 용마루가 있으면 두 용이 충돌한다 하여 설치하지 않았다고 한다.
1917년 이 건물이 불에 타자 1920년 경복궁의 교태전(交泰殿)을 옮겨다 지었으며,
마지막 임금인 순종이 이곳에서 승하하였다.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후인 순정효황후가 사용했던 침대. 
대조전에 비치되어 있으며 길이 224cm, 폭 154cm, 높이 113.5cm의 크기이다.
1988년경 한차례 일부 수리가 있었으나 매트리스 중앙부가 함몰되고
덮개천도 부분적으로 훼손되어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수리 · 복원하였다.








경훈각(景薰閣) 뒷편에는 계단식 화단인 화계(花階)를
조성하고 괴석을 설치하였다.
좌측 구조물은 벽돌로 쌓아 만든 굴뚝으로 가운데에는 
사슴과 학을 조각해 장식하였으며, 우측 계단과 연결된 문은
북쪽 후원으로 통하는 출입문이다.

 







                               왕세자가 교육을 받거나 책을 읽던 곳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왕가의 내의원으로 쓰이기도 했던 성정각(誠正閣).
                               지금은 후원으로 가는 길에 조선시대에는 중회당이 있었으며,
                               이 일대는 왕세자의 거처인 동궁이었다.
                               또한 순조의 장남인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할 때 주로 기거하면서
                               정궁으로 쓰던 곳이기도 하다.

                               성정각의 동쪽 누각에는 동쪽을 향해 희우루(喜雨樓),
                               남쪽을 향해 보춘정(報春亭)이란 편액이 각각 걸려있다.  
                               희우루는 '가뭄끝에 단비가 내려 기뻐하다'라는 뜻으로
                               1777년(정조1년), 매우 가물었을 때 이 누각을 중건하기 시작하자마자
                               비가 내렸고, 또 얼마간 가뭄이 들었다가 누각이 완성되어 임금이
                               행차하자 또 다시 비가 내렸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보춘정은 '봄을 알린다'는 뜻으로 봄은 동쪽을 의미하며
                               태양이 뜨는 방향, 즉 왕세자를 일컫는다.









                               이 외에도 창덕궁은 비원(秘苑)이라 불리는 아름다운 후원(後苑)과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황실 가족이 마지막까지 머무르던 낙선재가 유명하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창덕궁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서울현충원  (0) 2011.04.07
N서울타워  (16) 2011.04.04
창경궁(昌慶宮)  (14) 2011.03.29
영덕 장사해수욕장에서...  (10) 2011.03.26
영일 장기읍성  (18) 2011.03.08
History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2003년 12월의 모습이다..

조선 태조 4년(1395)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고종 2년(1865)에
대원군에 의해 재건되었다.
지금의 것은 1968년에 복원된 것이다.

.........................................................

올해 8·15 기념식은 세종문화회관,
독립기념관 등에서 열리던 것에서 벗어나
건국 6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식으로
이 곳 광화문과 흥례문사이의 공간에서
열릴 예정이라 한다.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경복궁은
나라의 기운을 상징해 왔다는 것이 그 이유인데
1948년 8월 15일 경복궁내 중앙청 광장에서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식이 열린이래
경복궁에서 열리기는 처음이라 한다.

그래서 다시 꺼내 본, 경복궁과
창덕궁의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인 흥례문.

원래 1395년에 건립되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때에 소실되어
1867년 흥선대원군이 중건하였고
일제시대때 조선총독부청사 건립을 위해
1916년 철거를 하면서 흥례문을 비롯한
주변행각(行閣)이 모두 파괴되었다.

해방이후 정부종합청사와
국립중앙박물관의 용도로 쓰이다가
광복 50주년을 기념하여 1996년에 철거되어
흥례문 등의 전각이 2001년 10월에
복원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근정전은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이자
현존하는 한국 최대의 목조 건축물로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따위를 거행하던 곳이다.


... 우리네 옛 건축물을 볼때 마다
드는 느낌은 시원함이다.
잘 구성된 공간과 건물을 따라 흐르는 선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거침없다.  

진정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는 곳,
그 곳이 바로 경복궁이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창덕궁 인정전의 모습이다..

창덕궁의 중심건물(正殿)로 조정의 각종의식
(임금에 대한 신하들의 새해인사 혹은
왕세자나 세자빈을 결정하였을 때 등
국가의 커다란 경사가 있을 때
왕이 이 곳으로 나아가 축하를 받았다)과
외국 사신의 접견장소로 사용된 곳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창덕궁 낙선재.

낙선재는 조선 헌종 13년(1847)에
창덕궁 안에 지은 전각으로,
국상을 당한 왕후와 후궁들이 거주하던 곳이다.

원래 이곳은 상중()에 있는 왕후들이
소복() 차림으로 기거하던 곳이며,
1963년 일본에서 돌아온 영친왕() 이은()이
이곳에서 사망하였다.
상중에 왕후들이 기거하던 곳이라 하여
단청()도 하지 않았다.
이방자(李方子)여사가 거처한 곳이기도 하다.

..............................................................

작금 14일,
일본은  중학교 교육지침서인 사회과 해설서에
독도가 자기네 고유의 영토라는 내용을 명기하여
또 다시 독도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잊혀질 만 하면 들고 나오는
그네들의 단골 메뉴이기에
그다지 새삼스러울 것도 없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그들은 지난날에 대한 반성은 커녕
지금도 여전히 총성없는 침략을
계속 해 오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미 종결된 지난 날의 역사가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진행중이고 유효한
침략의 역사인 것이다.
아마도 이것이 그들이 보는 시각인 것 같다.
그래서 반성과 사과에 대한 논쟁이
아직까지 계속되는 것이 아닌가.

지난날, 그들에 의해 저질러 온 악행,
특히 한국인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한
문화적인 파괴행위에 대한 흔적들이
남아있는 우리들의 문화재들이다.
이럴때일수록 필요한건 우리것을 지키고
잘 보존하려는 스스로의 주인의식일 것이다.
그것이 바로 정신적 유산이자 가치이며
한국인의 혼을 이어가는
하나의 길이기도 할테니까.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범어네거리  (7) 2008.08.14
되돌아 본 대구 반월당 지역 -2  (0) 2008.07.18
되돌아 본 대구 반월당 지역 -1  (0) 2008.07.10
옛 지도  (0) 2008.05.23
버마 아웅산테러 및 여객기 피랍  (0) 2008.05.22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