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5 Page)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복례문(復禮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위치한 병산서원의 정문이다. 
                              서원의 정문은 삼문(三門)이 일반적인데, 병산서원의 솟을삼문은 
                              가운데 칸만 판문(板門)이고, 좌우로는 담장과 구분되는 벽채를 한 칸씩 두고 있다.
                              '복례'라는 이름은 논어 '克己復禮爲仁'에서 유래한다.
                              이는 공자의 가르침을 함축한 경구(警句)로서, '자기를 낮추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仁)이다'라는 유학의 자기절제의 정신을 표현해 놓은 것이다.
                              원래 서원 측면에 있었던 것을 1921년 이 곳으로 이전시켰다.








입교당(立敎堂).
서원의 가장 핵심적인 건물인 강당으로,
원래의 명칭은 숭교당(崇敎堂)이었고 명륜당이라고도 불렀다.
'가르침을 바로 세운다'는 의미이며, 서원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뒷마당에서 바라 본 입교당의 마루와 만대루, 그리고 입구인 복례문.








신문(神門). 서원의 내삼문에 해당하며 향사(享祀) 때에 제관(祭官)들이 출입하였다.









만대루(晩對樓)는 휴식과 강학의 복합공간이다.
200여명을 수용하고도 남음직한 장대한 이 누각에는 다른 서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면이 있다.
휘어진 모습 그대로 서 있는 아래층의 나무 기둥들과 자연 그대로의 주춧돌, 커다란 통나무를
깎아 만든 계단, 굽이도는 강물의 형상을 닮은 대들보의 모습은 건축물조차 자연의 일부로
생각했던 조상들의 의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 하다.








만대루의 2층 누각에서 여유로움을 맛보다.

'만대'는 두보의 시 '백제성루(百濟城樓)' 중 '푸른 절벽은
저녁무렵 마주하기 좋으니(翠屛宜晩對)'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그 이름처럼 해질 무렵에 2층 누각에 올라서 바라보는 낙동강과 병산의 경치는
이곳의 경치 중 으뜸이다.








서원 앞쪽으로 펼쳐진 넓은 백사장과 우뚝 솟은 병산(屛山).
그리고 그 밑을 흐르는 낙동강의 모습은 무척이나 시원스럽게 보인다.








달팽이 뒷간.
서원 밖 주소(廚所, 부엌) 앞에 있는 화장실로, 진흙 돌담의 시작 부분이
끝 부분에 가리도록 둥글게 감아 세워 놓았는데, 그 모양새에서 이름을 따왔다.
출입문을 달아 놓지 않아도 안의 사람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려한 구조로,
지붕이 따로 없는 이 곳은 유생들의 뒷바라지를 하던 일꾼들이 사용하던 곳이다.








뒷간의 안쪽 모습이다.
400여년 전 서원건물과 함께 지어졌으며, 옛 기록에는 대나무로 벽을 둘렀다고도 전해진다.
병산서원의 부속건물에 포함되어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3년 보수작업이 이루어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참고/ 병산서원 홈페이지 및 현장 안내판.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STX 리조트  (0) 2010.03.01
안동 분강서원, 농암종택 그리고 도산서원  (20) 2010.01.29
안동 하회마을  (22) 2010.01.22
속리산 법주사  (18) 2010.01.19
봉화 청량산 청량사  (12) 2009.12.03
Travel




지난해 11월, 마을에 들어서는 초입에서 여행자를 맞이하고 있는 하회탈.








부용대에 올라서서 바라 본 하회마을의 전경.
하회마을은 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해 있다.









양진당(養眞堂), 보물 제306호이다.
이 건물은 1500년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겸암(兼菴) 류운룡(柳雲龍)이 살던 집으로
풍산류씨 대종가이다.
하회 북촌(北村)을 대표하는 가옥으로, 안채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그 후에 다시 지었다 한다.









충효당(忠孝堂), 보물 제414호이다.
이 건물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후손과 문하생들이 그의 덕을 기리는 뜻에서
1600년대에 지은 가옥이다.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 1598~1674)가 처음 건립하였고,
그 후 그의 증손 익찬(翊贊) 류의하(柳宜河)가 전체 52칸의 규모로 확장한 목조건물이다.

집 앞에 행랑채가 길게 가로 놓여 있고 그 뒷편에 'ㅁ'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사랑채 뒤쪽에는 따로 사당이 마련되어 있고, 그 오른편에는 서애의 유물 등을 보관, 전시하고 있는
영모각(永慕閣)이 있다.








                              충효당의 현판글씨는 전서체(篆書體)로, 미수(眉搜) 허목(許穆)이 썼다고 한다.
                              허목은 전서체의 대두라 불릴만 하여 그의 글은 중국에서도 귀하게 여겼다고 한다.








골목길에서 만난, 웬지 위압감이 느껴지는 고택 하나...








빈연정사(賓淵精舍), 중요민속자료 제86호이다.









하회 북촌댁(北村宅) 화경당(和敬堂), 중요민속자료 제84호이다.









하회마을 낙동강변의 나룻배.
강 건너편 절벽 위쪽이 이 마을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부용대이다.


참고/ 현장 안내판.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분강서원, 농암종택 그리고 도산서원  (20) 2010.01.29
안동 병산서원  (14) 2010.01.26
속리산 법주사  (18) 2010.01.19
봉화 청량산 청량사  (12) 2009.12.03
축융봉에서 바라본 봉화 청량산  (10) 2009.11.30
Travel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에 위치한 미륵신앙(彌勒信仰)의 요람으로 불리우는 법주사.
먼저 일주문과 수정교를 지나고 나면, 가람에 들어서는 첫 입구라 할 금강문(金剛門)을 만나게 된다.
좌우로는 돌담으로 회랑을 형성하고 있으며, 인왕상을 봉안하기 때문에
인왕문(仁王門)이라고도 부른다.

법주사는 553년 (신라 진흥왕 14)때 의신(義信)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성덕왕 때 중수를 하였는데, 현재 남아 있는 석물(石物)은 모두 이때 만들어진 것이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를 하였으며, 현존하는 목조건물은 모두 조선 후기의 것이다.








                              이곳 금강문 안에는 1974년에 조성한 금강역사 2위와, 사자를 탄 문수보살,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을 함께 봉안하였다.
                              대체로 문 양쪽에는 금강저(金剛杵)나 칼과 창을 손에 들고 있는 금강역사가 모셔진다.
                              그래서 왼쪽에는 밀적금강(蜜跡金剛), 오른쪽에는 나라연금강(那羅延金剛)을 모시는데,
                              혹 입을 벌리고 있는 상을 아금강역사, 입을 다물고 있는 상을 우금강역사라 부르기도 한다.








                              금강문을 지나자 하늘을 향해 뻗은 두 그루의 나무가 시원스럽게 맞아준다.
                              바로 뒤의 건물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으며 사천왕상을 봉안한 
                              사천왕문으로, 국내의 천왕문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한다.
                              지붕 위쪽으로는 바로 뒤에 위치한 팔상전의 꼭대기 층이 넘겨다 보인다.








                              팔상전. 국보 제55호로 지정되었으며 5층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이며 탑 중에서도 가장 높은 건축물이기도 하다.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 수리한 것인데, 
                              안쪽 벽면에는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높이 33m로, 동양 최대 규모의 미륵불 입상인 금동미륵대불(청동미륵대불).
                              신라 혜공왕 때인 776년, 진표율사가 금동미륵대불을 처음 지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몰수되어 1964년에 시멘트로 다시 불사를 했다.
                              1990년에는 붕괴직전의 시멘트 대불이 청동대불로 다시 태어났으며,
                              2000년 들어서는 원래의 제 모습을 찾아 주고자 금동미륵불로 복원공사를 했다. 
                              당시, 3mm 두께로 황금을 입히는데 모두 80kg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대웅보전에서 팔상전에 이르는 앞마당에는 신라시대의 걸작이라 할 
                              쌍사자석등(雙獅子石燈)이 서 있다. 
                              국보 제5호로, 높이 3.3m에 이르는 팔각석등이다.
                              신라시대의 석등은 대게 하대석과 중대석, 상대석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대석을 두 마리의 사자가 앞발을 높이 치켜들어 상대석을 떠받치는 
                              독특한 양식으로 되어있다. 








보물 제915호로 지정된 대웅보전.
창건무렵인 신라 때에는 미륵장륙상을 모신 용화보전이 미륵신앙 도량인
법주사의 중심역할을 했을 것이기 때문에, 대웅보전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
지금의 건물은 고려 중기에 처음 세운 것으로 보이며, 1624년(인조 2)에 중건하였고
이후 잦은 중수를 거듭하였지만, 조선 중기의 양식을 잘 갖추고 있어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벽암대사가 중창한 이후 400년 만인 2005년,
4년간의 공사끝에 옛모습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

대웅보전 앞에 보이는 석탑은 보물 제15호로 지정된 사천왕석등(四天王石燈)으로,
상대석에 사천왕이 새겨져 있어 그렇게 부른다.








                              두툼한 판석과 커다란 그릇을 머리에 이고 있는 모습의 희견보살상(喜見菩薩像). 
                              우리나라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보살상으로
                              전체 높이가 2m에 이르며, 보물 제1417호로 지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선이 굵고 대담한 기법이 돋보이는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희견보살은 법화경을 공양하기 위해 스스로 몸과 팔을 불태워 
                              소신(燒身)공양을 올렸다는 보살이다.
                              그러나 이 보살상의 주인공을 석가여래의 으뜸가는 제자였던 
                              가섭존자(迦葉尊者)에 가깝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가섭존자는 석가가 입멸한 후,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열반에 들지말고 
                              세상에 남아, 가사와 발우를 전하라는 석가여래의 가르침을 받는다는 경설을 바탕으로
                              이를 형상화 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능인전 옆의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새겨진, 전체 높이 5m의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으로서 보물 제216호로 지정되었다.
                              의상(倚像)이란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마애불로서 이러한 예는 경주 남산의 삼화령 미륵불이 유일한 작품인데, 
                              그 양식상의 특징과 연관지어 미륵불로 추정하고 있다. 








오른편으로 높이 솟은 것은 당간지주로, 고려 초인 1006년(목종 7)에 조성되었는데
당시에는 높이가 16m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 뒤 조선 후기인 1866년(고종 3)에는 대원군의 명령으로 국가에서
당백전(當百錢)을 주조하면서 사찰의 많은 금속물들이 징발 당했는데,
그 과정에서 당시 용화전의 미륵장륙상과 이 철당간이 사라졌다.
이후, 1910년경에는 22m 높이의 철당간을 확대, 복원하였고, 1972년에 보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참고/ 법주사 홈페이지. 네이버백과사전.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병산서원  (14) 2010.01.26
안동 하회마을  (22) 2010.01.22
봉화 청량산 청량사  (12) 2009.12.03
축융봉에서 바라본 봉화 청량산  (10) 2009.11.30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Landscape




어둠의 끝자락을 붙잡고 희뿌연 물안개가 밀려든다.
아직 잠결인 듯 몽롱하게...  
중심을 잡지 못한 채 비틀거리며 날아 오른다. 








대지는 뜨겁게 달아오르고...
커다란 무쇠솥인 듯 담긴 물은 끓으며 하얀 수증기를 토해낸다.








대단히 화려하고 큰 규모는 아니지만,
보이는 그대로 따뜻하리라는 착각에
풍덩 뛰어 들고만 싶은...








공기는 어쩔 수 없이 차가워도,
바라보는 이 순간만큼은 따뜻함 그 자체이다.








                              춤추듯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작은 물안개 하나만으로도 
                              이미 이 곳은 색다른 풍경이 되어 있다.








한가로운 몇 척의 배들 만이
취한 듯 그 풍경을 지켜보고...








                              그냥 그대로 이 자리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저 뜨거움에 혹여 몸이라도 데일까 봐, 
                              아니면, 저 속으로 들고나면 행여나 길이라도 잃어버릴까 봐...








호수에서 피어오른 물안개에 시선을 붙잡혀
잠시 서서 바라보면서,
순간이나마 자신의 존재를 잊어버렸던
지난 어느 초겨울날의 기억...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 (1)  (16) 2010.02.11
팔공산 비로봉에서  (20) 2010.02.02
지난 초겨울을 회상하며...  (0) 2010.01.04
감나무, 지난 가을을 추억하며...  (18) 2009.12.07
가을의 뒤안길에서  (14) 2009.11.26
Image




                              순백의 눈은 자연에 대한 축복이며, 순수함의 상징이다. 
                              그 앞에서는 잡다한 상념을 비우게 되고,
                              꽁꽁 닫힌 마음의 문도 열게 된다.








                              눈은 무엇이든 특정하게 구분짓지도 않는다.
                              그 위에서는 모든 것이 평등할 뿐이다.
                              그리고 추한 모든 것을 가려주는 넉넉한 마음 또한 가지고 있다.
                              어쩌면 이 눈속에는 맑고 순수한 세상으로 만들어 나가기를 바라는 
                              창조주의 기대가 담겨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감추려 해도 그 순간 뿐... 녹으면 이내 드러나는 실체,
                              세상에는 비밀이란 있을 수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금 깨우치게 하는...








                              문명은 편리함을 추구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발전을 거듭할수록 자연환경은 악화되기만 하고, 
                              그 속에 묻힌 인간들조차 나태해지고 게을러지기 십상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흉기가 될 수도 있는 문명이라는 이름의...








차갑다기 보다는 오히려 따뜻하게 느껴지는 눈이지만,
그것에 대한 반가움보다는 당장 겪게 될 현실적인 불편 때문에
걱정부터 앞세우게 되는 오늘날의 인간들,
눈에 대한 순수한 마음을 잃어버린지는 이미 오래... 








눈이 내린 후의 질펀함 까지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그런 여유로운 마음을 기대한다면 지나친 바램일까.








저 뜨거움에 금방이라도 녹아 내릴 것만 같은...








사랑, 뜨겁거나 아니면 차갑거나...
미지근한 사랑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








세상을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바꾸어 놓는 막강한 힘을 가진 눈.
그러나 그러한 힘은 엄청난 괴력에서가 아닌,
의외로 눈과 같은 부드러움에서 나온다.
마치 만물이 추운 겨울에는 칩거해 있다가 따뜻한 봄이 오면 생동하듯,
메마르고 황량한 세상은 오직 훈풍 만이 녹일 수 있는 것이다.
 
너무 강하면 부러진다고 했던가.
결국, 부드러움은 인간의 속마음까지 녹일 수 있을 정도로
아주 강력한 무기가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눈을 통해 새삼 떠 올려 본다.




'Im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 2 (자연)  (24) 2010.02.16
따뜻했던 지난날의 기억  (11) 2010.02.05
가을회상 - (2) 또 하나의 감  (0) 2009.01.09
잘 익은... Made in 청도.  (4) 2008.10.28
들뜨다  (0) 2008.05.15

외국화폐 (가나, 아랍에미리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istory





지난 4일, 이 곳 대구에도 눈이 왔었습니다.
눈 때문에 가슴 설레이는 그럴 나이는 이미 지났지만,
마침 볼일도 있고해서 다녀 오는 길에 가까운 대구스타디움으로 향했습니다.
월드컵공원 야외음악당에서 스타디움 쪽으로 바라본 모습입니다.








스타디움의 서쪽광장 조형물 왼편으로는 외지로, 작은 공연등이 열리는 무대가,
그리고 오른쪽으로는 수변관으로, 대구스포츠기념관과 월드컵웨딩홀이 위치해 있습니다.








                              흰 눈 위에 얹혀진 붉은색의 조형물이 
                              평소 때보다 더 자극적이고 강렬하게 보입니다.








광장 한 쪽에는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눈사람이
모델을 자청하며 서 있고...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대구스타디움은
관중석 66,422석 규모로, 최대 수용가능인원은 약 7만여명입니다.
2002년 한일월드컵과 2003년 하계유니버시아드의 개최를 목적으로
2001년 대구월드컵경기장으로 개장하였으며,
2008년 3월 5일부터는 대구스타디움으로 개칭하였습니다.
또한, 다가오는 2011년에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이 곳에서 열릴 예정으로 있습니다.








스타디움 전면광장에 있는 굴뚝을 닮은 매표소 건물입니다.
그리고 우측으로는 유니버시아드로(路)로, 범안로와 경산시내를 연결하는 도로입니다.








내린 눈으로 인해 스타디움 안쪽도 환하게 밝아졌습니다.
이 대구스타디움의 지붕은  좌석의 74%에 자연채광을 가능하게 하는
테플론 코팅막으로 지어졌다고 합니다.








스타디움 밖, 또 다른 한 쪽 눈 위에는 
연인들이 남긴 것으로 보이는 고백, 혹은 약속이 새겨져 있습니다.
글씨는 잔가지를 꺾어서 만들었는데, 정성이 엿보이는 걸로 보아 진심인 것 같습니다.
물론, 얼마 지나지 않으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리겠지만,
그 마음만큼은 영원히 오래도록 남았으면 합니다.








이미 일부는 녹아서 물방울이 되어 떨어져 내립니다.
그리고 이제 길지 않은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 눈은 아무런 일도 없었는 듯 사라져 버리고
주위의 모든것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놓을 것입니다.
생각해 보건데, 소리없이 왔다가 흔적도 없이 가버리는 
환영(幻影)과 같은 존재가 바로 이 눈이 아닐까 합니다.




 

etc




담이란, 일정한 공간을 막기위해 흙과 벽돌 등으로 쌓아올린 것을 말하며,
서로를 구분하여 재산과 소유를 결정하는 기준점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극히 개인적이며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서로간에 담을 쌓는다는 말도 있듯이
그저 보기에도 결코 유쾌한 모습은 아닙니다.








벽이란 것도 이와 유사한 느낌인데요,
사전적 의미로는 특정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소리, 열, 광선, 바람, 비 등의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나 장애, 그리고 관계의 단절을 의미하기도 한답니다.

담이든 벽이든, 또 다른 어떤 의미를 가졌건 간에
둘 다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 오는건 매 한가지인 것 같습니다.








시선을 가로막은 만큼, 답답하기만 한...
차가운 담 만큼이나 그 안에 살고 있을 누군가의 마음도 꼭 그러할 것 같습니다.








세상과의 소통을 거부하며 두텁게 막아선 담장옆으로
차가운 바람만이 휑하니 지나갑니다.
벽은 단절입니다.








결국, 담이나 벽은 마음을 열고 바라봐야 할 대상이기도 하지만,
타도하고 허물어 버려야 할 대상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찌보면, 꼭 관계의 단절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도 같습니다.
                              한편으로는 이웃을 향한 소통의 통로로서 길을 만들기도 하니까 말이죠.       
                              결국, 소통과 단절의 양면성을 가진것이 바로 벽이요 담인 것 같습니다.








마음의 벽을 허물고 다가서면 모두가 하나로 됩니다.
너와 나를 구분할 필요조차 없는...








혹, 이제까지 살아 오면서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었고, 
그 이유로 보이지 않는 마음의 벽이 되어 서로간에 남아 있다면,
이제는 기꺼이 허물어 버리고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그리하여 2010년 올해에는 더 진한 사람의 향기로 가득 채워지는, 
그런 살기좋은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andscape





이미 메마르고 창백해진 몸이지만,
땅 속에서는 긴 호흡으로 살아 숨쉬고 있을...








밤 사이 내려앉은 이슬은 작은 구슬로 꿰어지고... 
그 바람에 거미는 길을 잃어 버렸다.








가지위로 남겨진 누군가의 흔적...








빗물인 듯, 이슬인 듯...
아니면 혹독한 겨울을 견뎌 내야 할 생각에 
흘리는 나무의 서러운 눈물인 듯...








차가운 공기를 애써 부정해 보지만, 이미... 








바람에 몸을 맡긴 채,
마치 희롱하듯 흰 머리를 흔들어 대는...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안개는
드러내고 감추기를 반복하며, 자신만의 유희에 빠져들고...








이미 계절은 바뀌어 버렸건만,
그 아쉬움에.. 차마 떨치지 못하고 있는 가을의 흔적.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비로봉에서  (20) 2010.02.02
물안개  (22) 2010.01.14
감나무, 지난 가을을 추억하며...  (18) 2009.12.07
가을의 뒤안길에서  (14) 2009.11.26
겨울예감  (26) 2009.11.16
etc


올해도 불과 일주일 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한 해의 마무리... 잘 하고 계신지요.
조금은 이른 듯 하지만, 성탄절을 맞이하면서 새해인사까지 미리 드려봅니다.







조용한 새벽입니다.
잠에 취해 몽롱한 상태에서 어디선가 들려오는 희미한 소리를 듣습니다.
가만히 들어보니 어디선가 들어 본 노래소리 같습니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어둠에 묻힌 밤...

교회라고는 문턱도 밟아본 일이 없었는데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이 노래만큼은 친숙하게 들려왔습니다.
그 소리는 가까이 다가왔다가 서서히 멀어져 갑니다.
그러고 나서야 오늘이 바로 아기예수님이 태어나신 날이라는 걸 알게 됩니다.
슬며시 몸을 일으켜 방문을 열어 봅니다.
아... 그런데, 눈에 보이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저 소리없이 내리는 눈이 온 세상을 하얗게 물들이고 있을 뿐이었지요.  

꿈인 듯, 아련한... 아주 어릴적의 기억 한 토막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 그러한 기억은 두번 다시는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번 크리스마스 만큼은 모두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는,
아주 멋진, 그런 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렸을 때는 어른이 그렇게도 되고 싶었습니다.
                              막연하게 나마, 주위의 보호와 간섭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자기 의지로 마음껏 행할 수 있는...
                              이른바 자유라는 것을 맘껏 누려보고 싶었던 것이죠. 
                              그러나 막상, 그토록 기다리던 어른이 되어봐도 별 뾰족한 수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자유는 커녕, 매번 반복되기만 하는 지루한 일상 만이 
                              눈앞에서 기다리고 있을 뿐이었죠. 
                              그리고 이제 좀 더 시간이 흐른 지금에는, 
                              보이지는 않지만 흘러가는 세월을 실감하게 되고, 
                              이젠 서서히 두려워지기까지 하는, 그런 시점에 서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뒤를 돌아 봐야 보이는 것은 없고, 그저 마음만 급해질 뿐입니다.








또 다시 한 해가 지나가나 봅니다.
지난 날을 되돌아 보면 딱히 잡히는 것은 없어, 그저 만감이 교차해 옵니다.
생각해 보니, 매년 그랬던 것 같습니다. 후회와 반성, 아쉬움이 그것이죠.
어찌보면 그것은 더 나은 새해를 위한 밑거름이 될,
아주 당연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지만 말이죠.

그런데, 새해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아주 조금이라도 남아있어서 그런걸까요.
스스로에 대한 실망과 아쉬움속에서도,
가슴 한켠에 뜨겁게 자리잡는 들뜨는 듯한 기분은 또 뭔지요.








해마다 그랬듯이, 우리는 언제나 한 해의 결승점을 향해서 출발을 반복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또 다시, 또 다른 삶에 대한 기대와 꿈을 가지고 출발을 하려 합니다.
그저 헛된 망상이 아닌, 실현 가능한 꿈을 가지고서 말이죠.

꿈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꿈이 있다는 건 살아 있음의 증명이요, 노도와 같은 한 해를 버티고
헤쳐나가기 위한 원동력이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꿈이 있음으로 희망도 있습니다. 희망은 빛입니다. 빛은 환한 마음입니다.
그런 마음으로 조금은 힘이 들더라도 긍정적인 생각으로 이겨나가야 합니다.
쉽지는 않겠지만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우리들의 미래이기에,
이제 또 다시 날선 각오를 다지며, 보이지 않는 출발선을 향해 소리없이 나아갑니다.








                              새해는 축복이요, 기대감이자 설레임입니다.  
                              매번 만나게 되어도 항상 새로운 느낌입니다. 
                              그러기에 그때마다 각오도 남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쪼록, 처음의 그 느낌이 끝까지 쭉 이어졌으면 합니다.








새해에는 모두가...
행복이 넘치고 건강이 충만한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맘껏 꿈을 펼치고, 그 꿈을 주워담는 그런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거기다 뜻하지 않은 행운까지 함께 한다면 더 더욱 좋겠습니다.








그동안 알게 모르게 저의 버팀목으로 꾸준히 다가와 주셨던,
mark님, Raymundus님, yureka님, 라오니스님, MORO님, artghost님, 
쭌's님, 관포지교님, 하얀눈꽃님, 작은소망님...
그리고 비바리님, 플래드론님, 이스라지님, 천일님...
거기다, 최근에 방문해 주신 원덜님, 꼬마낙타님까지...
모두 모두 고맙습니다.

보시다시피 많은 분들이 아니시기에 저에겐 더 소중한 이웃들입니다.
지난 한 해동안 저와 함께 해 주셨던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새해에는 모두가 소원성취하시고,
매일 매일이 행복한 그런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건강한 한 해가 되시길 빌겠습니다.

Merry Christmas & Happy New Year !!

감사합니다.


덧> 조심스럽지만, 위의 내용에서 빠진 이웃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 이미지 그림은 수정에 어려움이 있어,
최근에 뵙게 된 분은 부득이 누락이 될 수 밖에 없었네요.  
언급되고 보여진다고 해서 별것은 아니지만,
혹시 그렇다 하더라도 서운해 하시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어느 분 할 것 없이 한 분, 한 분 모두가 저에겐 똑같이 소중한 분이시니까요.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엠블럼  (0) 2010.07.01
담, 혹은 벽  (17) 2010.01.04
재미삼아 작성해 본 편견타파 릴레이... 묶어둔다.  (0) 2009.06.29
집에서의 단상 (곤충과의 동거)  (8) 2009.04.26
포스코 (POSCO)의 밤풍경  (3) 2009.02.03
Flower




어느 곳에 뿌리를 내리든 상관하지 않는다.
그저 환한 웃음으로 피어날 뿐이다.
꽃이라는 이름으로...








천일홍(千日紅),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은 7~10월에 피고, 보라색, 붉은색, 연한홍색, 흰색 등이며
건질(乾質)의 소포가 있다.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으므로 천일홍이라 부른다.








콕 찌르면 선혈로 뚝뚝 떨어져 내릴 것만 같은...








맑은 공기, 쏟아지는 햇빛,
그 청명함과 찬란함으로 찌든 얼굴을 씻어 내리다.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상록관목이며, 관상용으로 심는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멕시코의 야생화로, '불의 꽃', '크리스마스꽃', '성스러운 밤의 꽃'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데,
홍성목(紅星木)이라고도 한다.
포인세티아란 과거의 속명으로 1830년 이 꽃을 미국으로 가져가 널리 알린
조엘 로버츠 포인세트(Joel Roberts Painsett) 박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

감탕나무과의 상록관목인 호랑가시나무와 함께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는 관엽식물이기에
흔히 겨울꽃으로 생각하게 되는데, 실제로는 멕시코 원산의 열대성 식물이다.
15~25℃에서 잘 자라며, 15℃이하의 저온에서는 생육이 늦어지거나 정지되기도 한다.








성탄절에 가정과 교회에서 포인세티아로 장식하는 풍습은
멕시코의 한 마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매년 이 마을에서는 크리스마스 이브가 되면 예수탄생을 기리는 연극을 하곤 했는데,
이때 무대 앞에 선물을 가져다 놓는 풍습이 있었다.
그러나 집안이 너무나 가난하여 선물을 마련하지 못한 한 어린 소년이,
내리는 눈 위에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하였는데,
소년이 기도했던 그 자리에 붉은 잎이 달린 아름다운 나무 한 그루가 자라났다.
소년은 그 나무를 교회로 가져다가 아기 예수께 선물로 드렸으며,
멕시코인들은 이 아름다운 나무를 베들레헴의 별을 닮은 것으로 여겨,
'성스러운 밤의 꽃'이라 불렀다고 한다.


얼마전에, 우리나라 농촌진흥원이 포인세티아 품종을 개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밝은 적색의 '레드벨'과 '롤리팝'. 그리고 국내에서는 보기드문
복숭아 색을 띤 '피치보울' 등 30여 종에 이른다고 하는데,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는 대부분이 미국과 독일회사가 개발한 품종인 관계로
이로서 로열티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Fl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 36  (18) 2010.06.14
꽃 - 35 (봄꽃...)  (16) 2010.05.10
꽃 - 33 (국화)  (20) 2009.12.10
꽃 - 32  (11) 2009.11.06
꽃 - 31  (12) 2009.09.28
Natural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인 장구밥나무의 열매.
열매는 둥글거나 장구 모양의 장과(漿果)로서 지름이 6~12mm이고,
노란색이거나 노랑빛을 띤 붉은색이며 10월에 익는다.
종자는 1~4개 들어 있다. 열매를 식용하고 관상수로 심는다.








층층나무과 산수유나무의 열매.
타원형의 핵과(核果)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그리고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마지막 잎새런가.
모두가 떠나버린 자리를 홀로 지키고 있는 외로운 감 하나.
이 마저 자취를 감춰 버리고나면, 이 곳은 한없는 적막속으로 빠져들 것만 같다.








그나마, 아직은 의지할 누군가가 있어 행복해 보이는...








흔히 플라타너스라고 부르는 장미목 버즘나무과의 양버즘나무의 열매.
버즘나무는 잎이 5~7개로 갈라지나 양버즘나무는 3~5개로 깊게 갈라져 구별되며,
서양에서 건너와 양버즘나무로 불린다.
솜털을 단 씨앗은 무척이나 가벼우며, 솜털이 흡수한 수분은 씨앗이 발아하는데 기여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인 아그배나무의 열매.     
열매는 이과로서 둥글고,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붉은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타원모양이다.








장미과의 낙엽관목인 아로니아로 보이는...                                
더디게 자라며, 열매는 8월에 익는데 밝은 붉은색 열매가 겨울까지 간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약용하며 식용 색소의 원료로 쓰기도 한다.  








식물에게 있어 가지나 잎, 혹은 열매가 병이 들거나 성숙하게 되면,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양분들을 살아있는 다른 조직으로 이전시킨다고 한다.
그리고 난 이후 하나씩 기능을 잃게 되어 끝내는 바닥에 떨어져 부패하게 된다.
어떻게 보면, 그것은 척박한 겨울을 이겨내야 하는 자신의 몸 일부에 대한 자기 희생이요,
아낌없이 모든 것을 주고 떠나는 아름다운 모습으로 비치기도 한다.
그렇게 생각하니, 바닥에 뒹구는 낙엽 하나 하나가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열매라고 모두가 이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 누구의 손길도 완강히 거부하는 듯한,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무환자나무목
나도밤나무과의 낙엽교목인 마로니에의 열매.
서양칠엽수라고도 하며, 열매는 8월에 맺으며 공모양으로 겉에 가시가 있다.
종자는 보통 1개, 때로는 2~3개 있으며, 독이 있어 식용할 수 없다.



참고/ 네이버(테마)백과사전



'Na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그 풍성함을 위하여  (19) 2010.09.20
봄의 예감  (17) 2010.03.15
결실 - 10  (21) 2009.12.14
결실 - 9  (16) 2009.11.23
결실 - 8  (15) 2009.10.22
Natural




무성하던 나뭇잎이 떨어져 내리자, 그 속으로 숨어들었던 열매들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났다.
수줍은 듯 맨몸으로 찬바람과 마주한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그런 가운데서도, 어디에선가 터전을 잡고 다시 새싹을 틔워야만 하는
열매로서의 본능 때문일까,
잔뜩 농익은 색깔로 지나가는 새들을 유혹, 스스로 먹이를 자청해 보기도 한다.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이팝나무의 열매.
핵과로서 타원형이고 검은 보라색이며, 10~11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감탕나무과의 낙엽관목인 낙상홍의 열매로 보인다.
지름이 5mm정도로 둥글고 붉게 익는데, 잎이 떨어진 다음에도
다닥다닥 붙어 있어 낙상홍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미 새들의 먹이가 되어 버렸는지, 듬성듬성 몇 개의 열매만 남아있다.








선택되지 못한 열매는 생명력을 잃으며 점차 사그라져 간다.
개량품종에는 열매가 백색 또는 황색인 것도 있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 소교목인 참빗살나무.
열매는 거꾸로 선 삼각형 모양의 심장형이며, 4개의 능선이 있다.
홍색으로 익으며, 4개로 갈라져서 주홍색 종자 껍질이 나타난다.








마치 감나무에 매달린 감인 양, 태연스럽게 흉내내고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크기가 작다. 그래서 이름도 애기감나무라고 하는가 보다.  
아닌게 아니라, 감나무속 감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따뜻한 지방의 나무이면서도 추위에 잘 견디며 적응한다.
열매는 황색계통과 적색계통이 있으며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모양은 타원형, 둥근형, 길쭉한 형태 등으로 다양하다.








중국원산으로, 분재용으로 많이 키우기도 하는데,
감보다 크기가 1/3정도 작고 10월에 주황색으로 익는다.
중국명으로는 노아시(老鴉枾)라고 한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등



'Na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의 예감  (17) 2010.03.15
결실 - 11  (12) 2009.12.17
결실 - 9  (16) 2009.11.23
결실 - 8  (15) 2009.10.22
자연, 그리고... 물  (23) 2009.10.15
Flower




길을 가다가 어떤 분이 주머니에서 뭔가를 끄집어 내더니,
그것을 코에다 대고 한참이나 서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뭔가 싶어 가까이 가보니, 작고 노란 국화꽃송이였다.
향기가 좋다며 건네준 것 중 하나를 코에 살짝 대어보니, 
화사하면서도 달콤한 향기가 순간적으로 온 몸으로 파고 들어왔다. 
머리를 맑게 해준다는 국화꽃... 그대로 인 것 같았다.
많은 들꽃 중에서도 감국은 향기가 유난히 뛰어나다고 한다.
위 사진은 감국과 그냥 닮기만한...








늦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꽃이라 할 수 있는 국화(菊花).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야생 국화속으로...
산국(山菊)은 들국화의 한 종류로 개국화라고도 하는데, 9~10월에 노란색의 꽃으로 핀다.

감국(甘菊)은 산과 들, 해안가에서 자라며, 봄에 묵은 뿌리에서 싹이 올라와
60~80cm까지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크게 다섯 갈래로 길게 갈라지고
줄기 끝에 9~11월경 노란색의 꽃이 핀다.
산국과 비슷하나 꽃이 좀 커서 지름이 2.5cm 정도이며,
국화 가운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는 종이 바로 이 감국이다.

뇌향국화는 양지바른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 40~80cm이고 잎에서 향기가 난다.
산구절초는 산과 들에서 자라며 높이 10~60cm이다. 꽃은 보통 흰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갯국화는 바닷가에서 자라며 높이 30~40cm이고 10~11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국화는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데,
특히 감국으로는 술을 담그거나 꽃잎을 말려서 국화차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두통, 감기는 물론, 시력이 좋지 못할 때, 거친 피부에 좋다고 하며 
숙면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베개 속에 넣기도 한다.








국화는 가을에 서리를 이기고 피어나기 때문에
불굴, 절개를 상징한다.








전 세계에 200여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감국, 뇌향국화, 산국,
산구절초, 수국, 울릉국화 등 야생종이 10여종이 있다.








흙담 아래로 부터 피어 오르는 
두런두런 이야기꽃.








아무래도, 인공적으로 꾸며놓은 꽃보다는
인적드문 길가에 함초롬히 피어있는 꽃이 더 정감이 간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설령 아무도 눈길을 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냥 그대로 피어있을 뿐이다.
그것이 바로 꽃이란 것이다.


관련/ 2009/11/06 - [Flower] - 꽃 -10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Fl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 35 (봄꽃...)  (16) 2010.05.10
꽃 - 34  (11) 2009.12.21
꽃 - 32  (11) 2009.11.06
꽃 - 31  (12) 2009.09.28
꽃 - 30  (17) 2009.09.17
Landscape





감나무에 매달린 감은 또 하나의 단풍이다.
붉게 타들어 가는 것이 산 속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그리고 화려한 꽃이기도 하다.
가지 가득 함박웃음을 흘리고 있는...








이러한 감이 있었기에 지난 가을은 여전히 풍요로운 기억으로 남아있다.
이렇듯 고운 색깔의 단풍잎 하나 제대로 대하지 못하고,
그냥 보내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 때문일까.
지난 가을에 대한 기억은 감이 전부라 할 만큼 크게 다가오는 것 같다.

 






무거운 가지를 잔뜩 늘어뜨려 인간의 손길을 유혹하는...
발길이 서성거려진다.
그대로 지나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 같다.








굳이 풍성함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그 자체가 이미...








풍경에 감나무가 더해지면 정겨움도 더해진다.
감나무는 가까이 머물러 우리와 함께 해 온 친근한 존재이기도 하다.








집을 지키는 수호신 마냥,
집 한 켠으로 불쑥 고개를 내민 감나무 한 그루씩은 어디서나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던,
우리네 주위의 따뜻한 풍경 중 하나이기도 했다.








                              금방이라도 쏟아져 내릴 듯한...
                              우뚝 서 있는 그 자체만으로 충분히 멋스럽다. 








화려하게 쏘아 올린 가을을 위한 축포,
아니면, 가지마다 가득 내걸린 환한 등불.
비록 눈부신 대낮일지라도...








조용하면서도 요란하게, 절정으로 치닫는다.
비록 차갑게 식어가는 대지이지만, 
붉게 익은 감이 머물러 있는 한, 온기는 언제까지나 계속되어질 것이다.


가을 과일 중에서 가장 비타민이 많고, 익을수록 맛과 영양이 달라진다는 감.
종류는 단감(9월말~ 10월중순 출하), 홍시(10월중순~11월초순 출하),
곶감(12월~2월 출하)으로 나뉘어지는데,
단감의 경우 비타민A가 홍시에 비해서 약 3배 정도 많고,
홍시의 경우에는 비타민C가 단감에 비해서 약 5배 수준으로 많이 들어 있다고 한다.
그 중에서 가장 영양이 높은 것은 곶감으로,
홍시나 단감보다 영양성분이 3~4배나 높다고 한다. (출처/SBS NeTV)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안개  (22) 2010.01.14
지난 초겨울을 회상하며...  (0) 2010.01.04
가을의 뒤안길에서  (14) 2009.11.26
겨울예감  (26) 2009.11.16
감나무  (30) 2009.10.12
Travel




"청량산 육육봉(六六峰)을 아는 이 나와 백구(白鷗)
백구야 훤사(喧辭)하랴 못 믿을 손 도화(桃花)로다.
도화야 뜨지 마라 어주자
(魚舟子)알까 하노라"

☞ 훤사하랴: 야단스러우랴, 떠들어 소문내랴.
☞ 어주자: 배타고 고기잡는 사람, 어부.

말년에 '청량산인'이라는 호를 짓고, 아예 이 곳 산중턱 오산당(吾山堂)에서 지내면서
글을 읽으며 후학을 가르치기도 했던 퇴계 이황.
무릉도원같은 청량산을 아끼는 마음을 그는 그렇게 노래했다.

또한, 청량산을 일러 '입을 벌리고 들어갔다가 입을 다물고 나오는 산'이라고도 한다는데,
수려한 경관에 놀라 입을 벌리고 들어갔다가, 나올 때에는 그 비경이 세상에 알려질까 두려워서
입을 꾹 다물어 버린다고 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에 위치한 청량산의 가파른 길을
잠시 오르다 보면 만나게 되는 청량사(淸凉寺).
중앙에 보이는 건물은 강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심검당(尋劍堂)으로,
일반인들의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수행공간이다.
이 곳 좌측으로는 유리보전과 5층석탑이 위치해 있다.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때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창건당시에는 승당 등 33개의 부속건물을 갖추었던 대사찰로, 봉우리마다 자리잡은
암자에서 흘러 나오는 스님들의 독경소리가 청량산을 가득 메웠다고 한다.
또한 한 때는 신라의 고찰인 연대사(蓮臺寺)와 망선암(望仙庵) 등 크고 작은 26개의
암자가 있어서 당시 신라불교의 요람을 형성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 불교를 억압하는 주자학자들에 의해 절은 피폐하게 되어,
현재는 청량사와 부속건물인 응진전만이 남아있다.








청량사의 대웅전으로, 약사여래불을 모시고 있는 유리보전(琉璃寶殿),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이며, 현판글씨는 공민왕의 친필이다.
이 곳에 모셔진 약사여래불은 특이하게도 종이를 녹여서 만든 지불이라고 한다.

유리보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八作)지붕을 한 다포계(多包系)의 집이다.
공포는 외1출목(外一出目) 내2출목의 형식으로 첨차의 짜임이 고졸(古拙)하고
쇠서의 내부 끝은 연화형(蓮花形) 조각을 새기고 있으며, 전면 중간기둥 위에는 용두(龍頭)와
용미(龍尾)를 주두(柱枓) 밑에 내외로 뻗게 하고 있어 조선 후기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유리보전의 바로 앞쪽에 위치한 5층석탑.
1990년에 세워졌으며, 부처님의 진신사리 5과가 모셔져 있다고 한다.
보지는 못했지만, 영화 '워낭소리'에서 노부부가 죽은 소의 극락왕생을 비는 장면이
이 곳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앞에 보이는 2층의 누각은 범종각으로, 법고, 운판, 목어 등이 모셔져 있다.
                              그 위쪽으로 5층석탑과 유리보전이 보인다. 








전통차를 무료로 제공하며, 여행자의 쉼터 역할을 하는 산꾼의 집.
청량사 동쪽 바로 아래쪽에 자리잡고 있다.








산꾼의 집 옆길을 따라 오르면 나오는 어풍대,
그 위에서 바라 본 청량사의 전경이다.
맨 아래 건물은 사찰내의 전통 다원(茶園)이자 '바람이 소리를 만나면'이라 불리워지는 안심당이다.








어풍대(御風臺)에서 바라 본 청량사의 수려한 모습.
연화봉이 좌측으로 높이 솟아있는 가운데, 청량산이 포근히 품고있는 형상이다.

금탑봉(金塔峰)의 중층(中層)에 위치하고 있는 어풍대는
내청량과 외청량을 연결하는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청량지(淸凉誌)'의 기록에 따르면, 열어구(列御寇, 고대 중국의 인물)가 바람을 타고
보름동안 놀다가 돌아갔다고 하여 어풍대로 불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 곳 금탑봉 중층에는 어풍대와 함께 치원대(致遠臺), 풍혈대(風穴臺), 요초대(瑤草臺), 
                              경유대(景遊臺) 등이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 대에서는 기암절벽으로 장관을 이루고 있는 
                              청량산의 연화봉 기슭 한가운데, 연꽃 같은 봉우리와 연꽃 꽃술 자리에 자리잡은 듯한 
                              청량사의 모습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청량산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듯, 규모만으로는 여느 산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산행은 축융봉에서 청량산을 조망하고 
                              청량사를 둘러 보는데서 만족하기로 했다.
                              언젠가 머지 않은 장래에 또 다시 찾게 될 것으로 믿으며...



참고/ 청량산도립공원  홈페이지, 현장 안내판. 청량사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하회마을  (22) 2010.01.22
속리산 법주사  (18) 2010.01.19
축융봉에서 바라본 봉화 청량산  (10) 2009.11.30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양동마을  (14) 2009.11.01
Travel





                              지난 11월초, 지나가는 가을의 뒷 꽁무니라도 잡아 볼 양으로 서둘러 나섰던 봉화 청량산.
                              언젠가 꼭 한번은 가 보리라 생각하여 마음속에 담아 놓고만 있던 곳이다.
                              청량사를 찾기 전에 먼저 청량산을 한 눈에 담을 수 있다는 축융봉(祝融峰)으로 발걸음을 옮기니,
                              산성 입구의 표지판이 정상까지가 2km로 1시간 10분여가 소요됨을 알린다.  
                              언덕길로 처음 한 구비를 돌아들면 바로 최단거리 코스인 산성길이 나오는데,
                              그 성곽을 따라 오르면서 밟게되는 계단이다.








얼마간 오르다 보면 만나게 되는 밀성대(密城臺).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청량산으로 와서 산성을 쌓고 군사들을 훈련시킬 때,
명령을 어긴 죄인을 절벽 끝에서 밀어 처형했다는 전설이 깃든 곳이다.
그 자리에는 세워진지 얼마되지 않아보이는 전망대가 계단이 통제된 채로 서 있다.








                              산성 또는 계단... 오르는 길은 깨끗하게 정비된 상태라 그 어느 쪽이라도 좋다.
                              당시 정상부위에서는 산성의 복원작업이 한창이었다.








해발 845.2m의 축융봉 정상에 다다르자, 구름 많은 날씨인데다가
바람길이 트였는지 갑자기 차가운 바람까지 불어와 몸이 저절로 움츠려든다.
우측에 보이는 망원경으로 반대편을 바라보면,
불쑥블쑥 솟아오른 청량산의 여러 암봉과 하늘다리가 잡힐 듯 다가온다.








청량산은 주왕산, 월출산과 함께 한국의 3대 기악으로 불리우며, 12개의 암봉을 가지고 있다. 
축융봉도 청량산의 여러 봉우리 중의 하나이기에,
이 곳에서는 맞은편의 나머지 11개의 봉우리가 한 눈에 들어온다.
단풍은 이미 잔해만 남아있는 상태여서 영락없는 초겨울의 풍경 그대로이다.

 








아침의 따뜻한 햇빛을 그대로 받고 있는 응진전,
그리고 아직 채 걷히지 않은 짙은 그림자 속으로 숨죽이듯 몸을 숨기고 있는 청량사가
그 안쪽으로 살며시 들여다 보인다.








각각의 이름을 가진,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여러 봉우리가 서로 몸을 기대고 있는 가운데,
좌측으로는 두 개의 봉우리 사이를 이어주는 하늘다리가 길게 걸쳐져 있다.








                              이른 시간이어서인지 사람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물론, 이 쪽도 마찬가지이다.
                              청량산의 하늘다리는 해발 800m지점의 왼쪽의 선학봉과 오른쪽의 자란봉을 연결하는 
                              길이 90m, 바닥폭 1.2m의 현수교로, 2008년 5월에 완공 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산악지대에 설치된 다리로서는 가장 길고 가장 높아 청량산의 또 다른 명물이 되고 있다.
                              340kg/㎡의 통과 하중에 최대 100여명이 동시에 지나갈 수 있는 규모로,
                              올해에는 다리난간 중앙부분의 바닥재를 강화유리판으로 교체하여, 
                              계곡아래를 훤히 내려다 볼 수도 있다.








시간이 지나자 내청량사의 얼굴이 그대로 드러난다.
오른쪽으로는 외청량사인 응진전이 금탑봉의 난간에 아슬하게 걸려있는 형국이다.
암벽이 3개의 층을 이룬 금탑봉은 청량산을 대표하는 봉우리이기도 하지만,
유달리 노란색잎을 가진 생강나무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풍경과 이름에서 공통점이 느껴지기도 한다.








                              마치 바벨탑을 연상케 하는 모습의 금탑봉...
                              그 위에 얹혀진 응진전을 지나 왼쪽 절벽으로 굽이 돌게되면, 
                              청량사의 모습이 한 눈에 조망되는 어풍대를 만나게 된다.



                              참고/ 네이버테마백과사전. 청량산도립공원 홈페이지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리산 법주사  (18) 2010.01.19
봉화 청량산 청량사  (12) 2009.12.03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양동마을  (14) 2009.11.01
독락당(獨樂堂)  (20) 2009.10.29
Landscape




분주함으로 가득하던,
그러나 이제는 고요함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한...








저마다의 현란한 색으로 눈을 어지럽힌다.
시선을 끌기위한 몸짓은 숨죽여 바스락거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크나 큰 아우성으로 들려올 것만 같고...








이미 겨울로 몰입한, 그러나 한 편으로는 
여전히 가을의 기억을 떨쳐버리지 못한 채 방황하고 있는...
공존하는 계절의 그 교차로에 서다. 








혼자가 아닌,
함께라서 더 따뜻하게 느껴지는 이 길...








                              떠나가는 가을과, 
                              또 다시 맞이하게 될 겨울의 막다른 길목에서 
                              누군가의 삶도 함께 익어가고 있다.








                              전염병처럼 번져 나가는, 그러나 이제는 그 막바지...
                              뒤늦은 가을의 열병을 앓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치유가 될 터이지만...








푸른 하늘을 머리에 이고 서 있는 가을.
구름에게 가야 할 길을 묻다.








아직 얼굴도 제대로 보지도 못했는데,
어느새 보이고 있는 가을의 뒷 모습...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초겨울을 회상하며...  (0) 2010.01.04
감나무, 지난 가을을 추억하며...  (18) 2009.12.07
겨울예감  (26) 2009.11.16
감나무  (30) 2009.10.12
바다  (21) 2009.08.30
Natural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낙엽교목인 황벽나무의 열매로 추정.
산지에서 자라며 나무껍질에 연한 회색으로 코르크가 발달하여 홈이진다.
꽃은 6월에 피고, 열매는 5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 핵과로
7~10월에 둥글고 검게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황벽(黃蘗)이란 이름은 황색인 내피에서 생긴 이름이다.








박과의 1년생 재배식물인 호리병박.








꽃사과나무와 야광나무 그리고 아그배나무 등은 모두 장미과로
서로 비슷하여 혼동이 되지만 열매는 다르다.
꽃사과나무는 꽃받침이 남아 있지만 야광나무는 꽃받침이 없이 매끈하다.
잎은 야광나무가 보다 작고 매끈하며 갈라지지 않으며 
가장자리에 잔 거치가 있는데 비해 꽃사과나무는 크며 거치른 느낌이 난다.
또한 아그배나무는 잎의 거치가 야광나무보다 크며, 때로는 3~5개로 크게 갈라진다.
(그러나 항상 갈라지는 것은 아니다)...

꽃사과나무로 보이기는 하지만...








일반 감나무와 섞여 있던, 그냥 보기엔 감으로 보이지만
그보다는 열매가 확연히 작고 덩어리로 매달려 있던...
그렇다고 고욤보다는 훨씬 큰 녀석들.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인 모과,
익으면 노란색으로 단단해지며, 신맛이 강하나 독특한 향기가 난다.








한약재로 이용되어 골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풍과 습을 없애고 가래를 삭히며,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하고
피를 보충해 주며 소화가 잘 되게 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 식물의 총칭인 피라칸타.
유럽 남쪽에서 중국 서남부에 걸쳐 6종이 자란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5~6mm로
9~10월에 등황색으로 익으나 붉은 색이 도는 것도 있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Na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실 - 11  (12) 2009.12.17
결실 - 10  (21) 2009.12.14
결실 - 8  (15) 2009.10.22
자연, 그리고... 물  (23) 2009.10.15
이 가을에...  (24) 2009.10.02
Travel





1994년에 새로 건립된 운문사의 주법당인 대웅전.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에 위치한 이 운문사(雲門寺)는
신라 진흥왕 21년(서기560년) 초창(初創)되어 대작갑사(大鵲岬寺)라 하였는데,
제1차 중수(重修)는 진평왕 때 원광국사(圓光國師)가,
제2차는 신라말에 보양국사(寶讓國師)가 하였다.
고려 태조는 동왕(同王) 20년(서기937)에 많은 전지(田地)를 내리고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賜額)하면서 운문사(雲門寺)라 불리어 오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숙종(서기1105) 때 원응국사(圓應國師)가 3차 중수를 하였으며,
고려 고종(서기1250) 때 일연선사(一然禪師)가 주지(住持)로 주석(住錫)하였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여러 차례의 중수가 있었고, 1958년에 비구니(比丘尼) 전문학원을
개설한 이래 한국의 대표적인 승가대학(僧伽大學)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보물 제835호로 지정된, 비로전(大雄寶殿, 毘盧殿).
1105년(고려 숙종10년)에 원응국사가 건립하였다고 전하며,
발견된 상량문의 기록으로 보아 1653년(조선 효종4년)에 중창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대웅보전을 짓기 전, 운문사 신앙공간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으며,
'대웅보전'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으나 통칭하여 비로전이라고 부른다.
이는 문화재청 등록 당시 '운문사 대웅보전'으로 등재되었기 때문에 옛 현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앞 쪽에 동과 서로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인데 규모와 양식이 서로 같다.
기단부분이 많이 손상되어 있던 것을 일제시대 때 일부 보수했으며, 높이는 5.4m로 보물 제678호이다.









                              이 비로전 내에는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을 모셨으며, 
                              좌측에는 신중탱화, 우측에는 삼장탱화를 봉안하였다.









만세루(萬歲樓).
신라 원광국사가 초창하여 고려의 보양국사가 중창하였으며,
지금의 건물은 1105년 원응국사가 3차 중창할 때의 것이다.









이 건물은 큰 법회시에 대웅전에 들어가지 못한 대중들이
대웅전을 향하여 법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200여 평의 넓은 공간을 누각으로 조성하였다.









오백전(五百殿).
주불로 석가모니불과 좌보처 제화갈라보살, 우보처 미륵보살과 오백나한상을 모신 전각이다.
나한이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응공(應供)이라고도 하는데,
부처님과 같이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이른 사람으로, 인간이 가진 욕망의 사슬과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나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경지에 이른 수행자를 말한다.









운문사의 역사를 엿볼 수 있는 3기의 비석 중 중간에 위치한
보물 제316호인 원응국사비(圓應國師碑).
이 비는 고려 인종 때 건립된 것으로, 운문사의 3대 중창주인 고려 원응국사의
행적이 새겨져 있다. 높이는 230cm이며, 폭은 91cm이다.
다른 두 개의 비는 운문사의 또 다른 중창주인 설송대사비(雪松大師碑)와,
만세루와 대웅전을 중수한 사실을 기념하여 세운 운문사 중수(重修)기념비이다.









                              말끔한 운문사의 경내에서 북대암을 향해서 바라다 본 모습.








운문사 북쪽으로는 운문산성(일명 지룡산성) 바로 아래에 세워진
북대암이 올려다 보인다.
북대암은 운문산에서 최초로 세워졌으며, 운문사에 소속된 산내암자이다.









천연기념물 제180호로 지정된 운문사의 처진 소나무(盤松)는
주변의 인공적인 압력 없이도 늘어져서 넓게 자라는 나무로 유명하다.
이 소나무는 어느 선사가 이 곳을 지나다가 시들어진 나뭇가지를 꽂아둔 것이
뿌리를 내렸다고 전해지고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인 삼짇날에는 막걸리 12말을 희석하여 영양제로 부어준다.
높이는 약 6m이고, 가슴높이의 줄기 둘레가 2.9m이며, 수령은 450~500년 정도로 추정된다.









                              고즈넉한 늦은 오후의 햇빛이 머물고 있는 운문사 입구의 소나무 숲길.

                              소개된 외에도 운문사 경내(境內)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들이 있다.
                              석등(石燈, 보물 제193호), 사천왕석주(四天王石柱, 보물 제318호), 청동호(靑銅壺, 보물 제193호),
                              석가여래좌상(釋迦如來坐像, 보물 제317호).



                              참고/ 운문사 홈페이지, 현장 안내문.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청량산 청량사  (12) 2009.12.03
축융봉에서 바라본 봉화 청량산  (10) 2009.11.30
양동마을  (14) 2009.11.01
독락당(獨樂堂)  (20) 2009.10.29
옥산서원(玉山書院)  (16) 2009.10.26
Landscape




이미 변화는 시작되었다.
훈훈하게 불어주던 바람도, 따뜻하게 몸을 덥혀주던 연못의 물도,
이제는 차갑게 식어가고 있음이 온 몸으로 감지된다.








몸은 웅크려지고, 생기 또한 점차 사그라진다.








살랑살랑 불어오던 바람도 어제의 그 바람이 아니다.
바람과 햇빛, 그리고 땅의 기운으로 부터 
이제는 새로운, 또 다른 계절을 준비해야 함을 스스로 알게 한다.








                              누구는 계속될 삶을 위해서 달고 있던 잎을 하나 둘 떨어뜨리고,
                              또 누구는 곧 짧은 생을 마감하고 이 세상과 작별해야 한다.
                              그래서 이 가을을 두고 이별의 계절이라 하는가 보다.








아쉽지만... 보내야 할 것은 미련없이 떨구어 보낸다.
그리고 동시에, 또 다시 돌아올 새 삶을 위해 차분한 준비에 들어간다.








따뜻한 햇살이 살아 숨쉬는 이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누리려는 듯  
가지에 매달린 채 안간힘을 써 본다.
그래봐야 소용이 없다는 것도 물론 알고는 있지만,
삶이란 분명 즐거운 것이 아니었던가.








비록 구석진 곳이었지만, 척박한 담벽에 의지하며 힘겹게 살아왔다. 
그러나 이제는 나고 자란 그 자리에서 
이미 준비하고 있었던 것 처럼, 조용히 순응하며 그대로 시들어 간다. 
그런 이유로, 이들에게 있어서는 이 계절이 결코 아쉽게만 느껴지는 것은 아닐 것 같다.
어쩌면 그것이 바로 행복이라는 것일지도 모르기 때문에...








언젠가는 떨어져 내릴 것이지만, 그래도 한 줌 미련이 남아서일까.
추위를 이겨내려는 듯 스스로 온 몸을 붉게 달구어 본다.
그러나 여전히 가늘게 떨려오는 몸...

이들의 간절한 몸짓을 보고서야 가을이 온 것을 알았고,
또 가을이 가고 있는 것도 알았다.
물론, 당연하게도 추운 겨울이 지나고 나면, 
이들의 삶은 또 다시 계속되어지리란 것도...




'Landsca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 지난 가을을 추억하며...  (18) 2009.12.07
가을의 뒤안길에서  (14) 2009.11.26
감나무  (30) 2009.10.12
바다  (21) 2009.08.30
대구 금호강변에서  (16) 2009.06.23
Animal





지난 여름의 어느날,
산길을 내려오던 중에 작은 기척이 느껴져 주위를 돌아보니,
마실을 나온 작은 다람쥐 한 마리가 눈에 들어온다.
작고 앙징스러운 녀석이다.









눈이 마주치는 순간 서로를 의식하게 되고, 발걸음 또한 빨라지기 시작한다.
반가운 마음에 슬며시 다가가니 슬금슬금 꽁무니를 빼기 시작한다.
달아나면 따라붙고, 그러면 또 달아나고...
그러다가 쪼르르 나뭇가지위에 오르더니 슬슬 눈치를 살피기 시작한다.
잠시동안 서로 신경전을 벌이며 대치모드로 들어간다.









잠시 후 그 곳에서 내려와 또 다른 나뭇가지에 오르더니
입 속에 저장해둔 먹이를 꺼내 맛있게 먹는 여유도 부려본다.  
그 와중에도 시선은 계속 이 쪽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먹을 것을 다 먹었는지 이내 나뭇가지를 타고 쪼르르 내려온다.
그리고는 슬쩍 한번 쳐다 보더니 그대로 바위를 넘어 어디론가로 자취를 감추고 만다.
아마도 하루종일 뛰어다니며 놀다가, 이미 해가 뉘엿해지고 있음을 알아차리고는
보금자리로의 길을 서두른 것이리라.
다람쥐는 쥐목 다람쥐과의 포유류로 낮에만 활동한다.









또 다른... 겨울의 흔적이 역력한 산길에서
등쪽으로 5줄의 검은색 줄무늬가 선명한 또 다른 다람쥐 한 마리를 만났더랬다.









앉았는지 섰는지 모를, 엉거주춤한 자세로
무언가를 두 손으로 받쳐들고 열심히 먹고있는 중이다.

다람쥐는 청서와 마찬가지로 도토리, 밤, 땅콩 등을 즐겨 먹으며, 먹이를 저장창고에 저장해 둔다.
이제 곧 추운 겨울이 되면 청서와 달리 겨울잠을 자게 되는데,
때때로 잠에서 깨어나 먹이를 먹은 후에 다시 동면에 들어가기도 하는,
일종의 가(假)수면상태가 된다고 한다.









가까이 접근을 시도하니, 잠시 동작을 멈추고 경계의 눈빛을 보인다.
역시나 귀여워 보이는 녀석이다.









접근을 멈추니 또 먹기 시작하고...
그렇게 몇 번을 반복하다가는 재미가 없었는지 그만 총총걸음으로 산 위로 올라가 버리고 말았다.

다람쥐의 번식기는 3~4월이며, 5~6월경에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참고/ 네이버테마백과사전



'Anim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 6 (참새, 딱새)  (13) 2010.03.25
새 - 5 (멧새, 노랑턱멧새, 때까치, 까치, 바위종다리)  (18) 2010.02.08
나비 - 4  (0) 2009.10.26
곤충 - 17  (18) 2009.10.09
곤충 - 16  (10) 2009.10.06
History




와룡산에서 내려다 본 용산동과 장기동 일대의 모습이다.
중간을 가로지르고 있는 도로는 구마고속도로이며,
좌측으로 보이는 야산은 두류공원이다.








두류공원 너머로 대명동을 지나 지산, 범물지구가 한 눈에 펼쳐진다.
맨 뒤쪽, 산의 능선 오른쪽 가장 높은 부분이 용지봉(628.5m)이 되겠다.








내당동 및 대명동 일대.
저 멀리로 두산위브더제니스와 수성SK리더스뷰 아파트 현장이 나란히 보인다.
아랫쪽은 서대구산업단지.








말발굽 모양의 능선 안쪽으로 들어 선 대구광역시 위생매립장.
이 산은 산세가 마치 누워있는 용의 형상과 같다고 해서 와룡산으로 불려지고 있는데,  
중간에 보이는 봉우리가 용의 머리부위에, 오른쪽 끝 부분이 용의 꼬리에 해당한다.
그리고 오른쪽 위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금호강 위로는 매천대교와 팔달교가 나란히 가로지르고 있고,
그 다리와 연결되어 세로로 이어진 도로는 신천대로와 연결된다.
또한 서대구 산업단지와 그 위쪽의 제3공업공단 사이에는 경부선 철로가,
와룡산 바로 아랫쪽으로는 구마고속도로 서대구IC가 손에 잡힐 듯 내려다 보인다.








약간 좌측으로 눈을 돌리면 숲으로 둘러싸인 달성공원도 보이고,
바로 그 너머로 대구역도 보인다.








서대구산업단지의 동쪽으로 펼쳐져 있는 건물군,
위쪽으로 치우친 부분이 대구의 중심부에 해당된다.








대구 동부의 축이라 할 만한 범어네거리 쪽으로...
마치 대구의 상징이라도 되는 양, 고개를 불쑥 내밀고 있는
저 멀리의 두산위브더제니스 아파트 외엔
외견상 특별히 기준을 삼을만한 건물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Flower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국화(菊花).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는데,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다.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 9cm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인 것을 소륜이라 하며, 꽃잎의 형태에 따라 품종을 분류하기도 한다.
재배 국화는 꽃송이의 크기에 따라서 대국(大菊), 중국(中菊), 소국(小菊)으로 나누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추국(秋菊), 동국(冬菊), 하국(夏菊)으로 나눈다. 








국화, 특히 황국(黃菊)은 신비한 영약으로 이를 달여 마시면 장수한다고 믿어 왔으며,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환갑, 진갑 등의 헌화로도 사용하였다.
또한 매화, 난초,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고고한 기품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에 비겼다.








꽃은 노란색, 흰색, 빨간색, 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다르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해바라기.
향일화(向日花), 산자연, 조일화(朝日花)라고도 한다.
종자는 20~30%의 기름을 포함하며 식용한다.
해바라기란 중국 이름인 향일규(向日葵)를 번역한 것이며,
해를 따라 도는 것으로 오인한 데서 붙여진 것이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노랑코스모스.








미국코스모스, 황화, 서양코스모스로도 불린다.
멕시코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인 맨드라미.
꽃의 모양이 수탉의 볏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계관(鷄冠), 계두(鷄頭)라고도 한다.
열대 인도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의 색은 홍색, 황색, 백색 등이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Fl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 34  (11) 2009.12.21
꽃 - 33 (국화)  (20) 2009.12.10
꽃 - 31  (12) 2009.09.28
꽃 - 30  (17) 2009.09.17
꽃 - 29  (12) 2009.08.04
Travel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위치한 양동(良洞)마을은, 경주시 북쪽 설창산에 둘러싸여 있는
경주손씨와 여강이씨 종가가 500여년 동안의 전통을 잇는 유서깊은 반촌마을이다.
1984년 12월 20일 마을 전체가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으며,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대표적 조선시대 동성취락이기도 한 이 곳은, 수 많은 당시의 상류주택을 포함하여
고색창연한 54호의 고와가(古瓦家)와 이를 에워싸고 있는 고즈넉한 110여 호의 초가로 이루어져 있는데,
양반가옥은 이 곳의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통감속편(국보283), 무첨당(보물411), 향단(보물412), 관가정(보물442),
손소영정(보물1216)을 비롯하여 서백당(중요민속자료23) 등 중요민속자료 12점과
손소선생분재기(경북유형문화재14) 등 도지정문화재 7점이 있다.








관가정(觀稼亭).
조선 성종(成宗)때 이조판서를 지낸 우재(愚齋)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이 세운 정자로
보물 제442호이다.








                              건물의 평면구조는 사랑채와 안채가 'ㅁ'자형을 이루는데, 가운데의 마당을 중심으로 
                              남쪽에는 사랑채, 나머지는 안채로 구분된다. 안채 뒤에는 맞배지붕으로 된 사당이 있다.
                              안채는 중문 맞은편에 네모기둥을 사용하여 간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사당과 누마루는 둥근 기둥을 세우고 누마루에 길게 난간을 돌려 정자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사랑채는 남자 주인이 생활하면서 손님들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대문의 왼쪽에 사랑방과 마루가 있다.
                              마루는 앞면이 트여있는 누마루로 '관가정(觀稼亭)'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마을 입구의 높은 지대에 위치하며, 주변경관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한 이 정자는 
                              사랑채의 건축형식이 돋보이며, 안채는 부엌이 안방과 다소 떨어진 우익사 맨 앞쪽에 
                              세로로 길게 자리잡고 있어 공간구성이 이채롭다.
                              보통 대문은 행랑채와 연결되지만, 이 집은 특이하게 대문이 사랑채와 연결되어 있어 
                              조선 중기의 남부지방 주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981년 보수 때 주위에 담장을 쌓고 일각대문을 내었다.








향단(香壇), 보물 제412호.

이 건물은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이 경상감사로 있을 때, 모친의 병간호를 하도록
중종(中宗)이 목재를 하사해 지은 집으로, 그의 동생인 농재(聾齋) 이언괄(李彦适)에게 주었다.
농재라는 호는 '귀먹은 듯 살아가라'는 현인의 가르침을 따른 것으로,
그는 형인 회재 이언적을 대신하여 벼슬을 마다하고 나이든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이 건물은 마을 전체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위치와 모습에서 상류주택의 
                              일반적 격식에서 조금 벗어난 면도 가지고 있으며,
                              주생활(住生活)의 합리화를 도모한 우수한 건물이다.








또한, 두 곳에 뜰을 두고 안채, 사랑채, 행랑채를 붙여 전체가 '興)자 모양을 이루어
독특한 평면형태를 구성하고 있으며, 사가(私家)로서
건물 전체에 둥근 기둥을 사용하여 상류층 주택의 격식을 갖추었다.
원래 99칸이었다고 전하나, 일부는 불타 없어지고 현재 50여칸이 보존되어 있다.








                              향단은 경사지를 두 개의 단으로 나누어 터를 닦았다.
                              윗단에는 사랑채와 안채 등 몸채를 배치하고, 한 층 밑에 조성한 아랫단에는 긴 행랑채를 
                              배열하였으며, 평면만큼이나 복잡한 동선을 가지고 있기도 한데, 
                              하인들은 행랑채 문간이나 부엌 행랑을 통해서만 드나들도록 되어 있어
                              같은 집에 있으면서도 주인과 부딪히는 일이 없다.








중요민속자료 제81호인 심수정(心水亭)
이 정자는 농재(聾齋) 이언괄(李彦适)을 추모하여 조선 명종(明宗) 15년(1560년)경에
여강이씨(驪江李氏) 문중에 의해 지어졌다.








                              양동마을에는 여러 정자가 있지만 규모가 가장 크며, 맞은편 북촌에 자리잡은 
                              향단(香壇)에 딸린 정자로서, 철종(哲宗)때에 이 정자가 불타고 1917년경에 다시 지었다고 한다.

                              7칸 대청으로 동쪽과 서쪽에 각각 온돌방을 둔 팔작집으로,
                              서쪽 방 옆으로는 난간이 있는 누마루를 두어 향단이 있는 북촌 일대를 바라보기 좋게 하였다.
                              누마루 아래의 기둥은 팔각으로 하였다.
                              큰 규모의 정자에 필요한 칸 수와 기능을 고루 배려하여 잘 짜여진 구조로,
                              이 정자에 딸린 행랑채는 격식있는 소규모의 가옥으로 건실하게 구성되었다.








                              한적한 오솔길의 나무숲 사이로 내려다 보이는 양동마을.

                              이 양동마을은 현재 안동 하회마을과 더불어 세계문화유산등재가 추진되고 있으며,
                              이미 지난 2009년 9월 1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실사단에 의해 실사에 들어간 바 있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융봉에서 바라본 봉화 청량산  (10) 2009.11.30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독락당(獨樂堂)  (20) 2009.10.29
옥산서원(玉山書院)  (16) 2009.10.26
소매물도 -3  (17) 2009.08.24
Travel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회재 이언적의 제사를 받드는 옥산서원의
뒤편에 위치해 있는 독락당의 솟을대문.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獨樂堂)은 회재 이언적(1491~1553)이
1532년 벼슬에서 물러난 후 만든 서재로, 이곳에서 6년간 학문에 전념했다.
조선 중종27년에 세워졌으며, 일명 옥산정사(玉山精舍)라고도 불리운다.
경내에는 사묘(祠廟), 어서각(御書閣), 양진암(養眞菴) 등이 있으며
계정(溪亭)은 그가 기거하던 사저(私邸)이다.

독락당은 낮은 기단 위에 세워진 정면 4칸, 측면 2칸의 건물로,
옆면에서 볼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八作)지붕으로 되어 있다. 
집을 향해 오른쪽 3칸은 넓은 마루인데 앞을 모두 터 놓았으며,
왼쪽 1칸만 칸을 막아 온돌방으로 만들어 놓았다.
기둥은 둥근기둥을 세우고, 대청 천장은 뼈대가 모두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행랑채인 경청재(敬淸齋).
이 고택은 1601년 (선조34년) 3월 12일, 회재 이언적 선생의 손자 휘(諱), 

준(浚)과 순(淳) 두 형제가 옥산별업(玉山別業)을 봉수(奉守)하기 위해 

화의문(和議文)을 작성하면서 세운 집이다.
선생은 1538년(중종33년) 3월에 청백리(淸白吏)에 가자(加資)되었다.
청백은 공경지심(恭敬之心)에서 나온다 하여, 후손들이 본 집을 

경청재(敬淸齋)라 이름하였다.







                              화의문약설(和議文略說)
                              계정과 독락당은 우리 선조고(先祖考) 문원공(文元公) 회재선생의 별서이고,
                              이 외 유택(遺澤)에는 우리 부모(휘:전인, 호:잠계)의 혈성이 가득하다.
                              당우와 담장을 수호하기 위해 우리 형제가 약간의 토지(土地)를 출헌하였다.
                              후손들 가운데 혹 궁벽하여 토지에 대해 다투는 일이 있으면 불효로써 논단할 것이다.







                              독락당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길, 계류로 연결되어 있다.
                              사방이 높은 담으로 가로막혀 있어 안쪽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인데,
                              외부와 담을 쌓았다는 표현 그대로, 폐쇄적이고 은둔적인 느낌이다.







독락당 옆쪽 담장에는 좁은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창이 보인다. 
이는 아주 특별한 공간구성으로,
이 곳을 통해 대청에서도 앞 계곡의 냇물을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정작 담장 안쪽으로는 그의 후손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이어서인지
이 곳의 핵심인 독락당은 개방이 되어있지 않았다..
좌측 담장안으로 보이는 집이 바로 그 독락당으로,
그저 밖에서 바라보는 것 만으로 만족해야 했다.







별당으로 지어진 계정(溪亭), 대문외에 유일하게 밖으로 난 공간이다.
세상에게는 폐쇄적이지만, 자연과는 융화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의도가 그대로 드러나는 모습이다.







                              이언적 선생은 이곳 계곡 몇 군데에도 이름을 붙였는데, 
                              계정을 받치고 있는 반석인 관어대(觀魚臺)를 비롯하여, 
                              탁영대(濯纓臺, 갓끈을 풀고 땀을 식힌다는 의미), 
                              영귀대(詠歸臺, 목욕하고 노래를 부른다는 의미), 
                              징심대(澄心臺, 마음을 평정한다는 의미), 
                              세심대(洗心臺, 잡념을 버린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계류, 서원쪽으로 석축을 다시 쌓기 이전인 지난 어느날,
겨울의 끝자락에서 이제 막 오기 시작한 봄과의 갈림길에 서 있는 계정의 모습이다.

이언적의 생가는 양동이지만, 현재 그의 종가는 처가가 있던 옥산의 독락당에 있다.
그의 부친은 양동의 월성손씨에게 장가들면서 고향인 영일을 떠나 양동으로 거주지를 옮기고,
그의 아들 이언적이 장가를 들며 양동에서 다시 옥산으로 옮겨 온 것이다.

이 서재는 회재 선생의 나이 42세 때, 당시의 권세가인 '김안로'의 재등용을 반대하여
그 여파로 파직을 당하고 난 후 지어졌다는 것과, 독락당이라는 당호,
그리고 폐쇄적인 건축구조 등은 당시의 그의 심정이 드러나 보이는 단초가 되는 듯 하다.


■ 회재의 시 '독락(獨樂)'

이군수여공음단(離群誰與共吟壇)
암조계어관아안(巖鳥溪魚慣我顔)
욕식개중기절처(欲識箇中奇絶處)
자규성리월규산(子規聲裏月窺山)

무리를 떠나 누구와 더불어 여기서 노래할까
바위에 앉은 새 물 속의 고기들 내 얼굴을 보는 일이 익숙해졌네
세상에서 가장 빼어난 곳이 어디인지 알고 싶은지
두견새 소리 들릴 때 달이 산을 빼꼼히 들여다 보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운문사  (20) 2009.11.19
양동마을  (14) 2009.11.01
옥산서원(玉山書院)  (16) 2009.10.26
소매물도 -3  (17) 2009.08.24
소매물도 -2  (14) 2009.08.21
Animal




나비목 부전나비과의 곤충인 남방부전나비.








나비목 팔랑나비과의 멧팔랑나비.








나비목 흰나비과로, 생활력이 매우 강하다는 노랑나비.








나비목 네발나비과의 굴뚝나비.
영락없이 굴뚝에서 막 나온듯한 모습이다.

관련/ 2009/02/09 - [Animal] - 나비








나비목 팔랑나비과의 흰점팔랑나비.
솜방망이, 양지꽃, 나무딸기 등의 꽃에서 꿀을 빨아 먹으며,
습지에 모여 물을 먹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





나비목 팔랑나비과의 왕팔랑나비.
연 1회 발생하며, 6월에 나타난다.








나방을 닮은 왕팔랑나비 한 마리가 창문에 날아와 매달려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나비라면 모두들 신기한듯 바라보며 관심을
가질 것이지만, 나방이라면 떨치며 배척해 버릴 것이다.
따지고 보면 크게 다를것 없는데 인간은 이렇게 특정 생명체에 대해
아주 고정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세상은 인간만이  살아갈 수는 없는 것, 함께 공존해 갈 일이다.
그것이 자연의 순리요 법칙이다. 아주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



...............................................................................................................................................................................





나비목 흰나비과의 풀흰나비.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남쪽 일부 해안지역을 제외하고 고르게 분포한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Anim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 5 (멧새, 노랑턱멧새, 때까치, 까치, 바위종다리)  (18) 2010.02.08
다람쥐와의 만남  (26) 2009.11.12
곤충 - 17  (18) 2009.10.09
곤충 - 16  (10) 2009.10.06
새 - 4 (딱새)  (18) 2009.09.24
Travel




서원의 외삼문으로서 정문 출입구인 역락문.
논어의 학이편에 나오는 '벗이 멀리서 찾아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위치한 이 옥산서원은
1967년 3월 8일에 사적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이 서원은 조선시대의 성리학자인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 선생을 제향하고
후진(後進)을 교육하기 위해 조선 선조(宣祖) 5년(1572)에 설립되었다.
당시 경주부윤이었던 이제민(李齊閔)은 안강 고을의 선비들과 더불어 선생의 뜻을 기리고자
독락당 아래에 이 사당을 세웠으며, 사액(賜額)을 요청하여 1574년(선조7)에
'옥산'이라는 편액과 서책을 하사받았다.








                              경내에는 사당인 체인묘, 강당인 구인당(求仁堂), 기숙사인 동재(東齋, 민구재 敏求齋)와 
                              서재(西齋, 암수재 闇修齋), 무변루(無邊樓), 역락문(亦樂門), 어서각(御書閣), 
                              장서각인 청분각(淸芬閣)과 회재 선생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이 서원은 현존하는 서원 문고 가운데 많은 책들을 보관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 두 곳에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하나는 서원 경내에 있는 어서각(御書閣)소장본이고,
다른 하나는 이언적의 사저에 있는 독락당에 있는 소장본이다.
보관된 책 중에서 1513년에 간행된 '정덕계유사마방목(正德癸酉司馬傍目)'을 비롯, 
'삼국사기' 해동명적' 이언적수필고본일괄' 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서원의 양식은 전면에 강학처(講學處)를 두고 후면에 사당을 배치한 전형적인
서원 건축구조로 되어 있는데, 중심축을 따라서 문루, 강당, 사당이 질서있게 배치되어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모습을 보여준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학문의 토론 장소로 사용된 강당이자 강학공간인 구인당(求仁堂)의 모습.
좌우로는 유생들이 수학하며 거처하는 재실로,
동재인 민구재(敏求齋)와 서재인 암수재(闇修齋)가 자리잡고 있다.
가운데 두 기둥 사이에 걸린 '옥산서원(玉山書院)'편액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이다.








                              문원공(文元公) 회재 이언적 신도비(神道碑).








서원 안으로 통하는 또 하나의 문인 세심문(洗心門).
서원 옆 계곡과 연결되어 있다.

16세기 영남사림파의 선구가 되는 이언적을 모신 만큼, 옥산서원은
조선 후기까지 영남사림의 중심지 역할을 하면서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내렸을 때에도 제외된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다.
일제 말기에 화재로 옛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곧 복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남향으로 자리잡은 옥산서원이 끼고 있는 계곡에 위치한 세심대(洗心臺).
이 곳을 돌아 계류(溪流)가 흐르고 있다.
세심대는 너럭바위로서 용추(龍湫)에서 떨어지는 물로 마음을 씻고
자연을 벗삼아 학문을 구하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옥산서원내 곳곳에는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 석봉(石峯), 한호(韓濩),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등의 명필이 쓴 현판들이 있으며,
이 곳에서 북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는 회재의 별장이자 서재(書齋)였던
독락당(獨樂堂)이 위치해 있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동마을  (14) 2009.11.01
독락당(獨樂堂)  (20) 2009.10.29
소매물도 -3  (17) 2009.08.24
소매물도 -2  (14) 2009.08.21
소매물도 -1  (16) 2009.08.19
Natural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인 가지.
인도원산으로,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모과나무의 열매로 향기가 뛰어난 모과(木瓜).,
중국원산으로, 표면의 끈끈한 정유성분이 향과 효능을 더해준다.
술이나 차를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기능을 좋게 하므로 속이 울렁거릴 때나 설사할 때 먹으면 편안해진다.
신진대사를 좋게 하여 숙취를 풀어주고 가래를 없애주어
한방에서는 감기나 기관지염, 폐렴 등의 약으로 쓰기도 하며,
말린 것은 목과(木果)라 하여 약재로 쓴다.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인 고추.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붉게 익은 열매는 말려서 향신료로 쓰고 관상용, 약용(중풍, 신경통, 동상 등)으로도 쓴다.
고추의 매운맛은 캡사이신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 때문이며, 붉은 색소의 성분은 주로 캡산틴이다.

우리나라에는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이는데,
임진왜란 때 왜군이 조선사람을 독한 고추로 독살하려고 가져왔다는 설도 있다.
민간에서는 장을 담근 뒤 독 속에 붉은 고추를 집어넣거나
아들을 낳으면 새끼줄에 붉은 고추와 숯을 걸어 악귀를 쫓기도 했다.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인 수세미외.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천락사(天絡絲), 천라(天羅), 수세미오이, 수과락이라고도 한다.
                              예전의 농가에서 수세미외를 설거지 도구로 사용할 목적으로 많이 재배했으나, 
                              요즈음에는 합성수지나 철제제품 등의 다양한 재질로 수세미를 만들어 사용한다.

                              과육의 내부에는 그물 모양으로 된 섬유가 발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검게 익은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한 열매를 물에 담궈 두면 표면의 과피가 과육에서 떨어지기 쉽게 되는데,
                              종자와 물을 빨아들여 끈적하게 된 과육을 씻어내면 그물 모양으로 된 섬유만이 남게 된다.
                              어린 열매는 식용으로도 하며 성숙한 섬유는 신발 바닥의 깔개, 여성용 모자의 속, 
                              슬리퍼, 바구니 등을 만드는데 쓰인다.








방울토마토,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인 토마토의 일종이다.
당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토마토보다 훨씬 높으며,
일반 토마토보다 관리가 쉽고, 장기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오래 보관할 수도 있다.
아주 추운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세계 전역에서 재배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배나무속을 총칭하는 나무.
열매 중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80%인데, 수분이 85~88%, 열량은 약 50kal이다.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있어 감기, 해소, 천식 등에 좋으며,
배변과 이뇨작용을 돕는데 해독작용이 있어 숙취도 없애준다.
연육효소가 들어 있어 고기를 연하게 할 때 갈아서 넣기도 한다.








호박.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 풀이다.
과채류 중에서는 녹말함량이 가장 많아 감자, 고구마, 콩에 이어 칼로리가 높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인 사과나무.
품종은 700여 종에 이른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고 나트륨, 칼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피부미용과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소화를 도와주며 철분 흡수율도 높여준다. 그리고 불면증에도 좋다.



참고/ 네이버백과사전



'Na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실 - 10  (21) 2009.12.14
결실 - 9  (16) 2009.11.23
자연, 그리고... 물  (23) 2009.10.15
이 가을에...  (24) 2009.10.02
결실 - 7  (14) 2009.09.15
History




지난 여름의 끝자락,  그 당시에 바라 본
앞쪽의 지산동을 지나 대구의 중심부로 이어지는 시가지의 모습.








범물동 일대, 
이 곳 관계삼거리에서 안심간을 연결하는 유료도로가 우측으로 보인다.
왼쪽 아랫쪽으로 나란히 보이는 곳은 범일초등학교와 범물중학교.








왼쪽 아래로 보이는 앞산의 자락,
그 너머로는 대구타워가 우뚝 서 있다.








아랫 부분에 보이는 저수지는 수성못으로, 일제시대 때
미즈사키 린타로라는 일본인에 의해 현재와 같은 치수용도로 증축되었다고 한다.
그의 묘는 수성못 옆 체육공원 쪽에 자리하고 있다.








높이 경쟁을 하듯 아파트가 고층으로 올라가고 있는 수성구지역.
좌측으로 보이는 높은 건물은 완공된 대우트럼프월드수성이고,
그 바로 옆으로는 수성SK리더스뷰가 시공되고 있다.
우측으로 높이솟은 건물은 두산위브더제니스.
여전히 별 다른 특색이 없는, 무미건조한 대구의 스카이라인이다.








시가지를 관통하며 유유히 흐르는 신천이
건물들 사이로 빼꼼히 내려다 보이고...








대구의 중심부 쪽으로...
사진 오른쪽 끝부분에 대구역이 간신히 보인다.








아랫쪽의 법니산과 그 위로 보이는 앞산,
그리고 그 너머로 펼쳐진 대구의 서부지역.








파동의 모습이다.
교각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 용두골로,
앞산4차순환도로(상인~범물 민간투자사업)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이 골짜기내 공사구간 인근에서는 선사시대 유적과 더불어 마애불이 발견되기도 했고,
앞산의 생태계 파괴와 맞물려 시민단체의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사는 그대로 진행될 뿐이고...








달성군 가창면 일대.
팔조령을 지나 청도로 연결되는 도로가 저 멀리로 길게 누워 있다.
우측, 차도 위쪽은 최정산으로 이어지는 주암산이다.





1 ··· 32 33 34 35 36 37 38 ··· 49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