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淨甁). 본래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으로서 승려의 필수품의 하나이던 것이
차츰 부처님 앞에 정수를 바치는 공양구로서 그 용도의 폭이 넓어졌다.
(문경 옛길박물관)
나침반과 해시계/ 나침반과 시반(時盤)이 갖추어진
휴대용 해시계, 조선시대. (문경 옛길박물관)
앙부일구(仰釜日晷). 창경궁 내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복제품이다.
앙부일구는 세종 16년(1434)에 처음 만들어진 천문의기(天文儀器)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던 해시계의 일종이다.
시계판이 가마솥같이 오목하고 하늘을 우러러 보고 있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청동의 오목판 안바닥에는 일곱 개의 세로줄이 그려져 있는데, 이를 시각선(時刻線)이라고 한다.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면서 생기는 그림자가 이 시각선에 비쳐지면서
시간을 알 수 있다.
바닥에는 시각선 이외에 열세 개의 가로줄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24절기를 나타낸다.
제일 바깥 줄은 동지의 해 그림자가 따라가는 줄이며, 제일 안쪽 줄은 하지선이다.
자금성의 남북을 가로지르는 중추선상에는 남쪽으로 부터 태화문(太和門),
태화전(太和殿), 중화전(中和殿), 보화전(保和殿), 건청문(乾淸門),
건청궁(乾淸宮), 교태전(交泰殿), 곤영궁(坤寧宮), 곤영문(坤寧門),
천일문(天一門), 흠안전(欽安殿), 승광전(承光殿), 순정문(順貞門),
신무문(神武門) 등 주요한 궁전과 궁문이 나란히 세워지고,
그 가운데 오문과 신무문은 자금성의 남북 성문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자금성의 동서 양측에도 동화문(東華門), 서화문(西華門)이 있다.
자금성(쯔진청, 紫禁城)의 정문은 천안문이기는 하지만,
실제적인 정문은 높이 38m, 벽의 두께가 무려 36m로
세계에서 가장 큰 성문이라는 오문(午門)이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북(北)을 자(子), 남(南)을 오(午)라고 했는데,
오문은 자금성의 중심축 남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금성은...
1406년 명나라가 중경에서 천도하여 건설하기 시작하여 14년간이나 걸렸다고 한다.
남북 990m, 동서 760m의 사각형이며 넓이는 72만㎡ 로 명나라 3대 황제때 부터
거처하기 시작했다.
이곳에는 총 9,999개의 방이 있는데, 옥황상제가 1만칸의 방을 사용하기 때문에
황제는 바로 그 아래 숫자만큼의 방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는 매일 한 방씩 사용했을 경우 29년이 넘어야 모든 방에서 자 볼 수 있는 규모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 고대의 건축은 4개 기둥사이의 면적을 1칸으로 보기 때문에
자금성의 가장 큰 건물인 태화전의 경우만 하더라도 무려 55칸이나 되는 셈이다.
(동서로 12개, 남북으로 6개의 기둥이 있으니 11×5)
우리의 기준으로 치면 현재 실제로 남아있는 방의 개수는 980개 라고 한다.
태화전으로 들어가는 입구이자 중국 최대의 목조문인 태화문.
문 앞 계단 동, 서쪽으로는 중국 황제를 상징하는 청동사자상이 자리잡고 있다.
오문과 태화문을 거치면 나타나는 넓다란 광장... 그리고 태화전이다.
태화전은 남북 33m, 동서 60m의 건물로서 중국 최대의 목조건물이며,
황제의 즉위식, 새해의 제사, 황태자의 탄생 축하 등 국가적인 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지금의 건물은 1695년 청나라 강희제 때 세번째로 다시 지어진 것이다.
태화전의 지붕은 금색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색이기 때문이라 한다.
자금성은 명나라 영락제부터 청나라 푸이(溥儀, 선통제)가 자금성에서 쫒겨날 때까지
500여년간(1421~1924) 명, 청대의 황제 24명이 거쳐간 궁궐이다.
고궁 성내는 정치구역인 외조(外朝)와 생활구역인 내정(內廷)의
두 구역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외전의 태화전은 자금성의 정전(正殿)이며, 중요한 의식장으로 사용되었다.
태화전, 중화전(회의실), 보화전(과거시험을 보는 장소)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문화전과 무영전을 외조(外朝)라 한다.
건청문을 들어서면 내정부분으로, 황제가 거처하는 건청궁, 황후가 거처하는 교태전,
곤녕궁, 어화원, 동육궁, 서육궁, 자녕궁, 영수궁 등을 포함하여 황제가 일상의
정무를 행하는 곳과 거주하는 곳, 그리고 황후, 비, 어린황자(皇子)와
황녀들이 생활하는 곳을 말한다.
보화전 뒷편에서 바라본 내정의 정문인 건청문.
건청문은 자금성 내에서 가장 화려하며 위엄이 있어 황실의 신성함과
권력을 나타내는 전문이다.
이곳을 경계로 황제와 황후의 생활공간인 내정과 외조가 구분된다.
보화전의 이 운용석조(雲龍石雕)는 자금성에서 가장 큰 돌이라 한다.
황제를 상징하는 9마리의 용과 장수의 복을 의미하는 산과 절벽, 바다
그리고 운해가 조각되어 있다.
보화전을 뒤에서 되돌아 봤다.
보화전은 주로 조정의 각종 의식을 여는 곳이다.
황제의 침실 겸 집무실이었던 건청궁의 내부.
정대광명이라 쓰여진 편액 아래 황제의 보좌가 놓여있다.
황제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수목이 전혀 없는 자금성 내부에
유일하게 나무를 심어 정원으로 가꾸어 놓은 어화원 내의 정자.
자금성의 북문인 신무문을 나오면 저 멀리 자금성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경산공원이 마주보고 있다.
경산공원은 명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가 목을 매 자살한 곳이기도 하다.
그런데 저곳은 이화원의 만수산처럼 인공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자금성을 빙 둘러 너비 52m, 깊이 6m, 그리고 3.8km에 이르는 길이로
해자를 만들면서 그곳에서 파낸 흙과, 땅 밑을 뚫고 들어올지도 모를
침입자를 막기위해 40여장의 벽돌을 바닥에 깔면서 자금성 바닥을 7m까지
파내기도 했다는데, 그때 나온 흙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저 경산공원이라고 한다.
풍수지리학상 궁궐 뒤에는 산이 있어야 좋다고 해서 그렇게 만들었다니,
역시 스케일 만큼은 정말 대단한 민족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자금성의 북문인 신무문.
해자로 둘러쌓여 있는데, 해자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성을 보호하며
방화기능도 겸했다고 한다.
자금성은 현재는 고궁박물원으로 전용되어 고궁 안의 여러 전(殿),
당(堂), 궁(宮) 등은 진열실로 이용되고 있으며, 중국 역대의 채도(彩陶),
청동기, 칠기, 직물, 조각, 회화 등 여러 예술품을 진열하고 있다.
중국 황실의 여름 별궁이자 최대 규모의 황실 정원이라는
이허위안(頤和園, 이화원, Summer Palace)에 들어섰다.
넓다란 호수와 그 위를 떠 다니는 유람선이 먼저 반겨준다. 맞은편으로 보이는 다리는 길이 150m의 스치쿵차오(十七孔橋)로,
쿤밍호 남동부에 위치한 난후다오(南湖島)를 연결하며,
중국정원 내에서 가장 긴 다리라고 한다.
이허위안은 1750년에 지어지기 시작했으며, 원래 이름은 칭이위안(淸漪園)이었다.
그 후 1860년에 영불연합군에 의해 소실되었던 것을
1886년에 재건하면서 이허위안으로 이름을 바꿨다.
자금성의 10배 정도의 크기로써, 특히 청나라의 마지막 황후인
서태후가 이곳에서 별궁으로 피서를 즐겼다고 한다.
총면적 2.9k㎡, 호수의 둘레 8km로, 1998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호수는 쿤밍호(昆明湖)로, 전체면적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인공호수이다.
그리고 우측으로 보이는 산은 약 60m높의 완셔우산(萬壽山)으로
쿤밍호를 조성할 때 파낸 흙을 쌓아 만든 인공산이다.
쿤밍호와 완셔우산을 중심으로 각종 전각과 사원, 회랑 등
3천여 칸의 전통 건축물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길이 728m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었다는 창랑(長廊)이 위치한
저곳으로는 아쉽게도 발걸음을 하지 못했다.
퉁뉴(銅牛).
스치쿵차오 초입에 세워진 정자.
대지면적 약 1ha정도의 난후다오(南湖島)로 건너왔다.
섬 위에는 룽왕먀오, 한쉬탕, 젠위앤탕, 웨보러우 등의 건축물이 있다.
자산(假山)에 있는 한쉬탕(涵虚堂), 3층으로 된 섬의 중심 건물이다.
쿤밍호에서 실시하던 해군훈련을 지켜보던 장소로 사용되었고,
청(淸)의 광서(光緖)시기에 단층 건물로 개축되었다.
완셔우산 앞 거대 석고대 위에 만들어진 불향각(佛香閣).
높이가 41m로, 전 지붕이 3층 4겹의 처마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호수 위로는 놀잇배가 지나 다니고, 그 주위 나무 사이로는 언뜻언뜻
전각이 들어 서 있는, 마치 여름 피서지라는 것을 증명이라도 해 보이는 듯
아주 평화로운 풍경이다.
중국 베이징에 다녀온건 지난 8월의 일이지만, 차일피일 미루다가
해가 바뀌는 시점이 된 지금에서야 올려본다.
대체로 사전을 들추는 듯한 분위기로 약 15회 정도의 분량이 될 것 같은데,
이왕 늦은것... 수박 겉핥기식으로 쉬엄쉬엄 정리해 보려 한다.
물론 여행기라고는 할 수 없다.
이제껏 그래왔듯이 그다지 재미는 없을거라는 얘기다.
지난 7월부터 중국 전역에서는 낮 최고 기온이 섭씨 35도를 넘는
불볕더위가 계속되었고, 8월 11일의 경우만 해도 중국 충칭에서는
43도까지 치솟았다고 했다.
그런 보도를 보고 조금 걱정이 되긴 했지만, 말로만 듣던 천안문과 자금성,
그리고 만리장성 등의 모습을 직접 가까이에서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에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을 찾게 되었다.
그러나 가는 날 부터 가랑비가 시작되더니 한때만 햇볕이 반짝거렸을 뿐,
대체로 궂은 날씨... 결국 마지막 날에는 장대비까지 쏟아지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더위가 다소 누그러지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말이다.
중국은 BC221년 진(秦)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처음으로 통일을 이루었다.
중국 최후의 통일왕조인 청(淸)나라에 이어 국민당의 국민정부가 세워졌고,
1949년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웠다.
정식명칭인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은 22개의 성(省),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 2개의 특별행정구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홍콩, 마카오를 제외한 지역을 중국대륙(중국본토)으로 칭한다.
베이징부근은 2000년 훨씬 이전부터 이미 중국 동북부 국경지대의 중요한
군사, 교역의 중심지였으며, 원대(元代, 1271~1368)인 1267년 이곳에
대도(大都)라는 이름의 신도시가 건설되어 행정수도가 되었다.
명(明, 1368~1644)의 제1,2대 황제 재위기간에는 난징(南京)을 수도로 삼았으며,
전대의 수도였던 대도는 베이핑(北平)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명의 제3대 황제는 베이핑을 다시 수도로 삼고 베이징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그 후 베이징은 국민정부가 난징을 다시 수도로 삼았던 짧은 기간을 빼고는
계속 수도로서의 지위를 지켜왔다.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로서 줄잡아 7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다.
특히 원(元), 명(明), 청(淸) 3개 왕조에 걸쳐 수도로 있었기에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라 해고 과언이 아니다.
16개 구와 2개의 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은 16,807km² 로
서울, 인천, 경기도를 포함한 것보다 넓다.
정식 명칭은 베이징직할시(北京直轄市)이며, 약칭하여 징(京)이라고도 부른다.
베이징은 미국 '외교정책' 잡지가 발표한 2010년 세계도시 랭킹에서
도시 규모와 경제력, 상업활동 등 종합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15위에 오르기도 했다.
인구는 1,800만명 정도이며 유동인구는 500만명 정도로 추산한다.
서양의 기준으로 보면 베이징의 생활리듬은 느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먹고 싶을 때는 마음껏 먹는 그들이다.
중국인들은 집치장과 옷차림 보다도 먹는 것을 첫째로 꼽는다고 한다.
먹는 것 외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말이다.
베이징의 특산 요리로는 오리구이인 베이징카오야(北京烤鸭), 궁팅차이(宮廷菜),
탄자차이(譚家菜), 불고기, 샤브샤브가 5대 요리로 꼽힌다.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인 관계로 문화 수준이 비교적 높고 예절 바르며
정치에 대한 관심이 크다.
대륙적인 기질로 여유만만하고 스케일이 큰 반면 상대방을 의심하고
여간해서는 속마음을 내비치지 않는 중국인, 만만디(慢慢的)는 느릿느릿한
사림이라는 뜻으로 그들을 두고 흔히들 하는 말이다.
중국은 56개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국가이다.
한족(漢族)이 전체 인구의 9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55개의 소수민족이 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사람들은 무엇보다도 돈을 중시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린아이 돌잔치에 돈, 연필, 실 등을 잔치상에
올리는데 비해 그들은 붓과 함께 주산을 올릴 정도다.
그리고 수 많은 신(神)들을 섬기기도 한다.
조상신은 물론 땅의 신, 집의 신, 화장실, 대문, 부뚜막의 신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돈의 신인 전신(錢神)이 있으며 재신(財神)도 있다.
베이징은 계획도시이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길이 동서 아니면 남북으로 나 있다.
그래서 그곳 사람들은 길을 가르쳐 줄 때, 대체로 전후좌우 방향이 아니라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알려 준다.
또한 그들은 버스나 자전거로 출퇴근하는가 하면 폭넓은 여가를 즐기기도 한다.
시내교통은 주로 트롤리버스와 버스에 의존하고 있으며 도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베이징의 경우 3명당 2대 꼴로 자전거를 소유하고 있기도 하다.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연극으로는 경극(京劇)이 있다.
베이징에서 발전하였다 하여 경극이라 하며
14세기부터 널리 성행했던 중국 전통가극인 곤곡(崑曲)의 요소가
가미되어 만들어졌다.
여타 대부분의 나라들처럼 중국에서도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부유층과 국유기업 관리등이 실제로 받는 월급외에 각종 제도적 허점과
편법을 이용해 각종 부수입을 챙김으로써 빈곤층이 벌어 들이는 수입의 수십 배에서
많게는 수백배의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여건에 있다는 것이다.
1988년 상하위 10%간의 소득격차가 2007년 23배로 늘어났다는 공식 통계가
있긴 하지만, 통계에 잡히지 않는 수입까지 포함하면 실제 차이는 55배 가량
될 것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출처/ 와우뉴스)
2009년 중국의 1인당 GDP(국내총생산)는 3600달러에 달했다.
한편으로는 백만장자 또한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세계명품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명품 소비규모는 94억달러에 달해
세계시장 점유율 27.5%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에 해당한다.
중국의 전체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13억 3004만명이다.
중국 정부는 인구증가가 중국의 경제발전의 혜택을 나눠 먹어야 할
입만 늘려 놓은 셈이라는 판단아래 교육과 선전 및 상벌을 통해
1자녀갖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으나, 농촌의 전통적인 남아선호
관념 등의 이유로 제대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