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 세대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낯설지 않은 풍경이라 하시니
괜히 동질감이 느껴지는데요.ㅎㅎ
당시에는 열악한 환경이었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니 모두 다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게 되더군요.
물론 지금 이 시간도 머지않아 새롭게 추억하게 될지도 모를 일이구요,
그런 면에서 본다면 여행을 통해 좋은 기억을 심어가시는 라오니스님은
추억꺼리가 많아서 좋으시겠습니다.^^
전문대가(첸먼 거리, 前門大街)의 시작을 알리는 패루(牌樓).
베이징에서 가장 큰 길거리 패루라고 하며, 역사적 문헌과
사진을 근거로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고 한다.
패루란 경축의 의미로 큰 거리를 가로질러 세운 시설물을 말한다.
약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이 거리는 전문 앞에 전루(箭樓)를
시작으로 남북으로 845m가량 길게 뻗어있는 모습이다.
전문대가는 자금성 남쪽 성문인 전문(前門) 앞에 위치한 번화가로,
이곳 북쪽에는 성 안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정양문(正陽門, 오늘날의 전문)이
세워져 있어 명대부터 민국시기까지는 정양문대가(正陽門大街)로 불렸다.
그러나 1965년부터는 정식명칭이 전문대가로 명명됐다.
전문대가는 명대(明代)에 전국 각지에서 과거시험 준비생들이
몰려들면서 상권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전문 안으로는 각종 관가가 있었는데, 전문을 나서면 대로 주변으로
황실에 물건을 납품하고 자금성을 찾는 사신을 따르는 교역 상인들을
볼 수 있었으며, 교역품을 거래하는 각종 공방과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서구가 세계의 주도권을 잡게되는 18세기 전까지만 해도
이곳 전문대가는 세계의 중심이었다.
특히 청나라 때는 자금성의 안전을 위해 외지에서 상경한 사람은
오직 전문 밖에서만 생활할 수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그 주변에
상업지구가 발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청나라 초기에는 성내에 유흥업소를 금지시켜 성 밖인 이곳에
극장, 찻집, 기방 등이 생겨나면서 더욱 번화하게 된다.
1920년대에는 베이징의 가장 번성한 상업거리 중의 하나였으며,
1950년대에는 이곳에 약 800여개의 크고 작은 상점들이 있었다고 한다.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환경정비 사업으로 인해 전문대가 주변의
후통(胡同, 베이징의 옛 골목)들과 서민들의 터전은 2006년부터 철거가
시작되었고, 도로를 비롯한 도로변의 건물들은 2007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올림픽 개막식 하루 전인 2008년 8월 7일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쭉 뻗은 길 좌우로 깨끗하게 단장된 상가들이 줄지어 늘어서 있는 모습이다.
중앙 통로는 넓고 시원하며 회색조의 건물들로 인해 차분한 분위기이다.
그러나 전문대가의 뒷골목은 다소 다른 풍경이다.
크고 작은 간판들로 현란한 모습이다.
특히 음식점 앞을 지날 때에는 중국음식 특유의 향취가 코를 찔러댄다.
골목마다 호텔, 음식점, 기념품가게 등
다양한 업종들로 공간을 채우고 있다.
대가의 중앙 통로에 웬 레일인가 했더니 아니나 다를까 먼발치에서 전차가 다가왔다.
이곳 양 극단 중심을 오가는 궤도전차로 당당차(當當車)라고 부른다고 한다.
당당차는 과거에 전문대가를 시발점으로 운행했던 1920년대 베이징의
주요한 교통수단으로, 보행자들에게 주의를 주기위해 발판을 밟으면
당당하는 소리가 나서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다시 시작지점으로 되돌아 왔다.
패루(牌樓) 뒤, 저 멀리 보이는 건물은 정양문의 전루(箭樓)로 성루의 남쪽
정면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화살 및 총포를 발사하기 위한 용도였다고 한다.
원래는 성루와 성벽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도로를 직선으로 정비하면서
성벽을 허물어 지금은 망루만 남아있다.
저 뒤로 천안문광장과 자금성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길을 따라가 볼 참이다.
그러고 보니 괜히 불편만 안겨드리게 되었네요.
저는 대체로 한꺼번에 몰아서 보는 편이라 RSS 기능은 쓰고 있지 않거든요.
그래서 그런 생각은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굳이 말씀드리자면 매번 빠짐없이 댓글을 달아 주시는 ***님에게
그냥 한번 건너뛰기라도 해보시라는 작은 배려라고나 할까요.ㅋㅋ
따지고 보면 뭐 그런 생각에서인데... 그렇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들어오시게 해서는 안될 일이지요.
그래서 앞으로는 아주 가끔씩만 그러도록 하겠습니다.ㅎㅎ
다만, 이번에 발행을 하지 않은건 제 블로그는 그냥 가끔 생각날 때 한 번 들려주시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그냥 아주 사소한 표현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항상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지요?ㅎㅎ 뭔가 흐트러짐이 보여야만 부담없이 다가가 구경이라도 해 볼 수 있겠지요.
그래서인지 딱딱해 보이는 대로변에 비해 뒷골목은 웬지 더 정감이 가는 것 같습니다.
더구나 말조차 통하지 않으니 말이죠.^^;;;
라오니스님은 새해를 어느 곳에서 맞이하실지는 모르겠지만, 새해 새출발 아주 멋지게 잘 하시길 바랍니다.^^
어찌보면 영원한 짝사랑의 대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대체적으로 파트너로 인식을 하지만 쟤네들은 전혀 그렇지 않은 것 같거든요.
심지어 국제관계에서 대국다운 자세를 주문하면 스스로 대국으로 불리우기를 꺼려하기도 하니 말이지요.
말씀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인 만큼 그들에 대해 많은 연구 또한 필요할 것 같습니다.
새해에는 mark님의 버킷리스트엔 또 어떤 일들이 담길런지 살짝 기대가 됩니다.ㅎㅎ
부디 원하시는 바 모두 다 이루시는 한 해가 되시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중국은 이미 여러 측면에서 우리 속으로 너무나 깊숙히 들어와 버린 것 같습니다.
그런만큼 이젠 무시할 수도 없는 존재가 되어 버렸지요.
아니, 날이 갈수록 그 영향력은 더 커져만 가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한 해의 마지막 날... 뜻깊게 잘 보내고 계시겠지요?^^
프로메테우스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