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은 인간만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 중 하나이다.
인간은 얼굴 근육의 변화로 다양한 표정을 만들 수 있으며,
이로써 상대방의 감정을 읽을 수도 있다.
인간의 감정에는 희로애락(喜怒哀樂), 이 네가지가 있지만,
얼굴 표정에 대해서 연구를 했던 미국의 심리학자
'폴 에크만(Paul Ekman)'박사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기쁨과 슬픔은 물론,
분노, 혐오, 두려움, 놀람이라는 6가지의 기본 표정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인간들은 때로는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얼굴 표정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흔히들 '시치미를 뗀다'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는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데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얼굴 표정에 관여하는 근육은
지구상의 그 어떤 동물보다도 많다고 한다.
인간의 몸 근육은 650여개이며, 그 중에서 얼굴 근육은 80여개나 된다.
이들 근육 중에서 웃을 때에는 몸의 근육이 231개,
얼굴근육은 15개 이상이 움직인다고 한다.
그리고 인간은 대게 여섯 살 무렵에는 하루에 300번 정도 웃는데,
어른이 되어 갈수록 하루 평균 17번 정도로 줄어 든다고 한다.
물론, 하나하나 알아 갈수록 모든 일들이 복잡해지고,
온갖 좋지 않은 일들도 접하게 되면서 자연히
그렇게 되어 갈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단순히 웃는 것만으로도 여러모로 유익하다.
10초의 웃음은 3분간 노젓기, 4분간 조깅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하루 45분을 웃게 되면 심장병에 좋고
고혈압, 스트레스 치료가 가능하며, 특히 암을 이길 수 있는
세포가 활성화 되기도 한다.
▲ 포대화상(布袋和尙) / 중국 당나라의 승려로 이름은 계차(契此)라 하며 항상
바랑을 메고 다니며 구걸하였으므로 포대화상이라고 불렀다.
배불뚝이에 얼굴에는 항상 웃음이 가득하였는데 길흉을 말하면 틀림이 없었다 하며
자루에는 음식이나 과자가 들어 있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며 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미륵의 화현(化現)으로 믿었다고 한다.
웃음에 대한 여러 효능은 차치하고서라도,
"기뻐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으면 자연히 기뻐지고 행복해진다"는
미국의 어느 심리학자의 말처럼 그저 아무 생각없이
억지로라도 많이 웃고 볼 일이다.
■ 웃음의 종류
* 미소(微笑) : 소리를 내지 않고 빙긋이 웃는 웃음.
* 대소(大笑) : 호쾌한 웃음, 손뼉까지 치면 박장대소(拍掌大笑).
* 함소(含笑) : 머금은 웃음, 여성적인 웃음.
* 고소(苦笑) : 쓴 웃음. 허탈할 때나 가벼운 손해를 입었을 때의 웃음.
* 냉소(冷笑) : 쌀쌀한 태도로 비웃음, 경멸 · 체념 등의 뜻으로 차갑게 웃는 웃음.
* 교소(嬌笑) : 아리따운 여성의 웃음, 여성의 애교 있는 웃음.
* 염소(艶笑) : 요염한 웃음.
* 매소(賣笑) : 술자리에서 몸과 웃음을 팖.
* 자조(自嘲) : 자기 스스로를 비웃음.
* 비소(非笑) : 남을 비방하거나 비난조로 내뱉는 웃음.
* 홍소(哄笑) : 입을 크게 벌리고 소리내어 웃는 웃음.
* 조소(嘲笑) : 조롱하며 웃는 것, 비웃음.
* 담소(談笑) : 이야기하면서 웃는 웃음, 웃고 즐기면서 이야기 함.
* 실소(失笑) : 어처구니가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터져나오는 웃음.
* 폭소(爆笑) : 크게 터져 나오는 웃음, 갑자기 크게 터져나오는 웃음.
* 미소(媚笑) : 아양을 부리며 아첨하는 듯한 웃음.
* 지소(指笑) : 손가락질하며 비웃는 웃음.
* 기소(欺笑) : 남을 업신여겨 비웃음, 남을 놀리거나 속여서 우습게 봄.
* 언소(言笑) : 이야기하면서 웃는 웃음.
* 잠소(潛笑) : 가만히 웃는 웃음.
* 일소(一笑) : 한번만 웃는 웃음, 업신여기거나 깔보아 웃음.
* 인소(忍笑) : 웃음을 참음.
* 절소(絶笑) : 몹시 자지러지게 웃는 웃음.
* 습소(濕笑) : 억지로 웃음, 마지못해 웃는 웃음.
* 양소(良笑) : 한참동안 웃음.
* 학소(謔笑) : 익살맞은 웃음, 희롱하여 웃음.
* 파안대소(破顔大笑) : 얼굴 표정을 한껏 지으며 크게 웃는 웃음.
* 가가대소(呵呵大笑) : 껄껄하고 크게 웃는 웃음.
* 포복절도(抱腹絶倒) : 배를 안고 넘어질 정도로 크게 웃음.
* 홍연대소(哄然大笑) : 크게 껄껄 웃음.
* 앙천대소(仰天大笑) : 어이가 없어서 하늘을 쳐다보며 크게 웃음.
* 협견첨소(脅肩諂笑) : 어깨를 간들거리고 아첨하며 웃음.
* 언소자약(言笑自若) : 놀라지 않고 평상적인 마음으로 웃으며 이야기 함.
* 박장대소(拍掌大笑)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 일소천금(一笑千金) : 한 번 웃는 것이 천금 같다는 뜻.
* 일빈일소(一嚬一笑) : 근심스러워 찡그리기도 하고 즐거워 웃기도 함.
* 일소일소(一笑一少) : 한 번 웃으면 한 번 젊어짐.
*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 웃으면 집안으로 복이 들어온다.
인간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인 웃음은
아름다운 화장술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리고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라는 옛말처럼,
살아가면서 서로의 가슴에 상처를 주는 표정은 피하고
마냥 서로 보듬고 웃으면서 살아갈 일이다.
어쩌면 그것은 삶의 또 다른 처세술일 수도 있을 테니까 말이다.
고맙게도 모두가 하나같이 따뜻한 가슴과 열정을 가지신 분들이라
알게 모르게 저에게는 큰 자극제가 되어 주셨지요.
사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느끼셨을 테지만,
포스팅 하나를 위해 투자하는 많은 시간과 노력에 비하면
체감할 수 있는 만족감은 너무나 미미한 것 같습니다.
물론, 이웃과의 소통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겠지만,
많은 이들에게 있어서는 자기만족이 블로그를 하는 이유의 전부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가 다르게 열정적으로 컨텐츠를 토해 내고 계시는
이웃님들을 보면 정말 경이적이라 아니할 수 없겠더군요.
▲ 더 나은 블로그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제 마음의 때부터 벗겨내야 할 것 같은데 말이죠.
하지만 저는 많은 이웃을 두기를 원하지 않은 탓일까요.
어쩌면 오는 이웃 막지 않고 가는 이웃 막지 않는다는
방관자적 입장이 더 강한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저변에는 포스팅을 쉬어도 이웃님들에게 전혀
미안한 마음이 들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자유롭게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다는 마음도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쉽게 말씀드린다면 일종의 게으름병이라 할까요.
거기에 더해서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글과 사진으로 도배하는 것도
어찌보면 이웃을 기만하는 일이 될테고 말이죠.
그런 면에서도 저는 자유롭지 못한 것 같습니다.
말씀드리기에는 부끄럽지만, 어쩌면 이런 점이 스스로가
적극적이 되지 못한 이유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차피 이런 소통의 공간에 발을 들인 이상,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려 하고 있고, 또 어떤면에서는 이제까지
그렇게 해 왔다고 스스로를 애써 믿고 싶기도 합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새해가 되어서도 크게 달라질 것은 없을 것 같네요.
아니, 어쩌면 이 게으름병이 더 도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입니다.
혹시나 이런 저런 이유로 지금보다 포스팅 횟수가 더 줄어든다고 하더라도
매번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만은 그대로 가져가려 합니다.
그러니 그때그때 많은 지적과 함께 애정어린 충고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여러 불편함이 많은 블로그임에도 매번 잊지 않고 찾아주시는
이웃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굳이 포복절도, 파안대소까지는 아니더라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9호인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線刻如來坐像).
삼릉계석불좌상을 지나 조금만 올라가면 만날 수 있다.
이 불상은 높이 10m 가량 되는 바위면에 새겨져 있다.
바위면의 중간쯤에 가로로 갈라진 홈이 파여 있는데, 위쪽에 불상을
조각하였으며, 연꽃대좌의 아랫단은 홈 아래에 걸쳐 있다.
얼굴 부분은 돋을새김을 하고 몸은 얕은 돋을새김인데, 나머지는
선으로 표현한 독특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얼굴은 큼지막하고 넓적하게 표현하고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을
크게 새겼는데 머리와 구분이 없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쳤으며 양손의 손목까지 덮고 있다.
왼손은 엄지와 셋째 손가락을 붙여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은 가슴 앞에 들어
엄지와 셋째 손가락을 붙이고 손바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왼손과 오른손이 마주하게 하였다.
바위 속에서 얼굴만 내민 듯한 점이 특이하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선암 바로 위쪽에 위치한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磨崖釋迦如來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이다.
이 불상은 남산의 북쪽 금오봉(金鰲峰)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내리다가
작은 봉우리를 형성한 바둑바위의 남쪽 중턱에 위치해 있다.
자연 암반을 파내어 광배(光背)로 삼았는데 깎아내다가 그만둔 듯 거칠다.
높이 7m로 냉골(三陵溪)에서는 가장 큰 불상이고 남산의 북봉인
금오봉을 향하여 앉아 있다.
이 불상의 머리는 거의 입체불에 가깝고, 그 아래는 선으로만 조각되어 있다.
풍만한 얼굴에 눈썹은 둥글고, 눈은 반쯤 뜨고 입은 굳게 다물었다.
민머리에 턱은 주름이 지고 귀는 어깨까지 큼직하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져 있으며, 가슴 부분의 벌어진 옷 사이로 속옷의 매듭이 보인다.
오른손은 엄지와 둘째, 셋째 손가락을 굽혀 가슴에 올렸고 왼손은 무릎에 얹었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양 다리의 발 표현과 연꽃대좌가 아주 특이하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능선 안부에서 왼쪽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신들이
바둑을 두었다는 바둑바위가 나온다.
그곳은 전망이 좋아 경주시내가 한눈에 조망된다.
포석정, 첨성대, 황룡사지, 천마총, 대릉원, 분황사 등...
갔던 길을 되돌아와 안부의 오른쪽으로 발걸음을 계속한다.
산행의 출발점인 삼릉과 주차장이 보이고...
이미 지나온 조그마한 암자인 상선암도 내려다보인다.
물론, 마애석가여래좌상도 예외는 아니다.
아랫쪽에서 바라본 것과는 달리 주위의 풍경과
어울리니 더 장엄한 느낌이다.
남산에는 고위봉(高位峰, 494m)과 금오봉(金鰲峰, 468m)의
두 봉우리가 솟아 있는데, 이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40여 계곡과
산, 밭들을 모두 합쳐서 남산이라 부른다.
그러나 이곳 금오산 정상은 주위가 나무로 가려져 있어 특별한 조망은 없다.
▶ 남산(南山)과 또 다른 산 망산(望山, 망성산)의 유래
옛날 경주의 이름은 '서라벌(徐羅伐)' 또는 '새벌'이라 했으며 새벌은 동이 터서
솟아오른 햇님이 가장 먼저 비춰주는 광명에 찬 땅이라는 뜻으로 아침 햇님이
새벌을 비추고 따스한 햇살에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의 변화가 아름답고
온갖 곡식과 열매가 풍성하여 언제나 복된 웃음으로 가득 찬 평화로운 땅이었다.
이 평화로운 땅에 어느날 두 신이 찾아왔다.
한 신은 검붉은 얼굴에 강한 근육이 울퉁불퉁한 남신(男神)이었고, 또 한 사람은
갸름한 얼굴에 반짝반짝 빛나는 눈동자, 예쁜 웃음이 아름다운 여신(女神)이었다.
두 신은 아름다운 새벌을 둘러보고 "야! 우리가 살 땅은 바로 이곳이구나!"하고 외쳤고,
이 소리는 너무나 우렁차 새벌의 들판을 진동하였다.
이때 개울가에서 빨래하던 처녀가 놀라 소리나는 곳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산 같이 큰 두 남녀가 자기 쪽으로 걸어오는 것이 아닌가?
처녀는 겁에 질려 "산 봐라!"하고 소리 지르고는 정신을 잃었다.
"산 같이 큰 사람 봐라!"라고 해야 할 말을 급한 나머지 "산 봐라!"라고 외쳤던 것이다.
갑자기 발 아래에서 들려오는 외마디 소리에 두 신도 깜짝 놀라 그 자리에
발을 멈췄는데 그만 웬일인지 다시는 발을 옮길 수 없었다.
두 신은 그 자리에 굳어 움직일 수 없는 산이 되었는데 소원대로 이곳 아름답고
기름진 새벌에서 영원히 살게 된 것이다.
남신은 기암괴석이 울퉁불퉁하고 강하게 생긴 남산(南山)이 되었고, 여신은 서쪽에
솟아있는 부드럽고 포근한 망산(望山)이 되었다고 전해져 온다. (참고문헌/ 경주시지)
금오산 정상을 내려서니 제법 넓은 신작로길이 나타난다.
그 길을 따라 잠시 내려오다가 용장사지 방향인 오른쪽으로 접어들고,
얼마못가 보물 제186호인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과 마주치게 된다.
경사면 위에 세워져 있어 조망이 시원하다.
용장사(茸長寺)의 법당터보다 높은 곳에 세워진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자연 암반을 다듬어 아랫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면마다 기둥새김 셋이 있는 윗기단을 설치하여 산 전체를
기단으로 여기도록 고안되었다.
층마다 몸체돌 하나에 지붕돌 하나씩 3층으로 쌓았는데, 지붕돌과 몸돌을
별도의 석재로 조성하였다.
공자(孔子)와 베트남의 대 유학자를 모신 유교 사원인 문묘(Van Mieu-Quoc Tu Giam).
1070년 리탄통(Ly Thanh Tong)황제가 공자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원이다.
11세기 리 왕조(李朝)가 하노이에 독립왕조를 세우기 전에는 1000년동안 중국의 지배를
받았었는데 당시 유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대표적인 곳이 바로 이곳이다.
리 왕조 동안에는 불교에서 유교로 국교가 전환되면서 문묘는 당시 정신적인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며, 1076년에는 베트남 최초의 대학으로 유학자를 양성하기도 하였다.
태양을 상징하는 규문각(奎文閣).
이곳 문묘는 벽을 경계로 모두 5개의 마당으로 나뉘어 있으며
문묘문, 규문각, 연지, 대성전, 공자 사당, 종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중앙 통로와 문은 황제 전용이다.
19세기 원조(沅朝)시대에 만들어진 규문각에는 1484년부터
300여년간 시행한 과거시험의 합격자 명단이 새겨진 총 82개의
진사제명비(進士題名碑)가 세워져 있다.
이는 각각 다른 얼굴을 한 거북이가 떠받치고 있는데, 머리가 높을수록 관직 또한 높다고 한다.
거북의 머리가 검게 닳아 있는 것은 이를 쓰다 듬으면 시험에
합격한다는 믿음 때문이며, 십장생인 거북이 등에
비석을 세운 것은 '오래도록 빛나라'라는 의미이다.
문묘의 마당은 중국 고전에 대해 3년마다 치르는 과거 시험장소로
이용되었고 우수한 인재는 지방 관리를 감찰하는
암행어사로 활동했다.
윗쪽에 걸린 만세사표(萬世師表) 편액은 '만세에 귀감이
되는 분'이라는 의미로 공자에 대한 존경을 표시한 것이라 한다.
이곳은 많은 베트남 사람들이 찾아와서 자녀의 학업성취와
시험 합격을 기원하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공자상(孔子像).
공자 사당의 중앙에는 공자가, 양 옆으로는 증자(曾子), 맹자(孟子),
안자(顔子), 자사(子思) 등 4성(四聖)의 상(像)이 각각 봉안되어 있다.
문묘라고는 하지만 향을 사르고 기원하는 모습에서
불교적인 느낌이 강하게 받게 된다.
생각보다 넓은 규모임에도 대체적으로
아담하면서도 깔끔한 분위기다.
대성전 뒤에 위치한 또 다른 건물인 국자감(國子監).
'꾸억뜨쨤(Quoc Tu Giam)'으로 발음되는 이 국자감은
베트남 최초의 대학이자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우리나라의 성균관과 비슷하다.
이곳은 강당, 도서관, 제기 등을 보관하는 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베트남의 대 유학자인 쭈반안(Chu Van An, 주문안, 周文安, 1292~1370)의 상.
국자감에는 대학 총장 등 최고의 학덕을 쌓은 분들의 상이 모셔져 있다.
문묘 한켠에는 수령이 아주 오래되어 보이는 고목이 버티고 서 있다.
아마도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에서 자주 볼 수 있다는
반얀나무(榕樹, Banyan Tree)가 아닌가 한다.
반얀나무는 성장방식이 아주 독특하여 가지가 위로 뻗다가
길게 쳐지면서 지면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고 또 다른 줄기를
형성해 성장하는 방식으로 영역을 넓혀가는데, 결국에는
단 한 그루의 나무로 숲의 형태를 이루기도 한다.
갓바위 관음휴게소쪽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바로 옆 감나무집 식당을 통해
산길로 접어 들었다. 그냥 산 능선을 따라 가볍게 갓바위까지 가볼 참이다.
주위가 잘 조망되지 않는 산길이지만 저 멀리 갓바위가 나뭇가지사이로
언뜻언뜻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계속해서 그곳까지의 거리를 눈으로 가늠해 가며 열심히 발을 옮긴다.
어느 정도 걸었을까, 주위를 가리던 나무들이 점차 보이지 않게 되고
이내 사방이 확 트여져 왔다.
오른쪽으로 휘돌아 좌측 위 암자가 보이는 산봉우리 까지 가야 할 능선이
한 눈에 들어온다.
도중에 널찍한 바위 위에서 휴식을 취했다.
굽이치는 저 산 너머로는 대구시가지가 기다랗게 누워있는 형상이다.
아마 왼쪽으로 보이는 터널은 익산포항고속도로 백안터널,
우측 아래로는 백안삼거리쯤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