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의 사진놀이터.

'고분군' 태그의 글 목록 :: spk의 사진 놀이터
Travel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동에 위치한 임당동(林堂洞) 고분군.

사적 제300호이다.


이곳 임당동 구릉 위에 분포되어 있는 옛 무덤들은 오랫동안 개간 및

도굴 등으로 인해 훼손 · 멸실되어 왔으나, 1982년 영남대학교 박물관의

발굴조사를 통해 무덤의 성격이 밝혀지게 되었다.

무덤은 암반을 수직으로 깎아내고 만든 수혈식 석실(竪穴式 石室)과 암반 위에 

냇돌을 쌓아 만든 횡구식 석실(橫口式 石室), 그리고 독으로 만든 옹관(甕棺) 

등으로 형태가 다양했다.

곳에서는 금동관을 비롯하여 금귀걸이, 반지 등 장신구류, 마구류, 토기류 등의

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무덤 속에는 순장된 여러 사람들의 인골이 함께

혀 있어 이들 무덤의 주인공이 지배계층에 속한 사람이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 무덤들은 4~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옛 문헌에

전하는 압독국 지배자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출토된 유물이 모두 신라 문화권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거기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이 압독국은 신라의 지배를

받던 지방 국가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학자 세키노 타타시(關野 貞)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1917년의 분포조사를 시작으로 1918년, 1919년에 걸쳐 11기의 고분이

발굴 조사되었으나 제21호, 31호분을 제외하고는 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았으며,

조사자에 따라 고분 번호를 달리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조사된 고분이

어느 고분인지 정확하게 구분하기조차 어렵다.

이 시기의 조사를 통해 마차 20대와 화차 2량분의 토기와 금공품(金工品)들이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일부 유물을 제외하고는 소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확인된 자료를 통해 보면 금동관, 금 · 은 장신구, 은관장식,

                               금동관모, 금귀걸이 등의 장신구와 각종 마구류, 장식 무기류, 비늘갑옷을

                               비롯한 각종 철제무기류, U자형 삽날을 비롯한 각종 농공구류와 금속용기류,

                               각종 토기류와 목기류가 출토되었다.

                               출토 유물의 양상과 고분 구조를 볼 때 5~6세기 전반이 중심연대가 되는 

                               고분군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분군은 당초 행정구역에 따라 사적 제80호 창녕 교동고분군과 

사적 제81호 창녕 송현동고분군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동일 성격의

유적으로 판단되어 2011년 7월 28일 사적 제514호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되었다.






.....................................................................................................................................................................................................





                               대구광역시 동구 망우당공원에 위치한 대구경북항일운동기념탑.

                               높이는 45m로 1945년의 광복을 의미한다.







1895년부터 1945년 광복때까지 50년간의 지역 출신 항일독립 애국지사와

국가 서훈자의 이름을 새긴 선열 명각대 등이 설치되어 있다.





.....................................................................................................................................................................................................





대구경북항일운동기념탑 바로 뒤편으로는 조양회관(朝陽會館)이 위치해 있다.

독립운동가 서상일의 주도로 대구지역 청년의 민족계몽운동을 위해

1922년에 세워진 교육회관으로, 원래는 달성공원 앞에 있던 것을 

1983년에 이곳으로 이전하여 복원하였다.

2002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Travel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위치한 조문국(召文國)사적지의 전경.

앞쪽 돔형 건축물은 조문국고분전시관이며 그 오른쪽으로는 작약밭을 조성해 두었다.


조문국은 삼한시대의 부족국가로 이곳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일대를 도읍지로 하여

상주, 문경, 단양, 울진, 영덕까지 세력을 넓히며 21대왕, 369년을 존속하다가 

185년(신라 벌휴왕 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금성산고분군 가운데 대리리 일대에 위치한 조문국사적지에는 조문국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40여기의 중대형 고분들이 분포되어 있다.






1호 고분인 옛 조문국의 경덕왕릉(景德王陵).

경덕왕릉은 그 형식이 전통적인 고분으로서 봉 아래 화강석 비석과 상석(床石)이 있다.

분구의 둘레가 74m, 높이가 8m이며, 능의 전면에는 가로 42cm, 세로 22cm,

높이 1.6m의 비석이 있다.


먼 옛날 외밭이었던 이곳에서 묘역을 발견하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2009년 5월부터 2010년 9월 30일까지 발굴한 대리리 2호분의

                               내부 모습을 재현한 고분전시관에서는 대리리 2호분의 유구와 출토유물,

                               순장 문화를 통해 당시의 매장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로 2013년 4월 25일 개관된 의성조문국박물관.


1960년 탑리고분군을 발굴한 이래 전국에 흩어져 있는 의성지역의 출토 유물을

되찾아 조문국을 재조명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상설전시장, 기획전시실, 

어린이 고고발굴체험실, 수장고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로 왼편 별관에는 의성지역에서 전승 보존되고 있는 민속놀이 등으로 구성된 

민속유물전시관이 위치해 있다. 


전면의 석탑은 국보 제77호인 의성탑리오층석탑의 모형이다.







민속유물전시관에는

가마싸움, 연날리기, 의성씨름 등에 대한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조문국박물관에서는 조문국은 물론 선사시대, 삼한시대, 삼국시대 및 

의성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인류의 기원에 대한 전시물.







대리리 2호분에서 출토된 유물들.







나비모양 관(冠) 장식(복제).

삼국시대 / 신라

탑리고분.







                               금동관(복제).

                               삼국시대 / 신라

                               탑리고분.







의성에는 마늘먹인 소고기가 유명하다는...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 스타의 거리  (8) 2013.06.19
홍콩 - 빅토리아 하버  (8) 2013.06.18
황매산 - (2)  (6) 2013.05.22
황매산 - (1)  (8) 2013.05.21
여기, 저기 - 4 (거제도 바람의 언덕, 대구 옻골마을)  (8) 2013.05.15
Travel





경북 고령에 위치한 대가야박물관.
대가야왕릉전시관을 비롯하여 지산동 고분군 및 고령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한 곳에 전시해 두었으며,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순장묘인
지산동 44호분을 재현해 두기도 했다.









                              대가야박물관 바로 옆에 위치한 고령 지산동 고분군.




...............................................................................................................................................................................





안동의 청량산(淸凉山) 입구 암벽 오른쪽에 위치한 고산정(孤山亭),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각으로,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74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황(李滉)의 제자인 금난수(琴蘭秀)가 짓고 일동정사(日東精舍)라 불렀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기와집으로, 주변의 풍광이 뛰어나다.
                              평소 금난수를 아낀 이황은 이 정자로 자주 찾아와 빼어난 경치를 즐겼다고 한다.

                              고산정에 보존된 이황의 시 '서고산벽(書孤山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日洞主人琴氏子
                              隔  
                              耕
                              愴

                              일동이라 그 주인 금씨란 이가   
                              지금 있나 강 건너로 물어보았더니    
                              쟁기꾼은 손 저으며 내 말 못 들은 듯   
                              구름 걸린 산 바라보며 한참을 기다렸네 




...............................................................................................................................................................................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위치한 대구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
                              조선시대(1590년)때 축조된 대구읍성의 남문으로, 일제 강점기인
                              1906년 읍성이 철거될 때 성문들도 함께 철거되었다.
                              이후 1980년 망우공원으로 옮겨 중건하였으나, 성루의 위치나 규모,
                              그리고 품격 면 등에서 원형과 동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장군 상.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파군재 삼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파군(破軍)재는 고려 태조 왕건이 공산에서 후백제 견훤에게
                              대패하고 신숭겸, 김락 두 장군까지 잃고 이곳 고개에서
                              군을 퇴각하여 후퇴하였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상판리에 위치한 정이품송(正二品松).
천연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1464년 세조가 법주사로 행차하던 중 임금이 타는  
가마가 소나무 가지가 쳐져 있어 걸리게 되었으나, 이 나무 밑가지가
저절로 들려 올려져서 지나갈 수 있었다고 한다.
후에 세조가 정이품의 벼슬을 내렸다 해서 그렇게 불린다.




...............................................................................................................................................................................





2009년 4월 문경새재 도립공원에 개관한 옛길박물관.
1997년 문경지역 향토사를 중심으로 문을 연 문경새재박물관이
길을 주제로 새롭게 단장한 박물관이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리핀 세부(Cebu)  (0) 2011.05.21
여기, 저기... (2)  (0) 2011.05.14
경복궁(景福宮)  (12) 2011.04.08
국립서울현충원  (0) 2011.04.07
N서울타워  (16) 2011.04.04
Travel




대구시 동구 불로동, 주택이 들어서 있는 야산 그 한쪽에
고분의 갯수가 총 211기에 이르는 대규모의 고분군이 자리잡고 있다.







 
1938년과 1963년 두 차례에 걸쳐 몇기만 표본 발굴 조사한 결과,
내부구조는 냇돌 또는 깬돌로 사방벽을 쌓고 큼직한 판석으로 뚜껑을 덮은
장방형의 수혈식 석곽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동제의 장신구와 철제무기, 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된 바 있으나
상당수의 고분은 이미 도굴된 상태라 한다.








삼국시대의 고분군으로 사적 제262호로 지정되어 있는 
이 곳에 세워진 표지석의 글을 옮겨본다.









전면 우측으로는 조성중인 봉무산업단지가 보이고,
이 곳과의 사이에는 경부고속도로가 가로지르고 있다.
또한 인근에는 공항이 위치해 있어, 뜨고 내리는 여객기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투기의 소음은 정말 만만찮다.
때문에 이 곳은 한시라도 조용할 날이 없다.









대구 일대에 현존하는 고분들 중 외형적인 형태를 가장 잘 갖추고 있고
좁은 지역에 많은 고분들이 밀집해 있는 곳이 바로 이 불로동 고분군이다.








저 아래 보이는 작은집은 화장실이란다.
들어가 보지는 않았지만 문을 열면 음악이 흘러나오는...








생각보다 봉분이 많다.
크고 작은 봉분이 둔덕을 따라 쭉 이어져 있다.

한때 이 곳에는 불장난으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아닌게 아니라  일부엔 그을린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러나 봄이 되니 그 자리엔 어김없이 또 다른 새싹이 고개를 내밀고...








우리네 정서에 비춰보면 아직까지는 무덤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그래도 한 없이 푸근하게만 느껴지는 곳이 바로 이 곳인 것 같다. 




'Trav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도 구조라해수욕장  (6) 2009.08.13
부산 해운대.. 그리고 해마루  (12) 2009.07.30
대구 팔공산 동화사 -2  (2) 2009.05.13
대구 팔공산 동화사 -1  (4) 2009.05.11
연등  (4) 2009.05.01
1
블로그 이미지

평범한 시각으로 바라본 일상속의 사진 나부랭이 / 작품성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저 '시간을 기록한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셔터를 눌러댄다.

spk